테크 트랜스는 어떤 사운드일까? 추억의 곡으로 돌아보는 트랜스 음악의 세계
클럽 음악의 황금기에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던 테크 트랜스의 매력을 다시 발견해 보지 않으시겠어요? 강력한 킥과 베이스라인, 테크니컬한 신시사이저가 어우러져 만들어내는 사운드의 홍수는 댄스 음악의 새로운 문을 열었습니다.
하우스와 테크노의 서브장르로서 독자적으로 진화한 트랜스 음악 가운데서도 테크 트랜스는 특별한 존재감을 발휘합니다.
향수와 신선함이 공존하는 명곡들과 함께, 그때의 열광을 다시 한번 체험해 봅시다!
- [트랜스] 고양감 넘치는 아름다운 추천 인기곡 [2025]
- EDM 초보자에게 추천하는 정석 곡. 꼭 들어야 할 팝 EDM
- 공격적인 댄스 음악. 하드코어 테크노의 명곡
- 테크노의 추천 ~ 왕년의 명곡부터 00년대 이후의 인기곡까지
- [프로가 고른] 킥이 기분 좋은 댄스 뮤직 10곡
- 하우스 음악 명곡에 맞춰 춤을! 전 세계를 계속 매료시키는 대표곡들
- 고아 트랜스의 명곡. 추천하는 인기 곡
- 역사에 이름을 남긴 테크노의 명반. 한 번은 들어보고 싶은 추천 앨범
- 아름다운 일렉트로니카 ~ 추천 명곡·인기곡
- 딥 하우스의 명곡. 추천하는 인기 곡
- 하우스·테크노 인기 곡 랭킹
- [초보자용] 레이브 명곡 모음. 먼저 들어봐야 할 레이브 앤섬 소개!
- 【Happy!!】사이키델릭 트랜스의 명곡. 추천하는 인기 곡
테크 트랜스는 어떤 사운드일까? 추억의 곡으로 돌아보는 트랜스 뮤직의 세계 (11~20)
Better Off AloneAlice DeeJay

DJ 위르겐이 1998년에 결성한 네덜란드의 팝 트랜스 프로젝트 앨리스 디제이의 트랙으로, 유딧 프롱크의 보컬이 특징입니다.
1998년에 싱글로 발매되어 스코틀랜드와 영국 차트에서 1위를 기록했습니다.
Your Mind (Original Mix)Adam Beyer & Bart Skils

모던 빅룸 테크노의 개척자, 현대의 정통 사운드는 그를 빼놓고는 이야기할 수 없다—그런 아담 베이어의 2018년 최대 히트작입니다.
인기 테크노 레이블 Drumcode를 이끄는 테크노 씬의 리더로, 거대한 페스티벌에서 그의 이름을 보지 않는 날이 없을 정도로 활약하고 있으며, 이제는 차세대 발굴에도 힘을 쏟고 있습니다.
Setting SunThe Chemical Brothers

영국 일렉트로니카 듀오 케미컬 브라더스와 록 밴드 오아시스의 프런트맨인 노엘 갤러거의 협업.
제작 과정에서의 트랙 제목은 ‘Tomorrow Never Noels’였다.
1997년 영화 ‘The Saint’에 사용된 트랙이다.
PyromaniaCascada

2004년에 결성된 독일의 댄스 음악 그룹 카스케이다의 트랙입니다.
2010년에 싱글로 발매되었습니다.
영국 댄스 차트에서 8위를 기록했으며, 프랑스, 독일, 오스트리아, 네덜란드 등 유럽 여러 국가에서 히트한 트랙입니다.
MissingEverything But The Girl

헐 대학교 학생이던 벤 와트와 트레이시 손이 결성한 영국 듀오, 에브리싱 벗 더 걸의 트랙입니다.
듀오 이름은 대학 근처에 있던 인기 상점 Turner’s Furniture의 광고 슬로건에서 영감을 받았습니다.
이 트랙은 전 세계적으로 큰 히트를 기록한 그들의 대표곡입니다.
BreatheThe Prodigy

덴마크, 핀란드, 노르웨이, 스페인 등의 차트에서 1위를 차지한 더 프로디지의 베스트셀러 트랙입니다.
채찍질 소리는 우탱 클랜의 곡 ‘Da Mystery of Chessboxin’에서 샘플링한 것입니다.
이 뮤직비디오는 1997년에 MTV 비디오 뮤직 어워드를 수상했습니다.
테크 트랜스는 어떤 사운드일까? 추억의 곡으로 되돌아보는 트랜스 뮤직의 세계(21~30)
L’Annonce Des CouleursNEW!Mac Zimms

1990년대 트랜스 신에서 네덜란드 프로듀서 맥 짐스가 선보인 작품들은 멜로디컬하면서도 테크니컬한 요소를 겸비한 스타일로 주목을 받았습니다.
1997년에 2 Play Records에서 발표된 이 곡은 신시사이저로 만들어낸 넓게 퍼지는 패드와 몽환적인 리드 멜로디가 특징적입니다.
브레이크다운에서의 정적과 동적인 대비를 살린 구성은 플로어에 고조감을 선사합니다.
1999년에는 빈센트 데 무어가 리믹스를 제작하여 더욱 프로그레시브한 접근으로 재해석했고, 그 결과 트랜스 애호가들 사이에서 오랫동안 회자되는 명곡이 되었습니다.
클럽에서의 몰입감을 찾는 분이나 90년대 트랜스 황금기를 되돌아보고 싶은 분들에게 최적의 한 곡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