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G MusicVocaloid
멋진 보카로
search

[정석] 보컬로이드의 명곡·추천 인기곡·신의 곡

“VOCALOID”라는 프로젝트가 등장한 것은 2003년, 음원 “하츠네 미쿠”가 발매된 것은 2007년입니다.

그 후 오랜 시간을 거쳐 보컬로이드 문화가 확산되었고, 이제는 하나의 음악 장르로 자리 잡았습니다.

처음 들은 것이 초등학생 때였던 분이 지금은 이미 사회인으로 일하고 계실 수도 있겠죠.

자, 이 기사에서는 보컬로이드 씬을 화려하게 수놓아 온 유명곡, 정석곡들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분명 그때 빠져 있었던 한 곡을 찾을 수 있을 것이고, 이제부터 보컬로이드 곡을 들어보려는 분께도 추천합니다.

연대기와 상관없이 두루 모아놓았으니, 꼭 끝까지 체크해 보세요!

[정석] 보카로의 명곡·추천 인기곡·신곡(161~170)

마리오네트 댄서히라기

마리오네트 댄서 / 히라기 feat. 하츠네 미쿠
마리오네트 댄서 히라기

‘마리오네트 댄서’는 히라기 씨가 제작한 작품으로, 2025년 2월에 발매되었고, 보카콜레 2025 겨울 루키 랭킹에서 훌륭하게 우승을 거둔 작품입니다.

우열의 경계에서 흔들리는 감정과 사회의 기대에 휘둘리는 모습을 꼭두각시에 비유한 가사 세계가 인상적입니다.

재지한 피아노와 펑키한 베이스라인 등, 사운드적인 매력도 가득합니다.

자신의 가치를 잃어버릴 것 같을 때, 이 곡이 크게 와닿을 거예요.

모자이크 롤DECO*27

프로 뮤지션으로도 활동하고 있는 DECO*27씨가 만든 곡입니다.

그의 대표작 중 하나로 꼽힙니다.

인트로의 기타 리프부터 마음이 뜨거워지는, 신나는 록 넘버예요.

신스 베이스의 두께감이 정말 멋지네요.

세츠나 트립Last Note.

【GUMI】세츠나 트립【오리지널】HD
세츠나 트립 Last Note.

음악 유닛 Last Note.

가 만든 곡.

공격적이고 높은 음압의 사운드가 인상적이다.

날카로운 기타 리프가 멋지네요! 2012년에 공개되어 곧바로 인기 곡 반열에 올랐다.

어떤 일이 있어도 앞으로 나아가겠다는 강한 의지가 전해지는 뜨거운 보컬로이드 노래입니다.

숟가락의 주술r-906

바닷가 저택을 무대로 그려지는, 금기와 공포가 교차하는 이야기.

r-906님의 ‘숟가락의 주술’은 원래 컴필레이션 앨범 ‘LD100’ 수록곡입니다.

2025년 2월, 보카콜레 참가곡으로서 MV가 공개되었죠.

하츠네 미쿠의 쿨한 보컬과 긴장감 있는 사운드가 중독성을 만들어내고 있어요.

‘세련됨’이라는 말이 딱 어울리는 완성도입니다.

클라이맥스로 갈수록 고조되는 전개에는 등골이 오싹해질 정도예요.

꼭 헤드폰이나 이어폰으로 들어보세요!

사일런트 나이트 앨리스궁수문학

사일런 나이트 앨리스 / 미야모리 분가쿠 feat. 카스카베 츠무기, 중국 토끼
사일런 나이트 앨리스 미야모리 문학

재즈 감성과 힙합적인 사운드 접근이 매력적인 한 곡.

미야모리 후미아키 씨가 2024년 11월에 발표한 이 곡은, 도시의 소음 속에서도 자신답게 살아가려는 강한 의지를 그린 가사가 특징이다.

그리고 카스카베 츠무기와 츄고쿠 우사기가 랩으로 주고받는 느낌이 정말 멋지다.

쿨하면서도 약간 나른한 사운드 편곡도 또 하나의 매력.

밤거리를 걸으며 듣는 것을 추천한다.

사슬의 소녀오르는↑P

사슬의 소녀 / 노보루↑ feat. 하츠네 미쿠
사슬 소녀 노보루↑P

TK 사운드로도 통하는 세련된 일렉트릭 튠입니다.

‘하얀 눈의 프린세스는’, ‘샷건 러버스’로도 알려진 보카로 P, 노보루↑ 씨가 만든 곡으로 2009년에 발표되었습니다.

‘나답게, 나를 위해 살고 싶다’는 의지가 투영된 가사는 서늘한 애수 속에서 강인함이 느껴지도록 완성되어 있습니다.

그 메시지가 곡의 끝을 향해 고조되는 전개와 어우러져 가슴을 뜨겁게 합니다.

2019년에 발표된 리어레인지 버전도 꼭 들어보세요.

마다라 컬트토마

인기 프로듀서 토마가 만든 곡입니다.

2012년에 공개되었습니다.

밴드 사운드를 축으로 수상하고 미묘한 분위기의 사운드 이미지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팬이라면 아시겠지만, 가사의 어휘 선택이 정말 세련됐습니다.

곱씹으며 해석하는 즐거움도 느낄 수 있는 작품입니다.

토마의 첫 번째 앨범 ‘Eureka’에 수록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