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석부터 최신까지] 보컬로이드의 명곡·신곡 특집!
젊은 세대에게 지지를 받고, 노래방에서도 인기 있는 보카로 곡!
이번 기사에서는 특히 “보컬로이드를 듣고 싶은데, 무엇부터 들어야 할지 모르겠어!” 하는 분들을 위해, ‘신곡(神曲)’이라 불리는 인기 곡들을 소개해 드릴게요!
2007년 즈음 시작된 보카로 씬은 그 이후 현재에 이르기까지 셀 수 없을 만큼의 명곡이 끊임없이 탄생해 왔습니다.
그래서 정말 많은 작품을 엄선해 소개해 드리고 있어요!
또, 더 많은 분들이 보카로의 세계를 알 수 있도록 이 기사는 정기적으로 업데이트됩니다.
그러니 한 번 이 기사를 보신 분들도 꼭 다시 한 번 체크해 주세요!
- [정석부터 최신까지] 노래방에서 분위기 올라가는 보카로 곡 특집
- [정석] 보컬로이드의 명곡·추천 인기곡·신의 곡
- [추억] 보컬로이드의 추억의 인기곡·정석 곡 모음
- [핫] 멋진 보컬로이드 곡 대특집!
- 애절한 보카로 곡. 마음에 꽂히는 명곡들
- 【유행】예전에 자주 들었던·추억의 보컬로이드 곡 모음
- [부르기 쉬움] 노래방에서 추천하는 보카로 곡 모음
- [최신] 10대에게 추천하는 보카로 곡 모음 [정석]
- 【2025】최신! 유행하는 보카로 곡 모음
- [감동] 마음에 다가오는 보카로 명곡 모음
- [트렌드] 틱톡에서 인기 있는 보컬로이드 곡 정리
- ‘하츠네 미쿠’가 부르는 명곡. 추천 보컬로이드 인기곡
- [노래방] 남성이 부르기 쉬운 보컬로이드 곡 특집 [불러보았다]
[정석부터 최신까지] 보카로 명곡·신곡 특집! (11~20)
천악164

2014년에 공개된 곡입니다.
‘아마노자쿠(天ノ弱)’라는 제목이 인상적이죠.
그 깊은 곳에 숨겨진 메시지를 꼭 받아들여 주셨으면 하는 한 곡입니다.
기타 록 스타일의 편곡과 음색도 멋지고, 보컬로이드 곡이면서도 록 밴드에 뒤지지 않는 현장감과 감정의 깊이를 느낄 수 있습니다.
꼭 가사를 읽고, 풍경을 머릿속에 떠올려 보세요.
로키미키토P

펑키한 인트로부터 단번에 곡의 세계관으로 끌어들여요.
사람과 보컬로이드의 듀엣 송으로, 하이퀄리티 밴드 사운드가 정말 멋집니다.
신나게 놀 수 있는 곡이라서 노래방에서 부르면 분위기가 확 달아올라요.
아무튼 기운을 내고 싶은 분, 밝은 음악을 듣고 싶은 분께 추천합니다.
육조 년과 하룻밤 이야기KEMU VOXX

애절한 피아노 선율에서 단숨에 전환되어, 공격적인 사운드가 귀를 꿰뚫습니다.
보카로 P인 kemu 씨를 중심으로 결성된 동인 서클 KEMU VOXX의 대표곡입니다.
2012년에 니코니코 동화에 공개되었습니다.
다른 세계의 이야기 소설을 읽는 듯한 기분이 드는, 애절한 가사가 마음을 파고듭니다.
음악 게임 ‘SOUND VOLTEX’ 등에 수록되어 있으니, 관심 있는 분들은 꼭 플레이해 보세요.
숟가락의 주술r-906

바닷가의 저택을 무대로 음산한 세계가 펼쳐지는, 이형(異形)의 악곡입니다.
r-906님이 2024년 11월에 발표한 하츠네 미쿠 보컬 작품으로, 이야기는 까마귀의 웃음소리로 막을 엽니다.
저택 2층에 있는 비밀의 방, 그곳으로 이끌려 가는 주인공.
서서히 마비되어 가는 손발, 반응하지 않는 몸, 먼지통에서 들려오는 비명…… r-906님의 독특한 사운드 메이킹과 어우러져, 마치 악몽 속으로 끌려들어가는 감각을 맛볼 수 있습니다.
반복 재생이 불가피한 보카로 곡입니다.
베놈괴력베어

제목 ‘베놈’은 독액을 뜻합니다.
사랑을 갈구하는 현대인의 ‘독’ 같은 것을 능숙하게 표현하고 있어요.
보컬은 아이 같아서 섬뜩함이 더해집니다.
마음의 절규와 고통, 더 나아가 누구나 지닌 독을 캐치한 멜로디에 실어 표현했죠.
중독성이 있네요.
히바나DECO*27

세련된 록 사운드로 정평이 나 있는 DECO*27 씨가 2017년에 발표한 곡입니다.
FPS 게임 ‘레인보우 식스 시즈’를 모티프로 했다고 알려져 있어요.
아웃트로 마지막에 보컬만 남는 부분에서 소름이 돋네요.
[정석부터 최신까지] 보컬로이드의 명곡·신곡 특집! (21~30)
고스트 룰DECO*27

5번째 앨범 ‘GHOST’에 수록된 곡입니다.
격렬한 사운드가 특징적이죠.
듣는 이에 따라 다양한 해석이 가능한 가사도 인기 요인 중 하나입니다.
몰아치듯 전개되는 마지막 후렴의 전조로 인해, 몇 번을 들어도 가슴이 조여오는 듯한 애잔함을 느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