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을 노래한 팝 명곡. 추천 인기곡
별이나 우주를 테마로 한 서양 음악이라고 하면, 어딘가 SF 느낌이 나거나 판타지한 분위기의 곡을 떠올리는 분이 많을 것 같습니다.
확실히 그런 스타일의 곡이 많긴 하지만, 사실은 하드한 분위기이거나 세련된 무드의 곡들도 많이 존재합니다.
이번에는 그런 매력이 가득한 별과 우주를 테마로 한 서양 음악을 엄선해 보았습니다!
마이너한 곡들도 다수 포함되어 있으니, 팝송을 좋아하시는 분들은 꼭 확인해 보세요!
그럼, 천천히 감상해 주세—요.
- [2025] 달을 노래한 팝 명곡. 추천 인기곡
- 밤에 듣고 싶은 팝 명곡
- 【2025】한 번쯤 들어본 적 있는 팝송—화제의 신곡부터 올드 명곡까지
- 아름답고 깨끗한 팝송. 추천 명곡 모음
- 【2025】마음을 울리는 감동의 팝송. 추천 명곡 모음
- 누구나 아는 팝송. 어딘가에서 한 번쯤 들어본 명곡 모음
- 다크하고 멋진 서양 음악의 명곡|마이너 작품도 등장!
- 서양 음악의 숨겨진 명곡. 그리 널리 알려지지 않은 노래
- [마음을 사로잡는] 인트로가 멋있는 팝송 모음 [2025]
- 듣기만 해도 행복해지는 팝 명곡, 해피 송
- 【2025】칠석에 듣고 싶은 팝 명곡. 별과 은하수와 관련된 러브송
- 80년대에 히트한 팝 음악의 러브송. 세계의 명곡, 인기곡
- 촉촉한 서양 음악|달콤한 명곡이 다수 등장…
별을 노래한 팝 명곡. 추천 인기곡(41~50)
Seventh StarBlack Sabbath

헤비 메탈의 시조적인 존재로도 불리며 50년이 넘는 긴 세월 동안 활동을 이어온 영국의 하드 록 밴드 블랙 사바스의 열두 번째 앨범이, 이 곡이 수록된 동명의 제목인 ‘세븐스 스타’입니다.
Wishing on A StarCover Girls

이 곡을 부르고 있는 커버 걸스의 결성 당시 콘셉트는 ‘프리스타일의 슈프림스’였다고 합니다.
다만 그들의 음악성은 프리스타일보다는 팝에 더 가까운 듯합니다.
일본에서 모리카와 유카리의 커버로 대히트한 ‘쇼 미(Show Me)’는 원래 그녀들의 곡이었습니다.
We are starsHear ‘n Aid

히어 앤드 에이드는 1985년에 이루어진 아프리카 기아 구호를 위한 자선 프로젝트를 의미합니다.
이 프로젝트에 동참한 뮤지션과 아티스트들이 녹음한 자선송이 바로 이 곡입니다.
StarlightMuse

1990년부터 현재까지 활동하고 있는 영국 출신 록 밴드 뮤즈.
얼터너티브 록과 포스트 그런지 등 다양한 장르를 아우르는 인기 밴드로, 전 세계 총 판매량은 1,500만 장을 넘어섭니다.
그런 그들의 히트곡 중 하나인 ‘Starlight’는 2006년에 발매된 작품으로, 영국 차트에서 1위를 기록했습니다.
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별을 테마로 한 곡으로, 별을 비유로 끌어오며 연인에게 사랑을 고백하는 가사로 완성되어 있습니다.
Shining StarManhattans

미국의 5인조 R&B 그룹인 더 매너핫탄스가 1980년에 발표해 대히트한 곡이 바로 이 곡, 일본어 제목 ‘꿈의 샤이닝 스타’입니다.
곡에서는 사랑하는 당신을 빛나는 별에 비유해 노래하고 있으며, 아주아주 달콤한 발라드가 되어 있습니다.
SpacemanBABYLON ZOO

이 곡은 ‘Levi’s Jeans’ 캠페인에 사용되었으며, 발매 후 처음 6일 동안 418,000장이라는 대히트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레이블 EMI 레코드에서 비틀즈의 ‘She Loves You’ 이후 가장 빠른 기록입니다.
Little Star Of BethlehemCan

독일 크라우트록계를 대표하는 밴드 칸(Can)이 들려주는 환상적인 한 곡.
별이 빛나는 하늘과 무한한 우주를 그려낸 이 작품은, 귀에 남는 선율과 심오한 울림으로 듣는 이의 마음을 사로잡습니다.
칸이 표현하는 우주는 단지 환상적일 뿐만 아니라, 깊은 사유와 탐구의 장을 제공합니다.
여러 겹의 신시사이저 사운드는 청자를 마치 다른 차원으로 이끄는 듯합니다.
별과 우주가 지닌 영원한 매력을 음악으로 능숙하게 흩뿌려, 리스너에게 새로운 세계관을 펼쳐 보입니다.
2013년에 발매된 이 작품은 1968년부터 1969년에 걸쳐 녹음된 미발표곡을 수록한 앨범 ‘Delay 1968’에 담겨 있습니다.
록의 범주에 머무르지 않고, 팝/록 애호가라면 한 번쯤 경험해야 할 명작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