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G MusicHit Song
멋진 히트송
search

【2000년대】노래방에서 히트한 명곡 모음

2000년대의 히트곡이라고 하면, 여러분은 어떤 곡이 떠오르나요?

90년대부터 활약을 이어온 밴드와 가수, 2000년대에 들어 등장한 그룹 등, 당시 음악 신에는 다양한 아티스트들의 인기곡이 많이 있었죠.

또한 당시에는 노래방 인기가 매우 높았던 시대라, 친구나 동료와 함께 자주 노래방에 갔다는 분들도 많을 거예요.

그래서 이 기사에서는 2000년대에 히트한 곡들 중에서, 노래방에서 인기가 많았던 곡들을 한꺼번에 소개해 드릴게요!

이 기회에 당시의 추억의 노래들을 한번 불러보는 것도 추천합니다.

[2000년대] 노래방에서 히트한 명곡 모음 (41~50)

예! 엄청난 홀리데이마쓰우라 아야

마츠우라 아야 – Yeah! 멧차 홀리데이 [PV]
예! 멧챠 홀리데이 마츠우라 아야

마쓰우라 아야의 인기를 확고히 만든 곡입니다.

제목 그대로 ‘엄청’ 신나는 곡으로, 젊은 층을 중심으로 크게 히트했습니다.

마에다 켄이나 하루나 아이 등, 아야야를 흉내 내는 사람들이 앞다투어 이 곡을 사용한 것도 장기 히트의 계기가 되었다고 할 수 있겠지요.

분위기를 끌어올리기에 최적의 곡입니다.

[2000년대] 노래방에서 히트한 명곡 모음 (51~60)

또 만나요SEAMO

설령 사랑했더라도 한 번 꼬여버린 사이는 두 번 다시 돌아오지 않는다….

그런 남녀의 사랑의 복잡함과 엇갈림을 그려낸 것이 바로 이 ‘마타 아이마쇼(また 만나도록 해요/また逢いましょう)’.

당시 슬럼프로 침체해 있던 SEAMO가 불사조처럼 부활한 기념비적인 곡이기도 합니다.

커플이 함께 부를 곡은 아니지만, 사이좋은 친구와 함께 과거를 떠올리며 부르기에는 안성맞춤이라고 생각합니다.

장수풍뎅이aiko

장수풍뎅이 – aiko (풀 버전)
장수풍뎅이 aiko

2000년에 발매된 aiko의 ‘카부토무시(사슴벌레)’.

소녀들의 공감을 불러일으키는 연애 노래를 잇달아 발표해 온 aiko의 곡들 중에서도 특히 유명한, 사랑스러운 노래입니다.

연정으로 앓는 소녀의 마음에 우리도 두근두근하게 되네요.

이걸 노래방에서 부르면 그도 홀딱 반할지도 모릅니다!

Butterfly기무라 카에라

버터플라이 – 기무라 카에라 (풀버전)
버터플라이 키무라 카에라

키무라 카에라의 「Butterfly」는 2009년에 발매된 곡으로, 결혼식에서 사용하는 노래로 폭발적인 인기를 얻었죠.

키무라 카에라는 업템포의 팝한 곡이 많은 편이지만, 이 곡은 발라드예요.

밝음 속에서도 차분함이 느껴지는 작품입니다.

로코 로션ORANGE RANGE

다 같이 큰 소리로 분위기를 띄우고 싶을 때는 ‘로코로션’도 추천합니다.

이 곡은 록 밴드 ORANGE RANGE가 2004년에 발표한 노래 한 곡으로, 해변을 무대로 아름다운 여성과 남성의 사랑을 그린 내용입니다.

코믹한 스토리와 여름다운 분위기를 즐기면서 합의 타이밍에 맞춰 추임새도 넣어 보세요.

또 곡의 템포가 일정해서 리듬을 타며 몸을 흔들기 쉽고, 큰 소리로 따라 부르기 좋은 점도 매력입니다.

if…DA PUMP

2018년에 크게 히트한 ‘U.

S.

A.

’의 기억도 아직 생생한 남성 댄스&보컬 그룹 DA PUMP의 12번째 싱글 곡입니다.

그룹의 최대 히트곡으로 알려져 있으며, DA PUMP의 대명사인 파티송과는 또 다른 서정적인 멜로디와 핸섬한 랩이 어우러진 편곡이 정말 쿨하죠.

또 같은 세대라면 노래방에서 노래 파트를 부를지 랩을 할지 서로 다툰 경험이 있는 분도 많지 않을까요.

누구와 함께 가느냐에 따라 즐기는 방식이 달라지는, 2000년대 이후 노래방의 정석이 된 힙합 튠입니다.

아게♂아게♂ EVERY☆기사DJ OZMA

한국의 인기 가수 DJ DOC의 ‘Run to you’를 커버·편곡한 곡이 바로 이 ‘아게♂아게♂EVERY☆기사’입니다.

‘아게아게’라는 제목 그대로, 내용은 다소 과격하며 뜨거움과 화려함으로 가득합니다.

OZMA가 알몸으로 뜨겁게 열창하는 강렬한 퍼포먼스도 화제를 모았습니다.

말 그대로 열광적이라 할 수 있는 그 곡조는, 전력으로 즐기고 싶을 때 제격이라고 할 수 있겠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