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ぎ」로 시작하는 제목의 곡
‘기’로 시작하는 제목의 곡이라고 하면 떠오르는 곡이 있나요?
탁음으로 시작하는 곡은 드물지 않을까 하고 생각하기 쉽지만, 사실 꽤 많답니다.
떠올리기 쉬운 예로는 ‘기타(ギター)’로 시작하는 곡도 많이 존재해요.
그 밖에도 유명한 곡들이 많아서, 보면 ‘아, 이 곡도!’ 하실 거예요.
이 곡 목록에서는 ‘기’로 시작하는 제목의 곡들을 소개합니다.
노래방이나 끝말잇기 등에 분명 도움이 될 거예요.
그럼, 시작합니다!
- ‘기’로 시작하는 제목의 보카로 곡 모음
- ‘き’로 시작하는 제목의 노래 [노래방 & 끝말잇기에도! ]
- ‘게’로 시작하는 제목의 곡
- 곡명 끝말잇기에 유용! '가'로 시작하는 제목의 곡
- '고'로 시작하는 제목의 곡
- 「き」로 시작하는 제목의 보컬로이드 곡 모음
- '구'로 시작하는 제목의 곡. 노래방 선곡에!
- ‘게’로 시작하는 제목의 보컬로이드 곡 모음
- '구'로 시작하는 보카로 곡. 인기 있는 명곡이 가득해요!
- ‘가’로 시작하는 제목의 보카로 곡 모음
- 제목이 '지'로 시작하는 일본 노래 모음. 화제 곡부터 인기 곡까지
- ‘고’로 시작하는 제목의 보컬로이드 곡 모음
- "지"로 시작하는 제목의 보컬로이드 곡 모음
‘기’로 시작하는 제목의 곡(271~280)
은색 비행선supercell

특정한 보컬을 세우지 않고, 작곡가 ryo를 중심으로 일러스트레이터와 디자이너들로 구성된 크리에이터 집단 supercell의 여섯 번째 싱글 곡입니다.
애니메이션 영화 ‘노려진 학원’의 오프닝 테마로 채택된 곡으로, 피아노와 스트링스를 특징으로 한 깊이 있는 편곡이 말 그대로 은빛 비행선이 하늘에 떠 있는 이미지를 떠올리게 하죠.
악기의 수와 음의 수를 최소화함으로써 투명감이 돋보이는, 7분에 이르는 대작이면서도 길이를 느끼지 않게 하는 뛰어난 넘버입니다.
G.I. 블루스사사키 이사오

사사키 이사오 씨는 애니송 가수로 알려져 있지만, 데뷔 초에는 로커빌리 가수였고, 엘비스 프레슬리를 닮았다는 이유로 ‘일본의 프레슬리’라고 불렸습니다.
‘G.
I.
블루스’는 1961년 2월에 발매된 곡입니다.
‘기’로 시작하는 제목의 곡(281~290)
은하철도 999사사키 이사오

『은하철도 999』는 마츠모토 레이지의 대표작 중 하나로, 미야자와 겐지의 작품 『은하철도의 밤』과 모리스 마테를링크의 작품 『파랑새』에서 힌트를 얻어 그려졌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주인공 호시노 테츠로의 고민과 이 세상의 부조리가 표현된 작품이기도 해서, 전체적인 색조가 다소 어두운 점도 특징입니다.
오프닝 테마인 이 곡 역시 작품의 분위기에 어울리는 노스탤지어를 자아내는 인상이 있습니다.
언젠가 희망에 닿을 수 있다고 믿으며 여행을 이어가는 듯한 쓸쓸함도 담고 있는 곡입니다.
반짝반짝한 여름(^ω^)ノ셰릴 놈 starring May’n

곡 제목에 이모티콘이 들어간 드문 한 곡.
프로그램 속 가희 셰릴 놈의 밝고 파워풀한 이미지를 최대한 부풀린 가사와 곡조로 되어 있다.
이런 류의 곡은 라이브에서 부르면 그때그때의 가창 방식에 따라 방송 중과는 다른 분위기가 되기 쉬운데, 라이브에서도 오리지널 그대로의 분위기를 재현해 내고 있다.
은빛 고양이아마노 츠키코

일러스트레이터로도 활동하는 싱어송라이터, 아마노 츠키코.
영상의 곡은 2002년에 발매된 ‘MEG & LiON’에 수록되어 있습니다.
힘 있는 가창이 멋지네요.
팬들 사이에서는 공포 게임 ‘영(零)’ 시리즈를 이미지하여 만들어진 곡이 아니냐는 말이 있습니다.
기타를 든 떠돌이새고바야시 아키라
닛카쓰 영화 ‘떠돌이 시리즈’의 주제가입니다.
떠돌이 아사히 씨의 액션과 사랑의 로망이 넘치는 이야기였죠.
자신의 외로운 삶을 석양에 비유하고 있습니다.
말 위에 타고 딱딱딱 달려가는 서부극 같은 편곡이 인상적입니다.
어화연가코야나기 루미코

가수로서뿐만 아니라 배우로서도 활약하고 있는 고야나기 루미코 씨의 곡입니다.
느긋한 가요풍 사운드로 전개되다가, 중간에 곡조가 민요의 분위기로 펼쳐지는 부분이 인상적이며, 어촌의 공기가 더욱 강하게 전해집니다.
가사에서는 어부를 사랑한 여성의 모습이 그려져 있고, 밤의 차가운 바다로 떠나가는 사랑하는 이에 대한 마음이 표현되어 있습니다.
곁에 있고 싶은 마음이 이루어지지 않는 데서 오는 고통도 담겨 있는, 바다처럼 다양한 표정을 지닌 곡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