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G Music가족의 노래
멋진 가족의 노래
search

[2025] 할아버지와 할머니를 주제로 한 명곡 모음 (서양음악)

일본에 경로의 날이 있는 것처럼, 미국과 이탈리아에도 공식적이진 않더라도 ‘조부모의 날’이 마련되어 있고, 중국에는 노인을 공경하는 날로 ‘중양절’ 등이 존재합니다.

특히 핵가족화가 진행되고 있는 일본에서는 조부모님을 좀처럼 만나지 못하는 분들이 많을 것이고, 어르신들에 대한 감사와 배려하는 마음은 그야말로 만국 공통이죠.

이번 기사에서는 할아버지와 할머니를 테마로 한 서양 음악의 명곡들을 조사하여, 시대와 장르를 불문하고 다양한 타입의 곡들을 모아 보았습니다!

가족을 주제로 한 곡이 많은 인상이 강한 컨트리 음악과 올드 명곡은 물론, 최근의 인기곡과 의외의 장르 작품 등 다채로운 라인업을 즐겨 주세요!

[2025] 할아버지와 할머니를 주제로 한 팝 명곡 모음 (31~40)

In ColorJamey Johnson

Jamey Johnson – In Color (Official Video)
In ColorJamey Johnson

제이미 존슨이 쓴, 노인들에 대해 그리고 자신의 삶에 대해 다룬 감정적인 곡입니다.

2000년에 세상을 떠난 그의 할아버지에게 경의를 표하기 위해 제작되었습니다.

2009년 컨트리 뮤직 어워드에서 올해의 노래(Song of the Year)를 수상한 작품입니다.

Sunday CandyMatthew West

매튜 웨스트의 세 번째 스튜디오 앨범 ‘Something to Say’에 수록된 트랙입니다.

그의 86세 할머니 루엘라 제인 웨스트에 대해 노래하고 있습니다.

천국에 대한 슬픔과 희망을 함께 그려낸 뮤직비디오는 내슈빌에서 촬영되었습니다.

Death BloomsMudvayne

Mudvayne – Death Blooms (Official Video)
Death BloomsMudvayne

Mudvayne의 리드 보컬 채드 그레이 등이 쓴 ‘죽음’에 관한 노래입니다.

그의 삶에 큰 영향을 준 할머니 베티 레이에게서 영감을 받아 만들어졌습니다.

그녀는 수년간의 암 투병 끝에 2005년에 세상을 떠났습니다.

Burn Your Life DownTegan and Sara

“Burn Your Life Down” – Tegan and Sara
Burn Your Life DownTegan and Sara

1995년에 캐나다에서 결성된 인디 팝 듀오 Tegan and Sara는 쌍둥이 자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 곡은 그들의 할머니의 죽음과, 그것에 대해 할아버지가 어떻게 반응했는지를 주제로 쓰였습니다.

앨범 ‘Con’에 수록된 곡입니다.

GhostsJake Owen

제이크 오언은 미국 플로리다주 출신의 컨트리 음악 싱어송라이터입니다.

이 곡은 한 번도 만나본 적 없는 할아버지와 자신의 삶 사이에서 많은 공통점을 발견한 그가 이를 바탕으로 만든 작품입니다.

【2025】조부모를 주제로 한 서양 음악의 명곡 모음 (41~50)

Grandma SongJoey Dosik

할머니에 대한 깊은 사랑과 감사가 담긴 따뜻한 곡입니다.

Joey Dosik이 2018년 8월에 발매한 앨범 ‘Inside Voice’에 수록되어 있으며, 70년대 소울 음악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세련된 작품입니다.

도식의 매혹적인 보컬과 멜로디가 돋보이며, 차분한 발라드에 실어 가족의 소중함을 노래합니다.

유년 시절부터 소중히 간직해 온 할머니와의 추억과, 할머니에게서 받은 영향에 대해 노래하고 있어, 듣는 이의 마음에 깊이 울림을 주는 내용입니다.

이 작품은 소중한 사람에게 전하는 감사의 마음을 다시 확인하고 싶을 때나, 가족과의 유대를 느끼고 싶을 때 추천합니다.

Tell You Something (Nana’s Reprise)Alicia Keys

허스키한 음색이 인상적인 미국 출신 싱어송라이터, 알리샤 키스.

초기에는 R&B를 중심으로 한 음악성이었지만, 현재는 음악성은 물론 가사에 중점을 두고 있는 인상입니다.

그런 그녀의 할머니와 할아버지를 테마로 한 작품이 바로 이 ‘Tell You Something (Nana’s Reprise)’.

추상적인 가사이지만, 아마도 먼저 세상을 떠난 할머니나 할아버지에 대한 후회의 감정을 그려낸 작품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