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대 여성들이 부르기 쉬운 팝송 노래방 곡. 세계 명곡, 추천 인기곡
노래방은 좋은 스트레스 해소와 기분 전환이 되죠.
항상 부르는 곡도 즐겁지만, 가끔은 팝송을 불러보는 것도 좋지 않을까요?
그럴 때 추천하는, 50대 여성분들이 노래방에서 부르기 쉬운 팝송을 소개합니다.
- 50대 여성이 신나는 분위기를 만들 수 있는 팝송 노래방 곡. 세계적인 명곡, 추천 인기곡
- 【50대】노래방에서 부르기 쉬운 팝송 랭킹【2025】
- 50대 여성에게 추천하는 팝송. 세계의 명곡, 인기곡
- 60대 여성분이 부르기 쉬운 팝송(외국 노래) 노래방 곡. 세계 명곡, 추천 인기곡
- [60대] 노래방에서 부르기 쉬운 팝송 랭킹 [2025]
- [60대] 노래방에서 분위기 띄우는 팝송 랭킹 [2025]
- 40대 여성들이 신나게 부를 수 있는 팝송 노래. 세계 명곡, 추천 인기곡
- [50대 여성이 좋아하는 노래] 달콤하고 애절한 주옥같은 러브송을 엄선!
- 50대 여성에게 추천하는 부르기 쉬운 일본 가요의 노래방 곡
- [2025] 50대 남성에게! 노래방에서 부르기 쉬운 팝 명곡 모음
- 【2025】50대 남성을 위한! 노래방에서 분위기를 띄우는 명곡 외국 노래 모음
- [50대] 노래방에서 분위기 살리는 팝송 랭킹 [2025]
- 60대 여성들이 신나게 부를 수 있는 팝송(서양 음악) 가라오케 곡. 세계 명곡, 추천 인기곡
50대 여성에게 부르기 쉬운 외국 팝 가라오케 곡. 세계 명곡, 추천 인기곡(1~10)
What A FeelingIrene Cara

아이린 카라의 히트 싱글입니다.
1983년에 공개된 영화 ‘플래시댄스’의 주제가로도 유명하죠.
일본에서는 TV 드라마 ‘스튜어디스 이야기’의 주제가로도 사용되었습니다.
이 인트로만 들어도 벌써 몸이 움직이기 시작하는 분들이 많지 않을까요? 꼭 춤추면서 함께 불러봐요!
Upside downDiana Ross

전 슈프림스의 다이애나 로스가 1980년에 발표한 디스코 넘버.
시크의 기타리스트 나일 로저스와 베이시스트 버나드 에드워즈가 프로듀싱을 맡았다.
곡은 디스코 스타일로, 디스코를 자주 즐기던 분들께는 익숙한 넘버일 테지만, 다이애나 로스의 곡이다 보니 부르기 난이도는 다소 높은 편이다.
하지만 신나는 곡이라 분명히 분위기를 끌어올릴 수 있을 것이다.
Doesn’t Really MatterJanet Jackson

자넷 잭슨의 2000년 히트 넘버입니다.
일본에서는 시마타니 히토미 씨의 일본어 커버 ‘파피용’으로 유명하죠.
오리지널 버전의 영어가 어렵다고 느끼신다면, 먼저 시마타니 히토미 버전으로 연습을 쌓은 뒤 자넷 버전의 영어 버전에 도전해 보시는 건 어떨까요?
50대 여성분들이 부르기 쉬운 팝송 노래방 곡. 세계 명곡, 추천 인기곡(11~20)
Turn It Into LoveKYLIE MINOGUE

원곡은 호주의 가수 카일리 미노그이지만, 일본에서는 아이돌 듀오 ‘WINK’의 커버가 더 유명할지도 몰라요.
애절하면서도 신나는 유로비트풍의 곡으로, 멜로디도 매우 따라 부르기 쉬운 넘버입니다.
꼭 WINK의 안무까지 함께 해서 불러 보세요!
Holding Out For A HeroBonnie Tyler

보니 타일러의 1984년 곡.
영화 ‘풋루스’의 삽입곡이다.
일본에서는 드라마 ‘스쿨 워즈’의 주제가로 아사쿠라 미키 씨의 커버가 유명하다.
이 곡에서 보니 타일러의 성량과 창법은 열창 스타일로 난이도가 다소 높은 편이지만, 멜로디가 뚜렷해서 부르기 쉽다.
다만 꽤 힘을 주어 불러 보자! 반드시 분위기가 달아오를 것이다!
I Love Rock N’ RollJoan Jett & The Blackhearts

여성 록 밴드 런어웨이즈의 전 멤버인 조안 제트의 최대 히트 넘버입니다.
그녀의 오리지널 곡이라고 생각하기 쉬운데, 의외로 The Arrows라는 남성 그룹의 커버곡이라고 하네요.
하지만 완전히 자신의 것으로 만들어버렸죠.
그런 조안 누님의 버전은 허스키한 보컬이라면 분위기를 아주 잘 살려 부를 수 있는 곡입니다.
꼭 로큰롤한 분위기로 신나게 즐겨 보세요!
VenusBananarama

바나나라마의 1986년 히트 넘버.
오리지널은 네덜란드 록 그룹 쇼킹 블루의 1969년 작품입니다.
일본에서는 나가야마 요코 씨가 아이돌 시절에 발표한 버전이 유명합니다.
그 밖에도 무려 야마구치 모모에 씨도 커버했었다고 합니다.
당시 디스코 세대에게는 견딜 수 없을 만큼 매력적인 넘버가 아닐까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