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G MusicKARAOKE
멋진 노래방 노래
search

‘후’로 시작하는 제목의 곡. 독특하고 폭넓은 ‘후’의 세계

‘둘’, ‘겨울’처럼 일상에서 자주 쓰이는 단어부터, ‘포토~’, ‘브라더~’ 같은 외래어도 많은 ‘후(Fu)’로 시작하는 제목들.

어떤 단어들이 떠오르나요?

이 글에서는 ‘후’로 시작하는 인기 곡이나 사용하기 좋은 제목을 소개합니다.

종류가 다양하고, 독특한 제목도 꽤 쉽게 찾을 수 있어 외우는 재미가 있을지도 몰라요!

‘후’로 시작하는 곡에는 뭐가 있을까? 하고 궁금해질 때는 물론, 곡 제목의 마지막 글자로 이어가는 노래방 끝말잇기처럼 선곡할 때의 실마리로도 활용해 보세요.

‘후’로 시작하는 제목의 곡. 독특하고 폭넓은 ‘후’의 세계(131~140)

FluorescenceProject Lumina

마음 깊숙이 반짝이는 등불 같은, 애틋하면서도 따뜻한 감동의 노래입니다.

음악 프로젝트 Project Lumina의 ‘Fluorescence’는 2025년 1월에 공개되었습니다.

EDM 스타일의 곡으로, 피아노의 부드러운 음색이 마음에 스며들고, 하츠네 미쿠의 곧은 보컬이 가슴 깊은 곳까지 전해집니다.

가사는 듣는 이의 기억 속에 잠든 소중한 풍경을 떠올리게 하는 완성도입니다.

쓸쓸함을 느낀 밤이나, 다정한 눈물로 마음을 씻고 싶을 때, 꼭 한 번 귀 기울여 보세요.

퍼스트 바이트비밀의 피어싱

공의존이라는 무겁고 애잔한 주제를 그려 낸 작품입니다.

독특한 음악 스타일을 지닌 내쇼노 피어스 씨의 곡으로, 2024년 12월에 공개되었어요.

한 번 들으면 잊을 수 없는 감정적인 멜로디와 디테일까지 치밀하게 다듬어진 편곡이 정말 훌륭하죠.

그리고 카후의 감정의 결을 느끼게 하는 보컬이, 이 작품의 어둑하면서도 아름다운 세계관을 한층 더 깊게 표현합니다.

사랑에서의 복잡한 감정에 마음이 짓눌릴 것 같은 밤, 이 곡에 몸을 맡기고 눈물을 흘리며 마음을 리셋해 보는 건 어떨까요?

고향의 사계를 노래하다천 마사오

웅대한 보컬이 인상적인 센 마사오 씨의 명곡 ‘고향의 사계를 노래하다’.

센 마사오 씨는 담백하고 중후한 창법이 많은 편이지만, 이 작품은 따뜻하게 감싸는 장대한 보컬로 정리되어 있으며, 전반적으로 느긋한 템포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간주가 많고 여백이 큰 곡이지만 결코 꾸밈음(코부시)이 많은 편은 아니기에, 음정을 제대로 따라가면 충분히 소화할 수 있는 곡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다만 롱톤이 많으므로, 다이내믹을 활용해 과도하게 소리를 내지 않도록 유의하세요.

from me to u (feat. Poppy)BABYMETAL

BABYMETAL – from me to u feat. Poppy (OFFICIAL MUSIC VIDEO)
from me to u (feat. Poppy)BABYMETAL

전 세계에서 독자적인 ‘카와이 메탈’ 돌풍을 일으키고, 2023년에 MOMOMETAL을 맞이해 새로운 체제로 거듭난 BABYMETAL.

국내외의 대형 페스티벌을 열광하게 만드는 그들이 2025년 4월에 발표한 Poppy와의 콜라보레이션 넘버는 말 그대로 스트레스 해소에 제격인 한 방입니다.

본작은 초기 시절을 연상시키는 감미로운 멜로디와 강력한 비트가 Poppy의 샤우트와 융합되어, 네오 도쿄를 무대로 한 격렬하면서도 큐트한 세계관을 펼칩니다.

앨범 ‘METAL FORTH’에 수록된 이 곡은 듣는 이의 영혼을 뒤흔들고, 일상의 답답함을 날려버리는 에너지로 가득 차 있습니다.

노래방에서 마음껏 외치면 기분 전환은 틀림없어요!

“플레세의 꽃들” 제3권 Op.16: 제2곡 여름의 은신처에 입주하여Wilhelm Peterson-Berger

페테르손-베리에르: 「프로쇠의 꽃들」 제3권 Op.16: 제2곡 여름의 은신처에 입주하여 [낙소스 클래식 큐레이션 #코믹] / Frosöblomster, Book 3-2
“프레위스에의 꽃들” 제3권 Op.16: 제2곡 여름 은신처에 입주하여 빌헬름 페테르손-베리어

여기, 무더운 여름에 딱 어울리는 청량한 피아노 곡을 소개할게요.

스웨덴의 작곡가 빌헬름 페테르손-베리엘의 피아노 소품집 ‘Frösöblomster’ 제3권에 실린 특별한 한 곡이에요.

1914년에 완성된 이 곡은 마치 여름의 고요한 은신처에 살며시 발을 들이는 듯한, 잔잔하고 아름다운 선율이 마음에 깊이 와닿습니다.

듣다 보면 반짝이는 나뭇잎 사이로 스며드는 햇살과 상쾌한 산들바람을 느끼는 기분이 들죠.

작곡가가 사랑한 프뢰쇠 섬의 여름 풍경이 눈앞에 떠오르는 듯해 일상을 잠시 잊게 해줍니다.

화려하진 않지만 서서히 마음에 스며드는 그런 매력이 가득해요.

일상의 소란에서 벗어나 조용히 음악의 세계에 잠기고 싶은 분들께 정말 추천합니다.

마음을 가라앉히고 싶을 때나 한가로운 오후의 순간에 이 곡을 들으면 분명 따뜻하고 부드러운 마음이 될 거예요.

독서할 때 함께하기에도 아주 잘 어울릴지 모르겠네요!

후와라이도Adeliae

‘후와라이도’는 Adeliae님의 작품으로, 2025년 5월에 발표되었습니다.

다수에게 휩쓸리는 것에 대한 풍자를 담은 가사가 하츠네 미쿠의 나른한 보컬과 어우러져 중독성을 자아냅니다.

베이스가 강조된 사운드 어레인지가 세련되어 듣기 좋은 완성도입니다.

어느새 몸으로 리듬을 타게 되죠.

주변에 휩쓸리지 않고 자신을 관철하고 싶을 때, 이 곡을 들으면 분명 마음에 와닿을 거예요.

프랑스 모음곡 제2번 BWV 813 쿠랑트J.S.Bach

Bach French Suite No.2 “Courante” (take 4) P. Barton, FEURICH 133 piano
프랑스 모음곡 제2번 BWV 813 쿠랑트 J.S. 바흐

프랑스 모음곡 가운데서도 무곡다운 매력이 가득한 이 곡은, 3박자의 우아한 리듬과 흐르듯 이어지는 선율이 인상적입니다.

1722년에서 1725년 사이에 작곡된 바로크 음악의 걸작으로, 프랑스풍과 이탈리아풍 무곡 스타일을 융합한 세련된 작품입니다.

가사는 없지만, 곡 자체가 말을 거는 듯한 표현력과 풍부한 선율을 통해 궁정의 우아한 무도회 장면이 떠오릅니다.

느긋한 템포이면서도 복잡한 리듬이 얽혀 있어, 연주 기법과 음악 이론의 습득을 목표로 하는 분이나 바로크 음악의 매력을 음미하고 싶은 분께 추천합니다.

교육적 목적에서 작곡된 본 작품은 연주하기 쉬우면서도 예술성을 겸비한 한 곡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