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 조정 없이, 본래 목소리로 즐길 수 있는 노래방 곡
노래방을 즐기는 묘미 중 하나는, 가성 말고 본음으로 마음껏 부를 수 있다는 점이 아닐까요?하지만 키가 너무 높아 불러지지 않는 곡이나, 무리해서 부르면 목을 상하게 하는 곡도 많죠.
그런 고민을 해결하기 위해, 이 글에서는 본음으로 무리 없이 부를 수 있는 곡들을 폭넓게 소개합니다!남성분도 여성분도 원키 그대로 즐겁게 부르고 시원하게 완창할 수 있는 곡들뿐이니, 꼭 노래방 선곡할 때 참고해 보세요!
- 노래방 초보자도 안심! 남성이 부르기 쉬운 노래
- 저음 여성분들 필독! 노래방에서 부르기 좋은 인기곡
- 저음이 낮은 남성, 저음에 강한 남성에게 추천하는 노래방 곡
- [노래방] 여성이 부르기 쉬운 곡을 한눈에 소개!
- “나 음치일지도…” 노래가 서툰 분도 노래방에서 부르기 쉬운 곡
- [남고생용] 노래방에서 부르기 쉬운 일본 가요 모음
- 노래방에서 잘 부르는 것처럼 들리는 노래
- [노래방] 쉽게 고득점을 노릴 수 있는 곡|정석부터 최신 곡까지 등장
- 100점을 받기 쉬운 노래방 곡 [남성용]
- [노래방] 저음인 사람도 부르기 쉬운 보컬로이드 곡 모음
- [여성向け] 음역대가 좁고 키 조절이 쉬운 곡!
- [목소리가 낮은 남성용] 노래방에서 점수가 잘 나오는 곡
- [30대 여성용] 목소리가 낮아도 부르기 쉬운 노래방 송
남성(41~50)
BFFMrs. GREEN APPLE

‘BFF’의 연주 스타일은 미세스의 세 사람만으로, 서포트 악기는 없다고 합니다.
하나하나의 소리가 깨끗하고 심플한 발라드 곡이 되었어요.
음역대는 C3~D5이며, 이 곡에서는 C#4가 많이 사용됩니다.
A멜로의 시작 음이 최저음이라 음정을 잡기 어려울 수도 있습니다.
저음은 ‘세게 내기’가 아니라 ‘천천히 소리를 내기’를 의식해 보세요.
표정근을 충분히 끌어올리고, 내 눈앞에 소리를 놓는 느낌으로 발성하면 저음에서도 충분히 울립니다.
참고로 노래할 때는 기본적으로 표정근을 계속 올려 두는 것이 이상적입니다.
저도 제자분들께 늘 전하고 있는데, 오오모리 씨가 자주 하고 있으니 꼭 주목해서 보세요! 또, 허밍도 곡 중에 나오니 꼭 해 보세요.
허밍이 가볍게 되면 노래 부르기가 더 쉬워집니다!
남성(51~60)
뇌내 마약 Remix feat. CHEHON, MAKA, 구준, POWER WAVE, CIMA & keithRAY

지금 힙합 씬과 레게 씬에서 화제를 모으고 있는 작품 ‘뇌내마약 Remix feat.
CHEHON, MAKA, 구준, POWER WAVE, CIMA & keith’.
DJ인 RAY의 배틀 씬 참전에서 탄생한 곡으로, 힙합과 레게의 경계를 넘어선 벌스가 특징입니다.
본작의 훅은 RAY의 곡 치고는 음역대가 매우 좁아, 원곡 키로도 무리 없이 발성할 수 있다는 분들이 많을 것입니다.
힙합 헤즈 분들은 꼭 레퍼토리에 추가해 보세요.
꽃봉오리코부쿠로

코부쿠로의 ‘츠보미’도 정말 명곡이죠.
혼자서도, 둘이서도 꼭 불러봤으면 하는 곡이에요.
코부쿠로는 듀오답게 음역대가 A#2~A#4로 꽤 넓은데, 쿠로다 파트가 상당히 저음이라서 두 사람이서 부를 때는 쿠로다 파트를 맡는 것도 좋을 것 같아요! 참고로 저도 이 곡을 부를 때 남성 파트너가 있었는데, 멜로디 라인은 전부 파트너에게 맡기고 저는 화음에 정착했었어요! 이 노래는 화음도 정말 멋지니까, 파트너가 있는 분들은 화음에도 도전해 보셨으면 해요! 전체적으로 과하게 힘주지 않도록 차분한 분위기로 불러보세요.
징글유우마

유튜버 그룹 ‘코무돗토’에서 ‘가창력 담당’으로 활동하고 있는 유마 씨.
그의 곡 ‘Jingle’은 제 제자들도 목 상태가 좋지 않을 때 “부르기 편해!”라며 자주 불렀던 노래예요.
‘Jingle’의 음역대는 B2–D#4로, 전반적으로 저음과 중음에 집중되어 있습니다.
A메로→B메로→사비로 갈수록 고조되는 것은 물론이지만, 다른 곡들과 달리 음역 변동이 크지 않아 음정 맞추기도 쉬울지 몰라요.
겨울에 딱 맞는 곡이니, 꼭 연습해 보세요!
신보물섬사카낙션

여성이라면 음역대상 꽤나 부르기 쉬울 초인기 곡입니다! 일렉트로닉 음악과 록을 결합한 음악성이 지지를 받는 밴드, 사카낙션의 대표곡으로 2015년에 싱글로 발매되었습니다.
영화 ‘박맨’의 주제가로 새로 쓰인 곡이기도 합니다.
새로움과 레트로한 분위기가 어우러진 사운드는 반복 재생을 멈출 수 없을 만큼 강력한 매력이 있습니다.
‘노래방에 가면 먼저 이거!’라고 추천할 수 있는 곡이기도 해요!
잃어버린 물건키타니 타츠야

키타니 타츠야 씨는 고음 이미지보다 저음 이미지가 더 강한 인상이 있죠.
키타니 씨의 대표곡으로 ‘푸른 수미카’가 있지만, 사실 이번 ‘잃어버린 물건’은 음역이 더 좁아서 저음 남성분들이 가성 없이도(평성으로) 부르기 더 쉽지 않을까요? 서브 훅에서 높은 부분이 조금 나오긴 하지만, 이 부분은 가성으로 불러도 전혀 문제 없습니다! 다만 라스트 사비는 전조되어 음이 한 음 올랐습니다.
부를 때 여기만 넘길 수 있으면 완벽하다고 생각하니, 기세를 몰아 소리를 내보세요!
무희Vaundy

심플한 사운드지만 깊이가 있어서 아주 편안합니다.
현역 대학생으로 메이저 데뷔해 화제가 되었던 싱어송라이터 Vaundy의 작품으로, 2021년에 디지털로 발매되었습니다.
도심의 밤이 떠오르는 로파이하고 세련된 분위기가 정말 매력적이에요.
계속 듣고 싶어지는 매력을 지니고 있습니다.
가사의 어딘가 신비로운 세계관을 떠올리며 노래하면 기분이 좋아질지도 몰라요.
부드러운 목소리로 꼭 불러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