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우스·테크노 인기 곡 랭킹
댄스 뮤직의 왕도를 걷는 포온더플로어(네 박자 킥).
해외에서는 ‘포 온 더 플로어’라고 불리며, 댄스 플로어의 정석 리듬으로 여겨집니다.
그중에서도 보편적인 일렉트로닉 뮤직이라 하면 하우스와 테크노입니다.
신시사이저, 시퀀서, 샘플러 등으로 주로 구축되는 이 장르들은 시대의 변화에 따라 지금도 형태를 바꾸며 진화하고 있습니다.
2015년 이후에는 모던함을 내세운 비교적 차분한 분위기의 EDM, 퓨처 하우스의 대두와, 전 세계에서 거대한 페스티벌을 개최하는 하드 테크노, 하우스와 테크노의 중간을 취한 듯한 매우 그루비한 텍 하우스 등 새로운 씬의 발전을 엿볼 수 있습니다.
이번에는 본 사이트에서 인기가 있었던 트랙을 랭킹 형식으로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 하우스 음악 명곡에 맞춰 춤을! 전 세계를 계속 매료시키는 대표곡들
- 최신 하우스 음악【2025】
- 역사에 이름을 남긴 테크노의 명반. 한 번은 들어보고 싶은 추천 앨범
- [초보자용] 하우스 음악의 유명한 해외 아티스트 정리
- 딥 하우스의 명곡. 추천하는 인기 곡
- 최신 테크노 음악|2025년 트렌드를 소개
- 테크노의 추천 ~ 왕년의 명곡부터 00년대 이후의 인기곡까지
- 디트로이트 테크노의 명곡. 먼저 들어보길 추천하는 유명곡·인기곡
- 클럽 음악의 정석. 추천 명곡, 인기곡
- 최신 댄스 음악. 클럽 하우스를 달아오르게 하는 EDM【2025】
- 테크 트랜스는 어떤 사운드일까? 추억의 곡으로 돌아보는 트랜스 음악의 세계
- 아름다운 일렉트로니카 ~ 추천 명곡·인기곡
- [정석] 나이트코어의 명곡|최신 곡도 소개
하우스·테크노 인기 곡 랭킹(71~80)
DollhouseMelanie Martinez78위

가수, 배우, 극작가, 연출가, 사진가 등 다양한 타이틀을 지닌 미국 출신의 멀티 아티스트 멜라니 마르티네스.
아트 팝과 얼터너티브 팝을 중심으로 한 음악성으로 코어한 팬층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그런 그녀의 명곡이 바로 이 ‘Dollhouse’입니다.
고딕한 분위기가 감도는 앙누이한 작품으로, 나이트코어로 리믹스된 이 버전에서는 섹시한 무드가 더욱 강조됩니다.
꼭 체크해 보세요.
I Took A Pill In Ibiza (Seeb Remix)Mike Posner79위

미국 출신의 다재다능한 아티스트, 마이크 포즈너의 곡입니다.
포즈너는 미국 횡단 도보 여행을 완주하는 등 독특한 이력을 가진 인물로도 잘 알려져 있습니다.
이 작품은 경쾌한 트로피컬 하우스 사운드에 맞춰, 화려한 성공 뒤에 있는 고독과 허무함을 노래한 한 곡이죠.
이 대비가 듣는 이의 마음에 깊이 와닿는 것일지도 모릅니다.
원래는 잔잔한 발라드였던 곡을 리믹스해 2016년 3월에 공개하자 전 세계적으로 큰 히트를 기록했습니다.
제59회 그래미 어워즈에서 ‘올해의 노래’ 후보에 올랐다고 하네요.
반짝이는 파티의 구석에서 문득 제정신으로 돌아오는 듯한 감각.
그런 약간은 쓰린 밤에 흠뻑 젖고 싶을 때 들어보는 건 어떨까요?
RampampamMinelli80위

루마니아 출신의 여성 싱어송라이터 미네리.
댄스 팝을 중심으로 한 음악성으로 전 세계적인 인기를 모으는 아티스트입니다.
이 ‘Rampampam’은 그런 그녀의 히트곡 중 하나로, 2021년 3월에 발매된 작품이지만 2022년 현재에도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딥 하우스에 가까운 퓨처 하우스로 완성된 곡이기 때문에 세련된 분위기이면서도 듣기 쉬움을 겸비한 명곡입니다.
하우스·테크노 인기 곡 랭킹(81~90)
Enola GayOrchestral Manoeuvres in the Dark81위

인트로의 저렴한 리듬 박스와 매력적인 신시사이저 음색만으로도 저도 모르게 귀가 사로잡히네요! 그 뒤로 생 베이스 라인이 겹쳐지고, 댄서블한 드럼과 그야말로 뉴웨이브다운 보컬과 멜로디가 시작되면 이미 황홀경은 필연입니다.
이 최고의 팝하고 멋진 곡 ‘Enola Gay’는 영국의 신스팝 듀오 오케스트럴 매뉴버스 인 더 다크가 1980년에 발표한 히트곡입니다.
일본에서는 ‘에놀라 게이의 비극’이라는 일본어 제목으로 소개되었고, TV 아사히 뉴스 프로그램 ‘CNN 데이워치’의 테마곡으로도 쓰였죠.
말 그대로 테크노팝 클래식 중 하나라고 해도 과언이 아닌 명곡이지만, 노래되는 멜로디가 담담한 테크노팝이 많은 가운데, 이 곡은 비교적 또렷하게 가창하면서도 일본인 취향의 습기를 머금은 애수의 멜로디를 지녔다는 점이 특징적입니다.
크라프트베르크의 영향을 받으며 실험적인 면모도 지닌 그들의 다른 작품들도 꼭 체크해 보세요!
AmerikaRAMMSTEIN82위

미국이 다른 모든 나라를 어떻게 지배하는지에 대해 노래한, 풍자적인 가사를 특징으로 하는 곡.
독일 밴드 라므슈타인에 의해 2004년에 싱글로 발매되었다.
독일과 덴마크 차트에서 2위를 기록했고, 오스트리아와 벨기에 등에서도 히트한 곡이다.
Du HastRAMMSTEIN83위

독일이 세계에 자랑하는 인더스트리얼 메탈의 거장, 람슈타인.
그들을 국제적 존재로 끌어올린 것은 1997년에 발매된 두 번째 앨범 ‘Sehnsucht’에 수록된 한 곡입니다.
무기질적이고 반복되는 신시사이저 위에 땅을 기는 듯한 중후한 기타 리프가 겹쳐지는 사운드는 그야말로 인더스트리얼 메탈의 양식미라 할 수 있습니다.
본작의 주제는 결혼 서약이라는 의례적 장면에서의 통렬한 거부입니다.
‘사랑’을 묻는 말에 ‘증오’로 응답하는 듯한 말장난을 통해, 인간의 내적 모순과 소통의 단절을 날카롭게 그려냅니다.
영화 ‘매트릭스’에 기용되어 전 세계적 인지도를 얻은 이 곡은, 기계적인 냉혹함과 인간적인 격정이 소용돌이치는 그들만의 세계관을 체감하게 해줄 것입니다.
Ride itRegard84위

세련된 하우스 음악을 좋아하시는 분들께는 이 ‘Ride it’을 추천드립니다.
보컬에 걸린 이펙트가 정말 섹시하죠.
진지한 멜로디라서 저녁이나 밤 드라이브 음악으로도 잘 어울릴 것 같아요.
그루브도 뛰어난 작품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