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G MusicMusic
멋진 팝 음악
search

“I”로 시작하는 해외 음악 모음

영어 단어 가운데 ‘I’로 시작하는 단어라고 하면 ‘나’를 뜻하는 ‘I’뿐 아니라, 가정을 나타내는 ‘If’, 그리고 ‘Imagine’, ‘Idea’처럼 곡 제목으로도 쓰일 법한 것들이 많이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그렇게 제목이 ‘I’로 시작하는 서양 음악의 명곡들을 소개해 보겠습니다!

평소에 제목의 머리글자를 한정해서 곡을 찾는 일은 많지 않을 것 같지만, 그만큼 지금까지 눈에 띄지 않았던 곡들과 만날 수 있을지도 모릅니다.

어떤 곡들이 있는지 기대하는 마음으로 글을 읽어 주세요.

I로 시작하는 제목의 팝송 모음 (201–210)

i guess u never really cared about meArtemas

달콤하고 애절한 보컬과 다크웨이브 사운드가 어우러진, 얼터너티브 팝의 새로운 지평을 개척한 한 곡입니다.

영국 옥스퍼드셔 출신의 아르테마스는 그리스계 키프로스 혈통의 싱어송라이터로, 16세에 너바나에 감명받아 음악 제작을 시작한 그의 재능이 이번 작품에서 훌륭하게 꽃피었습니다.

2025년 4월에 공개된 본작은 실연의 아픔과 상대에 대한 무관심을 섬세하게 그려낸 곡입니다.

믹스테이프 ‘Yustyna’ 이후의 작품으로서 Rex Orange County와 Post Malone에 비견되는 독자적 사운드를 확립했습니다.

2025년 코첼라 음악 페스티벌에서의 첫 공개 또한 큰 화제를 모았으며, 내성적인 가사와 무디한 사운드는 실연의 상처를 치유하고 싶은 이들의 마음에 깊이 울릴 것입니다.

I Can’t Make MusicCarpenters

1973년 앨범 ‘Now & Then’에 수록된 이 발라드는 한없는 섬세함과 깊은 감정을 지닌 곡입니다.

피아노와 파이프 오르간, 스트링으로 이루어진 풍성한 편곡 위에 카렌 카펜터의 영혼이 담긴 콘트랄토 보컬이 더해져, 실연의 아픔과 상실감을 애잔하게 그려냅니다.

이 작품은 상업적으로 큰 성공을 거두지는 못했지만, 음악 평론가들로부터 ‘미래의 히트곡’, ‘아름다운 토치송’이라는 높은 평가를 받으며, 카펜터스의 예술성을 보여주는 숨은 명곡으로 열성 팬들 사이에서 회자되고 있습니다.

고요한 밤에 혼자 듣고 싶은, 마음을 깊이 울리는 한 곡으로, 소중한 분을 위한 플레이리스트에 더해보는 것은 어떨까요?

I’ll Never Fall in Love AgainCarpenters

브로드웨이 뮤지컬 ‘Promises, Promises’의 곡을 소프트 록의 거장인 카펜터스가 훌륭하게 재해석한 이 작품은, 카렌 카펜터의 깊이 있는 콘트랄토와 리처드의 세련된 편곡이 빛을 발합니다.

1970년에 발매된 앨범 ‘Close to You’에 수록된 본작은, 디온ヌ 워릭의 오리지널 버전과는 또 다른 매력을 선사합니다.

단편영화 ‘Superstar: The Karen Carpenter Story’의 사운드트랙에도 사용되는 등, 조용히 높은 평가를 받아온 명(名) 발라드입니다.

깊은 감정 표현과 아름다운 하모니가 어우러진 이 곡은, 고요한 밤에 혼자 듣기에 특히 추천할 만합니다.

It’s All About TonightH.E.A.T

H.E.A.T – “It’s All About Tonight” – Official Music Video (HD)
It's All About TonightH.E.A.T

2007년에 스웨덴에서 결성된 5인조 밴드 H.

E.

A.

T는 80년대의 스타디움 록과 AOR을 현대에 되살린 북유럽의 보물과도 같은 존재입니다.

이듬해 발매된 데뷔 앨범 ‘H.

e.

a.

t’는 젊은 실력파가 선보인 혼신의 멜로딕 하드 록으로 주목을 받았습니다.

Toto와 앨리스 쿠퍼의 오프닝 액트를 맡는 등, 활발한 라이브 활동도 매력 중 하나입니다.

힘 있는 기타 리프와 캐치한 멜로디, 에너지 넘치는 보컬이 어우러진 북유럽발 하드 록 사운드는 멜로딕 록 팬이라면 반드시 들어봐야 할 작품입니다.

I Don’t Want To Hurt YouLast Autumn’s Dream

AOR와 하드 록을 훌륭하게 융합한 음악성으로 알려진, 스웨덴과 독일의 뮤지션들이 2002년에 결집해 결성한 멜로딕 하드 록 밴드, 라스트 오텀즈 드림.

2003년에 데뷔 앨범 ‘Last Autumn’s Dream’을 세상에 선보인 이래, 감성적인 발라드부터 파워풀한 록 튠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표현력으로 청중을 매료시켜 왔습니다.

밴드의 중심 인물인 미카엘 에란드손의 감정 풍부한 보컬과, 전 페어 워닝의 앤디 마레섹의 날카롭고 예리한 기타 워크라는 개성적인 조합이 밴드의 시그니처가 되고 있습니다.

수많은 앨범을 꾸준히 발표해 왔으며, 2018년에는 일본 한정 베스트 앨범도 발매하는 등 특히 일본 팬들의 두터운 지지를 받고 있는 밴드입니다.

북유럽의 멜로디 지향 하드 록에 관심이 있는 분이라면 꼭 한 번 들어보시길 추천합니다.

I’ve Been WaitingMatthew Sweet

Matthew Sweet – I’ve Been Waiting (Official Video)
I've Been WaitingMatthew Sweet

달콤하면서도 아릿한 멜로디와 인상적인 기타 사운드가 마음을 울리는, 파워 팝의 명작입니다! 미국 싱어송라이터 매튜 스위트가 1991년 앨범 ‘Girlfriend’에서 발표한 이 곡은, 이혼 후 새 연애를 시작한 그의 실제 경험이 담겨 있어 강한 설득력을 지닙니다.

전 텔레비전의 리처드 로이드와 로버트 카인 같은 명연주자들이 기타로 참여했고, 아날로그 테이프로 녹음된 생생한 사운드도 매력적입니다.

영화 ‘All Over the Guy’와 TV 드라마 ‘Scrubs’에도 사용되었으며, ‘우루세이 야츠라’ 캐릭터를 기용한 MTV 뮤직비디오로도 화제가 되어, 파워 팝 팬은 물론 많은 리스너들의 마음을 사로잡고 있습니다.

I Wanna Be Your BoyfriendThe Rubinoos

파워 팝의 매력을 응축한 캐치한 넘버로, 미국 캘리포니아주 버클리 출신 밴드 더 루비너즈가 1979년에 세상에 내놓은 기념비적인 한 곡입니다.

팝 감각이 넘치는 중독성 있는 멜로디와 마음을 따뜻하게 하는 하모니로 음악 팬들의 마음을 사로잡아 왔습니다.

앨범 ‘Back to the Drawing Board’에 수록되었으며, 영국과 유럽의 라디오에서도 자주 온에어된 히트곡입니다.

같은 해에는 엘비스 코스텔로의 ‘Armed Funk Tour’에서 오프닝 무대를 맡는 등 라이브 활동도 활발히 펼쳤습니다.

이 작품은 2007년에 아브릴 라빈의 ‘Girlfriend’와의 유사성이 화제가 되었고, 이후 합의에 이르는 흥미로운 일화도 가지고 있습니다.

산뜻한 사운드와 달콤한 멜로디가 듣기 좋으며, 아련한 청춘 시절을 떠올리고 싶은 분들께 추천하는 곡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