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양 음악] 펑크의 뿌리를 따라가다. 한 번은 들어봐야 할 명반 모음 [초보자]
갑작스러운 말이지만, 여러분은 ‘펑크(Funk)’라는 음악 장르를 알고 계신가요? 설령 모르더라도, 일상 속에서 ‘펑키(Funky)’라는 말을 들어본 적은 분명 있을 것입니다.
음악 장르로서의 ‘펑크’는 1960년대에 그 원형이 탄생했고, 1970년대 이후에는 많은 인기 밴드가 펑크 음악의 히트곡을 잇달아 내며 전성기를 맞이했습니다.
지금도 당시의 곡들을 현대 힙합 아티스트들이 즐겨 샘플링하는 등, 후대에 미친 영향도 큰 펑크 음악.
이 글에서는 특히 초보자분들을 위해 먼저 들어보셨으면 하는 펑크의 명반들을 소개합니다!
- 외국 음악 추천 펑크 밴드. 해외의 인기 밴드
- 소울 음악의 명반. 한 번은 들어보고 싶은 추천 앨범
- 서양 재즈 펑크 명반 총정리—정석부터 최신작까지
- [초보자용] 정석적인 서양 소울·펑크 인기 밴드 모음
- R&B의 명반. 한 번은 들어보고 싶은 추천 앨범
- 소울 음악의 전설들. 명곡으로 되돌아보는 역사와 매력
- 필리 소울의 명곡|달콤한 소울 음악이 잇따라 등장
- 팝 랩 추천|전설적인 명곡들을 소개
- 펑키한 기분~ 펑크 음악의 과거와 현재
- 펑크의 대표적인 서양 음악 아티스트·그룹 정리
- 재즈 펑크의 명곡. 재즈와는 또 다른 매력을 지닌 추천 인기곡
- 서양 음악의 명반. 한 번은 들어보고 싶은 추천 앨범
- 디스코 음악의 명곡이 지금도 사랑받는 이유
[서양 음악] 펑크의 뿌리를 따라가다. 한 번쯤은 들어봐야 할 명반 모음 [초보자용] (61~70)
Watching YouSlave
오하이오의 헤비급 펑크 밴드라고 하면 70년대부터 80년대 초반에 활약한 Slave입니다.
80년에 싱글로 발매된 이 곡은 힙합 아티스트 스눕 독의 대히트곡 ‘Gin and Juice’에서 샘플링된 것으로도 유명합니다.
Disco to GoBrides Of Funkenstein

앨범 재킷도 유닛명도 강렬한 임팩트를 남기는, 펑카델릭과 퍼럴라먼트의 백업 코러스 팀으로 활약했던 두 여성으로 구성된 듀오가 1978년에 발표한 데뷔 앨범입니다.
당연히 P-펑크의 창시자 조지 클린턴이 프로듀싱을 맡았고, 부츠시 콜린스를 비롯한 P-펑크 군단이 빈틈없이 지원을 다졌습니다.
P-펑크의 노선을 기본으로 하면서도 재즈풍의 편곡이 곳곳에서 보이는 점이 흥미롭습니다.
화려하진 않지만, P-펑크 애호가라면 반드시 짚고 넘어가야 할 작품でしょう.
Le FreakChic

1977년에 미국에서 펑크 밴드로 데뷔한 Chic(시크)의 이 곡은 일본에서도 ‘오샤레 프리크(일본어 곡명)’으로 알려지며 70년대 후반 디스코 붐에 선풍을 일으킨 명곡입니다.
지금 들어도 바래지 않는 펑키함이 있습니다.
Juicy FruitMTUME

Mtume는 Miles Davis와 함께 활동했던 James Mtume를 중심으로 결성된 펑크·소울 그룹입니다.
Parliament-Funkadelic의 Bernie Worrell이 연주한 키보드가 특징인 이 곡은 R&B 라디오 방송국과 나이트클럽에서 큰 인기를 얻었습니다.
힙합의 샘플링에서는 정석적인 곡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Higher GroundStevie Wonder

1973년 앨범 ‘Innervisions’에 수록된 펑크 곡입니다.
미국 Hot R&B 싱글 차트에서 1위를 기록했습니다.
이 곡의 앨범 버전은 싱글 버전보다 30초 더 길며, 가사가 추가되어 있습니다.
레드 핫 칠리 페퍼스가 커버한 곡으로도 알려져 있습니다.
Tears At The End Of A Love AffairTammi Terrell

24세의 젊은 나이에 세상을 떠난 모town 소속의 여성 가수입니다.
그녀가 세상을 떠난 것은 마빈 게이의 듀엣 파트너로 주목을 받으며, 새로운 스타로서의 지위를 막 굳혀 가던 찰나였습니다.
솔로 앨범은 한 장만 발매했지만, 그녀의 훌륭한 작업을 마음껏 감상할 수 있는 2장짜리 컴필레이션을 소개합니다.
모town 시절의 유명 곡들은 물론, 데뷔 초의 귀중한 음원과 라이브 트랙 등 그녀의 매력이 가득 담긴 완성도 높은 편집반입니다.
Soul FingerThe Bar-Kays

Bar-Kays의 데뷔 싱글인 이 곡은 모두가 아는 미국 동요 ‘Mary Had a Little Lamb’의 인트로로 시작하는 점이 인상적입니다.
트럼펫의 잘게 끊기는 소리가 귀에 남아, 한 번 들으면 잊을 수 없는 곡이라고 생각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