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G Music일본의 노래
멋진 동요·민요·창가
search

나라를 노래한 명곡 ~ 고장(지역) 송·인기곡 모음 【2025】

고도 나라의 정취 있는 풍경과 유서 깊은 거리, 그리고 그곳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의 삶은 수많은 아티스트들의 마음을 흔들어 음악으로 표현되어 왔습니다.

대불님과 센토군, 사슴들 등 나라다운 요소를 담아낸 지역 노래부터, 나라를 무대로 한 정경을 포착한 서정적인 곡까지, 다양한 나라 관련 명곡들이 존재합니다.

이 글에서는 나라의 매력을 음악으로 표현한 주옥같은 곡들을 소개합니다.

나라의 매력을 소리로 느낄 수 있는 여러 곡들을, 부디 풍경을 떠올리며 즐겨 보세요!

나라를 노래한 명곡 ~ 지역 노래·인기곡 모음【2025】(1〜10)

여행의 정취~이카루가에서~후세 아키라

후세 아키라 씨의 깊고 풍부한 가성이 가슴에 스며드는 노스텔지어 넘버입니다.

1977년에 발표된 이 곡은 작사가 마쓰모토 다카시 씨가 고도 이카루가의 가을 풍경에 지나가 버린 사랑의 흔적을 겹쳐 놓은 작품입니다.

석양에 물든 산줄기와 바람에 흔들리는 억새의 바다.

그런 정경이 눈앞에 그려지는 듯한 아름다운 말들이, 후세 아키라 씨의 감정 넘치는 가성과 만나면서 마치 한 장의 풍경화 같은 세계관을 만들어 내고 있습니다.

이 곡을 들으며 고도를 여행한다면, 평범한 풍경조차도 특별하게 느껴지지 않을까요.

여행의 기억을 한층 더 선명하게 해주는, 그런 매력을 지닌 명곡입니다.

비형나가이 미유키

【MV】나가이 미유키 / 히메보타루(秘螢)
히호타루 나가이 미유키

초여름의 나라를 무대로, 어둠 속에서 춤추는 반딧불이에 덧없는 연정을 포개어 그려 낸 나가이 미유키의 ‘히보타루(秘螢)’.

꽃향기가 감도는 낮의 정경에서 반딧불이가 춤추는 밤의 정경으로 옮아가는 모습이 노랫말에 담겨 있어, 마치 한 편의 소설을 읽는 듯한 세계관에 단번에 빨려들게 됩니다.

전통적인 엔카의 틀에 머물지 않는 서구적 편곡과 애잔한 얼후의 음색이 절묘하게 어우러져, 숨겨진 사랑의 열정을 떠올리게 하는 이 곡.

나가이 씨의 숨결 섞인 보컬이 사무치는 그리움을 품은 주인공의 모습을 생생히 그려 내며, 듣는 이의 마음을 꽉 죄어 오게 하죠.

면影의 야마토 길소다 요스케

♪면영의 야마토 길♪ 노래: 마음의 고향 고도의 나라를 둘러보는 송♪ 야마토 길로
추억의 야마토길 소다 요스케

연인과의 추억에 잠기며 야마토지(대와로)를 둘러보는 내용을 담은 곡으로, 조금 애잔하게 부르는 창법이 특징입니다.

이 영상에서도 여러 가지 풍경을 즐길 수 있네요.

듣다 보면 저도 야마토지로 여행을 떠나고 싶은 기분이 들어요.

나라를 노래한 명곡 ~ 고장 노래·인기곡 모음【2025】(11~20)

센토군이라면 알고 있어마호로바 음악당(헤이조천도 1300년 기념제 응원단 유력자들)

센토군은 나라현의 마스코트 캐릭터로, 처음 등장했을 때 여러 가지 논란을 불러일으켰기 때문에 나라현 주민이 아닌 사람들에게도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그 테마곡이 바로 이 ‘센토군이라면 알고 있어’이며, 영상은 나라공원에서 열린 이벤트 당시의 것입니다.

사슴 센베 트위스트와카쿠사 시카노스케

나라현의 명물 중 하나로 사슴 과자가 있으며, 에도 시대에는 이미 판매되고 있었다고 합니다.

나라로 여행을 가서 사슴에게 주어 본 경험이 있는 분도 많지 않을까요? 그 사슴 과자의 매력을 칭송하는 독특한 곡입니다.

야마토로의 사랑미즈모리 카오리

BKMBB153 야마토로의 사랑③ 미즈모리 카오리 (2015) 150718 vL HD
야마토지의 사랑의 물 모리 가오리

‘대와로(야마토지)’란 나라현으로 이어지는 길, 혹은 나라현을 지나는 길을 말합니다.

만엽집에도 노래로 읊어져 있어, 예로부터 친숙하게 사용되어 온 말임을 알 수 있습니다.

이 곡은 미즈모리 카오리의 싱글로, 제57회 일본 레코드 대상에서 우수 작품상을 수상했습니다.

그 사람의 야마토 길타키타 가요코

그 사람의 야마토 길♪ 사이다이지→야마토코리야마→덴리(야마노베) 나라의 옛날을 그리워하는 송
저 사람의 야마토지 타키타 가요코

이것도 야마토 지역을 주제로 한 곡 가운데 하나로, 1절은 봄, 2절은 초여름, 3절은 가을처럼 각각 다른 계절이 노래되고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또한 연인과의 추억이 노래되고 있다는 점에서는 ‘면영의 야마토지(面影の大和路)’와 통하는 부분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