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G Music레크리에이션
멋진 시니어 라이프
search

90대 남성이 신나는 곡. 노래방에서 추천하는 명곡 모음

90대 남성분들 중에는 지금도 노래 부르는 것을 아주 좋아하시는 분들이 많지 않을까요?

가족이나 친구들과 노래방에 가시거나, 시설에서 하는 노래방 레크리에이션을 즐기시는 분들도 적지 않을 것 같습니다.

그래서 이 글에서는 90대 남성들이 신나게 즐길 수 있는 곡들을 한꺼번에 소개합니다!

90대 분들이 부를 노래를 찾는 데 도움이 되는 것은 물론, 90대와 함께 노래방에 가는 젊은 세대가 선곡할 때 참고하실 수도 있습니다.

쇼와 시대의 명곡을 중심으로 선정했기 때문에, 아마 세대를 막론하고 많이들 아시는 곡이 많을 거예요.

그럼 바로 살펴보겠습니다!

90대 남성이 신나게 즐길 수 있는 곡. 노래방에서 추천하는 명곡 모음 (1~10)

거리의 샌드위치맨츠루타 코우지

가슴에 바람을 안고 살아가는 사람들의 모습을 그린, 마음을 울리는 명곡입니다.

1953년에 쓰루타 코우지 씨가 불렀으며, 전후의 험난한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의 희망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실존 인물을 모델로 한 가사는, 듣는 이의 마음을 뒤흔듭니다.

이 곡을 흥얼거리다 보면, 인생의 고난을 헤쳐 온 자신의 모습을 떠올릴지도 모릅니다.

동료들과 모여 노래방을 즐길 때, 꼭 함께 불러보는 건 어떨까요?

고원 열차는 간다오카모토 아츠오

쇼와 시대의 명곡 ‘고원열차는 간다’는 오카모토 아츠로의 대표작으로 꾸준히 사랑받고 있습니다.

경쾌한 멜로디와 여행 감성이 가득한 가사가 매력적이며, 기차 창밖으로 보이는 아름다운 풍경과 만남의 기쁨을 그려냅니다.

1954년에 발표된 이 곡은 제5회 NHK 홍백가합전에서도 선보여져 많은 사람들의 마음에 깊이 새겨졌습니다.

JR 동일본 후쿠시마역의 출발 멜로디로도 채택되는 등 지금도 변치 않는 매력을 뿜어내고 있습니다.

고원의 상쾌한 바람을 느끼며 추억에 잠기고 싶을 때 추천하는 한 곡입니다.

다 함께 목소리를 맞춰 부르면 분명 멋진 추억이 될 것입니다.

찬치키 오케사미나미 하루오

기모노 차림으로 노래하는 모습이 인상적인 미나미 하루오 씨가 1957년 6월에 발표한 대표작입니다.

이 작품은 220만 장을 돌파한 대히트를 기록하며, 고향을 떠나 살아가는 많은 사람들의 향수를 자아냈습니다.

포장마차에서 고향을 그리워하는 애잔한 가사가 가슴에 와 닿지만, 한편으로는 흥겨운 하야시의 리듬이 듣기만 해도 마음을 두근거리게 하네요.

이 곡을 소재로 한 영화가 1958년에 개봉되었고, 본인도 출연했습니다.

가을밤이 길어지는 계절, 벗들과 담소를 나누는 한때가 한층 더 따뜻해질 것입니다.

평소 노래에 익숙하지 않은 분들도 손뼉을 치며 자연스럽게 미소로 흥얼거리게 되지 않을까요?

90대 남성이 신나는 곡. 노래방에서 추천하는 명곡 모음 (11~20)

고등학교 3학년후나키 가즈오

후나키 가즈오의 ‘고교 3학년생’은 청춘의 추억을 선명하게 그려 낸 쇼와 시대의 명곡입니다.

고등학교 생활의 끝이 다가오는 서글픔과 새로운 인생에 대한 기대가 가득 담긴 가사가 마음을 울립니다.

1963년에 발매된 이 곡은 후나키 가즈오의 데뷔작임에도 불구하고 100만 장을 넘는 대히트를 기록했습니다.

같은 제목의 영화도 공개되어 많은 사람들의 마음을 사로잡았지요.

아련한 학창 시절을 떠올리며 어르신들과 함께 부르면, 세대를 넘어 함께 즐길 수 있는 한 곡이 아닐까요?

북국의 봄천 마사오

[시청] 센 마사오 「북국의 봄」(쇼트.ver)
북국의 봄 치 마사오

『북국의 봄』은 고향에 대한 그리움을 다정하게 노래한 센 마사오의 대표곡입니다.

봄의 도래와 함께 떠올리는 고향의 풍경이 수채화처럼 아름답게 그려져 있습니다.

도시에 사는 주인공이 가족과 옛 연인에게 품은 마음이 가슴을 울립니다.

1977년에 발매된 이 곡은 300만 장이 넘는 대히트를 기록하며 홍백가합전에서도 여러 차례 불렸습니다.

아시아권에서도 널리 사랑받아 중국어와 태국어 커버 버전도 다수 존재합니다.

고향을 떠나 사는 이들의 마음에 다가서는, 마음 따뜻해지는 한 곡.

어르신들과 함께 부르면 아련한 추억담이 꽃필지도 모르겠습니다.

긴자의 사랑 이야기이시하라 유지로·마키무라 준코

긴자의 야경을 배경으로 애틋하고 아름다운 사랑을 그린 명곡.

이시하라 유우지로 씨와 마키무라 준코 씨의 절묘한 하모니가 가슴에 울립니다.

1961년에 발매되어 이듬해에는 동명의 영화 주제가로도 사용되었습니다.

300만 장을 넘는 대히트를 기록하며 이시하라 유우지로 씨의 대표곡 중 하나가 되었죠.

젊은 연인들의 강한 유대와 이별의 아픔, 재회의 바람을 노래한 가사가 인상적입니다.

어르신들에게는 청춘 시절의 추억과 겹쳐지는 한 곡.

그리운 마음으로 모두 함께 목소리를 맞춰 불러보는 것도 좋겠네요.

산자의 숙소오카와 에이사쿠

오카와 에이사쿠의 ‘산다화의 숙소’는 누적 180만 장의 대히트를 기록한 명곡입니다.

불륜을 테마로 한 애절한 가사가 인상적이며, 사랑하는 이에 대한 깊은 감정과 현실의 냉혹함이 그려져 있습니다.

1982년에 발매된 이 곡은 오카와 에이사쿠의 32번째 싱글로, 이듬해 오리콘 톱 10에 진입해 최고 2위를 기록하는 대히트를 거두었습니다.

겨울에 피는 산다화에 비유된 애잔한 사랑의 마음이 가슴을 울립니다.

노래방에서 어르신들과 함께 부르기에도 딱 맞는 한 곡.

마음을 울리는 가사를 음미하며 다 같이 목소리를 모아 불러보는 건 어떨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