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레시한 비트! 봄에 추천하는 춤추기 좋은 댄스 뮤직
봄이라고 하면 학교나 직장 등에서의 만남과 이별, 그리고 주변 환경이 확 바뀌어 몸도 마음도 기분을 새롭게 상쾌하게 만들고 싶어지죠!
새 생활을 빛내는 봄에 듣고 싶은 댄스 음악, 마음이 잘 맞는 친구들과의 벚꽃놀이 자리에서도 추천할 만하지 않을까요?
이 글에서는 우리 사이트에 보내주신 음악 팬들의 믿을 수 있는 의견을 바탕으로, “듣고 있으면 기분이 리프레시 된다!”, “춤추고 싶어진다!”고 호평받는 팝 장르의 해외 음악 중에서 댄스뮤직 느낌의 템포 좋은 곡들을 골라 보았습니다!
신작과 명곡을 두루 소개하니 꼭 체크해 보세요!
- 【2025】춤추고 싶어지는! 인기 있는 팝 댄스 음악
- 봄을 즐겨요! 4월에 듣고 싶은 팝송
- 팝 음악의 어린이용 댄스 송. 학예회·발표회에서 추고 싶은 키즈 댄스
- 인기 벚꽃 노래 랭킹【2025】
- 봄, 가슴이 두근거린다! 서양 음악의 명곡
- 벚꽃놀이 시즌에 추천! 정석적인 벚꽃 노래 & 봄 노래
- 팝 음악의 봄 노래 중 숨겨진 명곡. 추천 인기곡
- 초보자에게 추천하는 팝 댄스 음악. 세계의 명곡, 인기 곡
- [팝송] 고등학생에게 추천하는 팝 댄스 음악
- 기분이 밝아지네. 리프레시! 경쾌한 서양 팝
- 팝 음악 봄 노래 랭킹【2025】
- 팝송의 귀여운 댄스곡. 해외의 큐트한 댄스 뮤직
- 댄스 팝 추천 곡
프레시한 비트! 봄에 추천하는 신나게 춤출 수 있는 댄스 음악(21~30)
Feel My RhythmRed Velvet

2023년 내한 공연에서도 화제가 된 Red Velvet.
그들의 곡은 캐치한 안무가 많은데, 그중 특히 소개하고 싶은 곡이 ‘Feel My Rhythm’입니다.
이 곡은 2022년에 발매된 노래로, 멜로한 사운드와 귀여운 안무로 화제를 모으고 있어요.
어느 파트도 버리기 아깝지만, 우선은 후렴에서 얼굴 앞에서 손가락을 파닥파닥 하는 동작에 도전해 보는 건 어떨까요? 그 부분의 안무는 카메라 클로즈업에도 잘 담겨서, SNS에서 인기를 끄는 요인 중 하나예요.
No Limit2 Unlimited

하드코어 테크노가 전성기였던 1993년 봄에 발매된 이 곡은, 당시 일본에서는 시바우라에 있었던 대형 디스코 ‘줄리아나 도쿄’의 이미지가 강할지도 모릅니다.
레이브 문화가 뿌리내린 유럽에서 압도적인 판매를 기록한 이 곡이 일본에서도 히트하면서, 2 Unlimited는 도쿄 돔 공연도 열었습니다.
프레시한 비트! 봄에 추천하는 춤출 수 있는 댄스 뮤직(31~40)
Beautiful LifeAce of Base

테크노 레이브 문화가 수렴하고 유로댄스 붐이 막 시작되려던 1995년 이른 봄에 발매된 이 곡은 과도기의 양상을 구현한 한 곡입니다.
레게와 테크노를 믹스한 사운드로 에이스 오브 베이스는 큰 인기를 얻었고, 캐나다와 영국의 댄스 차트에서 1위를 기록했습니다.
Every Little StepBobby Brown

말할 것도 없이, 뉴잭 스윙과 미들 스쿨 문화(올드스쿨과 뉴스쿨 사이의 시대)를 전 세계에 알린 보비 브라운의 히트곡입니다.
1989년 전반, 일본에서도 버블 경기의 흐름을 탄 디스코·클럽 붐과 함께 대히트를 기록했죠.
거리 곳곳에서 보비 브라운의 패션을 따라 한 ‘보비남’이 등장했던 것을 기억하는 분들도 많지 않을까요?
Call Me MaybeCarly Rae Jepsen

이 ‘Call Me Baby’는 칼리 레이 젭슨의 가장 큰 히트곡으로, 그녀가 세계적인 스타가 되는 계기가 된 곡이기도 합니다.
상당히 팝한 사운드라 신나게 즐길 수 있음이 틀림없습니다.
가사는 ‘오랫동안 좋아하던 사람이 사실은 게이였다’라는 흥미로운 내용입니다.
Solo (feat. Demi Lovato)Clean Bandit

영국의 일렉트로 음악 신을 이끄는 일렉트로 록, 클린 밴딧.
멤버 전원이 케임브리지 대학교 출신의 엘리트로도 유명하죠.
이 ‘Solo (feat.
Demi Lovato)’는 라틴풍의 일렉트로팝으로 완성되었습니다.
신나게 즐길 수 있는 한 곡입니다.
Let’s GrooveEarth, Wind & Fire

모리스 화이트도 지난해 세상을 떠난 펑크 그룹 ‘어스, 윈드 앤드 파이어’의 보컬입니다.
필립 베일리의 고음에 모리스 화이트의 단단한 보컬이 겹쳐지는 사운드가 특징이었죠.
펑크이면서도 컨템포러리 R&B라고 할 수 있는 이 곡은 애수 어린 선율이 뛰어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