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G MusicTheBeatles
멋진 비틀즈
search

비틀즈와 밥 딜런의 깊은 관계란?

비틀즈와 밥 딜런의 깊은 관계란?
최종 업데이트:

비틀즈와 밥 딜런의 깊은 관계란?

설마 포크송의 신, 밥 딜런이 2016년 10월에 노벨 문학상을 받다니.

젊은 분들은 잘 모르실 수도 있지만, 그는 1960년대를 중심으로 포크송으로 체제를 비판하고 반전과 평화를 호소하며 전 세계 젊은이들에게 막대한 영향을 끼쳤습니다.

번역노벨 문학상을 수상한 밥 딜런의 자서전을 읽어 보았다

게다가 그와 비틀즈는 매우 깊은 관계에 있어요.

이번에는 그의 노벨상 수상을 계기로 그에 대해 이야기하겠습니다.

비틀즈의 재능에 가장 먼저 주목한 미국인 아티스트

비틀즈는 1963년에는 영국 국내에서 인기 절정에 달해 있었습니다.

하지만 아직 미국 진출은 이루지 못하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디런은 비틀즈의 「안아주고 싶어”을 듣고“그들이 사용한 코드는 정말 독특하고, 아무도 해보지 않은 일을 하고 있다. 게다가 코러스가 그것을 더욱 돋보이게 한다그리고 일찍이 그 재능에 주목하고 있었습니다.

아직 비틀스의 ‘비’ 자도 미국 언론에서 대대적으로 다뤄지지 않았던 시점의 이야기입니다.

역시 일류인 사람은 무엇이 일류인지 알 수 있군요.

비틀즈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초기의 비틀즈는 대부분이 러브송이었습니다.

애초에 팝 음악이란 원래 그런 것이었습니다.

하지만 먼저 딜런이 그 껍질을 깨고, 가사로 정치 체제와 사회 상황을 비판하기 시작했습니다.

비틀즈는 프랑스 투어 중에 딜런의 대표작인 「바람에 날리며」가 수록된 두 번째 앨범 「프리휠린”을 듣고, 그것에 큰 영향을 받아, 자신을 깊이 성찰하거나 사회 상황을 묘사하는 내용의 가사를 쓰게 되었습니다.

특히,존 레논가장 강하게 딜런의 영향을 받아, 작품 스타일이 확 바뀌었습니다.

존이 딜런의 영향을 받아 쓴 첫 작품은 아마도슬픔은 날려버려입니다.

https://www.

youtube.

com/watch?v=P_tocAd0vA4

사랑을 소재로 하고 있긴 하지만, 실연한 청년의 갈 곳 없는 슬픔을 절절하게 노래한 작품입니다.

자기 자신을 깊이 들여다보지 않으면 이런 가사는 쓸 수 없습니다.

그전까지 밝고 명랑하던 가사에서 한순간에 비관적인 가사로 바뀌었습니다.

존도 그때까지는 잘 팔리는 싱글 곡을 써 왔지만, 더자신의 감정에 중점을 둔 작품을 쓰게 되었다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이 연장선상에 "노르웨이의 숲 (노르웨이안 우드)」라는 걸작이 존재합니다.

https://www.

youtube.

com/watch?v=dXJmg1LtajY

만약,딜런이 존재하지 않았다면, 중기 이후의 ‘어른스러운 비틀즈’는 존재하지 않았을지도 모릅니다.

비틀스도 밥 딜런에게 영향을 주었다

비틀스가 오히려 딜런에게 영향을 준 것도 사실입니다.

그때까지 어쿠스틱 기타를 치며 포크를 부르던 그가 마침내일렉트릭 기타를 들고 록을 불렀다인 것입니다.

https://www.

youtube.

com/watch?v=G8yU8wk67gY

기존 팬들로부터는 야유가 나왔지만, 한편으로는 응원도 이어졌습니다.

그는 록에 심취하여 수많은 작품을 발표했지만, 그 가사는,앨런 긴즈버그또한 문학자들로부터도 높이 평가받았습니다.

가사가 문학적으로 평가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었고, 그것이 이후의 노벨상 수상으로 이어졌습니다.

계속 읽기
계속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