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이세이 너구리 전쟁 폼포코의 노래. 주제가·삽입곡
미야자키 하야오와 어깨를 나란히 하는 영화감독 타카하타 이사오가 제작해 1994년에 공개한 작품이 ‘헤이세이 너구리 합전 폰포코’입니다.
도시 개발이 진행되는 가운데 자연이 점점 사라지고 구석으로 내몰린 너구리들이, 자신들의 숲을 되찾기 위해 분투하는 이야기입니다.
사회 풍자가 담긴 작품으로, 공개된 지 오랜 시간이 지난 지금도 우리 마음을 깊이 울립니다.
이번에는 그런 ‘헤이세이 너구리 합전 폰포코’의 주제가와 삽입곡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물론 음악도 훌륭하지만, 아직 보지 않으셨다면 꼭 영화 자체도 보시길 바랍니다.
분명 당신의 가슴에 오래 남을 것입니다.
- 모노노케 히메의 노래. 주제가·삽입가
- 붉은 돼지의 노래. 주제가·삽입곡
- 천공의 성 라퓨타의 노래. 주제가·삽입가
- 하울의 움직이는 성의 노래. 주제가·삽입곡
- 마녀 배달부 키키의 노래. 애니메이션의 주제가·삽입곡. 지브리의 명곡
-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의 노래. 주제가·삽입곡
- [스튜디오 지브리의 노래] 지브리 음악의 주제가·삽입곡·BGM 목록
- 벼랑 위의 포뇨의 노래. 주제가·삽입곡
- 이웃집 토토로의 노래. 주제가·삽입곡
- 귀를 기울이면의 노래. 주제가·삽입곡
- 코쿠리코 언덕에서의 노래. 주제가·삽입곡
- 카구야 공주 이야기의 노래. 주제가·삽입곡
- 추억의 마니의 노래. 주제가·삽입곡
헤이세이 너구리 전쟁 폼포코의 노래. 주제가·삽입곡(1〜10)
너구리는 지금… (에필로그) (헤이세이 너구리 합전 폰포코)

천천하고 온화한 멜로디에 마음이 아주 편안해지는 이 곡은 ‘너구리는 지금’이라는 제목이 붙은 프롤로그의 한 곡입니다.
극 중에서 서로 사이좋게 검소하게 살아가던 너구리들이 자연에 둘러싸여 살아가는 모습이 눈앞에 떠오르는 듯한 따뜻한 테마송입니다.
풍요로운 자연을 주제로 한 영화로, 역시 지브리 음악다운 뛰어난 묘사력이 돋보입니다.
아시아의 이 도시에서상상태풍

아시아 도시의 풍경과 사람들의 모습을 따뜻하게 그려내는 곡.
상상태풍의 매력이 가득 담긴 한 곡입니다.
눈물을 별로, 슬픈 거짓말을 빛으로 바꾸고자 하는 소망을 담은 가사가 마음에 와닿네요.
1994년에 싱글로 발매되었고, 앨범 ‘팔십일간 아주 일주’에도 수록되어 있습니다.
도호 애니메이션 영화 ‘헤이세이 너구리 대전쟁 폼포코’의 주제가로도 알려져 있어요.
고향을 떠나 새로운 곳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의 마음에 공감하는 곡.
타국에서 힘내는 사람이나, 새로운 출발을 결심한 이들에게 추천합니다.
메인 타이틀
정말로 힘차고도 짧은 곡이네요! 고작 9초밖에 안 되는 이 곡이 한 트랙으로서 CD에 수록되어 있다는 점은 여러 생각을 하게 합니다.
자세히 들여다보면 남성의 구령 같은 구호와 자연 악기인 피리 소리, 인공 악기인 신시사이저 소리가 섞여 있습니다.
이 영화의 테마이기도 한 자연과 인간의 균형이 훌륭하게 조화를 이룬 곡입니다.
그것이 ‘메인 타이틀’이라고 이름 붙여진 이유일지도 모릅니다.
헤이세이 너구리 전투 폼포코의 노래. 주제가·삽입곡(11~20)
퐁퐁코 너구리 음악
이것이야말로 일본 축제라는 느낌의 하이템포한 곡으로, 듣고 있으면 무척 유쾌해지는 음악입니다.
그동안 이 영화의 음악에서는 좀처럼 들을 수 없었던 일렉트릭 베이스도 등장하고, 남녀의 우렁찬 구호가 더해져 지금까지와는 다른 그루브를 느낄 수 있습니다.
저 개성 넘치는 너구리들의 즐거운 모습이 되살아나는 듯한 축제 비트가 두근거리게 만드는 한 곡이네요.
저류—옛날을 지금으로 만들 길이 있었으면 좋겠구나(헤이세이 너구리 대전쟁 폰포코)
“저류(底流)―옛날을 지금으로 만들 수만 있다면”이라는 문어체 제목은 구어로 옮기면 “옛날이 지금이 되었으면 좋겠네”라는, 옛 시절을 그리워하는 탄성이 제목이 된 것입니다.
이 말의 의미는 이 영화를 보면 생각해볼 여지가 있습니다.
그리고 이 악곡 자체도 그야말로 옛날을 그리워하고, 노스탤지어를 띠며 아득한 곳을 바라보는 듯한 풍취가 있는 한 곡입니다.
연화초~곤타의 옥쇄(헤이세이 너구리 합전 폰포코)
강경파로서 인간에 맞서 싸움을 멈추지 않았던 너구리 ‘곤타’의 테마송입니다.
그의 강한 의지는 죽어서도 요괴가 되어 나타날 만큼 굳건하여, 이 영화를 상징하는 매우 인상적인 장면으로 이어집니다.
그런 그의 ‘옥쇄’를 표현한 곡은 매우 고통스럽고 슬프면서도, 한편으로 무척이나 용감한 분위기를 지니고 있습니다.
묵직한 리듬으로 곤타의 거구와 기개를 표현해 내는 듯한 곡입니다.
오하야시 셋셋세
오하야시라고 하면 피리와 북, 타악기의 앙상블을 떠올리게 되는데, 이 곡은 바로 그런 일본의 전통 음악이 경쾌하고 흥겹게 살아 있는 곡입니다.
일본의 본오도리나 풍작을 기원하는 축제의 분위기가 느껴집니다.
너구리들의 독특한 모습과 자연 속에서 살아가는 강인함이 떠오르는, 일본의 역사적·민족적 분위기가 배어 있는 ‘헤이세이 너구리 전쟁 폼포코’다운, 깊은 맛이 있는 한 곡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