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로 시작하는 서양 음악 제목 모음
‘J’로 시작하는 제목의 곡이라고 하면, 떠오르는 노래가 있으신가요?
평소에 곡 제목의 머리글자를 의식하는 일은 많지 않으니까, 바로 생각나지 않을 수도 있겠네요.
하지만 ‘J’로 시작하는 영어 단어에는 ‘Joy’, ‘Just’, ‘Jet’, ‘Jesus’처럼 아주 많습니다.
이 글에서는 그런 ‘J’로 시작하는 제목의 곡들을 시대나 장르에 상관없이 다양하게 소개하겠습니다.
지금까지와는 다른 관점으로 음악을 찾아보면, 새로운 곡을 만날 수도 있을 거예요.
J로 시작하는 제목의 서양 음악 모음 (161~170)
Just A DreamCarrie Underwood

미국의 컨트리 음악 싱어송라이터인 Carrie Underwood가 2008년에 발표한 트랙입니다.
18세의 아내와 전장에서 사망한 군인 남편의 이야기를 담은 곡으로, 미국 차트에서 1위를 기록했습니다.
Just Another BirthdayCasting Crowns

미국의 컨템포러리 크리스천 밴드 캐스팅 크라운즈가 2011년에 발매한 앨범 ‘Come to the Well’에 수록된 트랙입니다.
1990년대 초부터 목회자로 사역해 온 프런트맨 말 할이 10대 청소년들을 위해 쓴 곡입니다.
Jack the RipperCepheid

메탈 계열의 곡 제작을 잘하는 보카로P, Cepheid 씨의 작품입니다.
인트로에서는 피아노 사운드에 헤비한 밴드 사운드가 더해지고, 3박자의 리듬이 어우러지면서 저절로 몸이 앞으로 쏠릴 듯한 분위기를 만들어냅니다.
격렬한 연주와 VOCALOID의 디지털하면서도 부유감 있는 보컬이 잘 융합된 넘버입니다.
Just Can’t Get EnoughChannel Tres

한 가지 프레이즈를 반복하는 곡은 귓가에 맴돌죠.
신나는 곡이 많은 만큼 좋아하시는 분들도 많을 것 같아요.
그래서 소개하고 싶은 노래가 바로 ‘Just Can’t Get Enough’입니다.
미국의 래퍼 채널 트레스의 작품이에요.
신시사이저 멜로디와 그의 플로우가 절묘하게 어울립니다.
하지만 역시 인상에 남는 건 같은 프레이즈를 반복하는 후렴 부분이죠.
한 번 들으면 머릿속에서 떠나지 않을 거예요! 사실 라임을 밟는 방식도 훌륭한 곡이라, 그 점에도 꼭 주목해 보세요.
Just FriendsCharlie Parker

‘버드’라는 애칭으로도 알려진 찰리 파커는 1940년대 초에 태동한 모던 재즈의 원형인 비밥 스타일을 구축한 1인자이며, 전 세계 재즈 팬들로부터 존경을 담아 ‘모던 재즈의 아버지’라고도 불리는 전설적인 알토 색소폰 연주자입니다.
안타깝게도 사생활의 파커는 그리 모범적이라고는 할 수 없었고, 척박한 일상을 보내다 34세의 젊은 나이로 세상을 떠났습니다만, 그가 남긴 음악적 공적은 재즈의 역사에서 헤아릴 수 없을 만큼 큽니다.
무뢰한적 재즈 애호가로 알려지고, 재즈 뮤지션들의 다큐멘터리 영화를 몇 편이나 만든 클린트 이스트우드 역시 1988년 영화 ‘버드’에서 파커를 다루며 제작과 감독을 맡았죠.
그런 위대한 존재인 파커가 1947년부터 1952년 사이에 남긴 음원을 2장 구성으로 묶은 ‘Charlie Parker With Strings’를 소개합니다.
제목 그대로 오케스트라와의 협연반으로, 레트로한 분위기가 감도는 달콤한 스트링 사운드 속에서 탁월한 존재감을 드러내는 파커의 알토는 너무나도 아름답습니다.
로맨틱한 기분으로 알토 색소폰의 음색을 즐기고 싶은 분께 꼭 권하고 싶습니다.
JokeChastity Belt

Chastity Belt는 2010년에 결성된 미국의 인디 록/팝 밴드입니다.
이 트랙은 2015년에 발매된 두 번째 앨범 ‘Time to Go Home’에 수록되어 있습니다.
이 앨범은 “아름다움과 부조리를 독특하게 블렌딩한 앨범”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J’로 시작하는 제목의 서양 음악 모음 (171~180)
Joys of ChristmasChris Rea

크리스마스의 기쁨을 제목에 내세우면서도, 실제로는 사회의 냉혹한 현실을 그려 낸 곡입니다.
영국 북부의 노동자 계급이 겪는 고통을 생생하게 표현하며, 크리스마스의 화려함과 대조되는 세계를 부각합니다.
크리스 레아의 애수 어린 멜로디와 블루스 록 요소가 담긴 이 곡은 1987년에 발매되어 영국 싱글 차트에서 최고 67위를 기록했습니다.
앨범 ‘Dancing with Strangers’에서 싱글로 발표되었으며, 7인치와 12인치 형식으로 모두 발매되었습니다.
크리스마스 이면의 현실을 직시하고 싶거나, 사회적 메시지가 담긴 가사에 공감하는 분들께 추천하는 한 곡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