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대 남성이 분위기를 띄우기 좋은 팝송 가라오케 곡
노래방에서 팝송을 자연스럽게 부르면 멋있죠.
이번에는 40대 남성을 위한 팝송 가요 히트곡을 모아봤습니다.
가사에도 주목해 보세요.
혹시 영어를 잘 모르더라도, 번역 사이트로 번역해 가며 선곡해 보면 재미있을지도 모릅니다.
- [50대] 노래방에서 분위기 살리는 팝송 랭킹 [2025]
- [40대] 노래방에서 분위기 띄우는 팝송 랭킹 [2025]
- 40대 남성에게 추천하는 팝송. 세계의 명곡, 인기곡
- 【40대】인기 있는 서양 음악 랭킹【세대별】
- 40대 남성에게 인기 있는 곡. 추억이 되살아나는 명곡
- 저음이어도 괜찮아! 40대 여성에게 부르기 쉬운 노래방 송
- [40대] 노래방에서 흥나는 곡 랭킹 [2025]
- 【2025년판】40대 여성에게 불러줬으면 하는! 분위기 살리는 노래방 송
- 40대 여성들이 신나게 부를 수 있는 팝송 노래. 세계 명곡, 추천 인기곡
- 【2025】50대 남성을 위한! 노래방에서 분위기를 띄우는 명곡 외국 노래 모음
- [40대] 노래방에서 부르기 쉬운 팝송 랭킹 [2025]
- [2025] 50대 남성에게! 노래방에서 부르기 쉬운 팝 명곡 모음
- 60대 남성이 신나는 분위기를 만드는 팝송 노래방 곡. 세계 명곡, 추천 인기곡
40대 남성이 신나게 부를 수 있는 서양 팝 가라오케 곡(11~20)
Don’t Look Back in AngerOasis

1996년에 발매되어 이제는 서양 음악 가라오케의 정석이라고 할 수 있는 그 곡.
인트로의 피아노로 시작되는 독특한 멜로디에 노엘 갤러거의 맑고 투명한 보컬이 더해지며, 점점 빨려들 듯 몰입하게 됩니다.
과거를 돌아보지 말고 앞을 향해 나아가자는 메시지는 40대 남성의 마음에도 깊이 울릴 것입니다.
영국의 비공식 국가라고도 불릴 만큼 인기를 자랑하는 이 작품은 2017년 맨체스터 아레나 폭발 사건 추모 때에도 불렸습니다.
친구들과의 술자리나 인생의 갈림길에 섰을 때 등, 다양한 순간에 흥얼거리게 되는 한 곡입니다.
Just DanceJamiroquai

잠깐 숨 돌릴 시간이 필요하다면, 30대 남성분들께 자미로콰이의 대히트곡 ‘Just Dance’를 한번 불러 보지 않겠어요? 저절로 춤을 추고 싶어지는, 그런 세련된 멜로디에 멋진 영어 가사를 실어 보죠.
왠지 마음이 가벼워지는, 그런 멋진 멜로디에 주목해 주세요.
Uptown GirlBilly Joel

60년대 팝 음악을 연상시키는, 단순한 템포가 특징인 트랙입니다.
미국의 뮤지션 Billy Joel에 의해 1983년에 발매되어 전 세계 여러 국가의 차트에서 톱10에 올랐습니다.
2001년에는 아일랜드 보이밴드 Westlife가 커버했습니다.
네버엔딩 스토리Limahl

영화 ‘네버엔딩 스토리’의 주제가로 유명한 이 곡은, 전 카자구구의 보컬 리말이 노래했습니다.
영화의 흥행과 함께 이 곡의 인지도도 뛰어나서, 40대이신 분들도 어릴 때 영화를 본 분이 많지 않을까요? 노래방에서 부르면 영화를 추억하며 재미있을 거예요.
비코즈 아이 러브 유Stevie B

1990년에 크게 히트한 스티비 B의 곡입니다.
이 곡은 소위 말하는 한 방 히트 곡이라 그 이후 스티비 B가 무엇을 하고 있는지는 잘 모르겠지만, 일본 광고에도 사용된 곡이라 아는 분들도 많을 거라 생각합니다.
노래방에서 부르기에는 꽤 기술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지만, 잘 불러내면 박수 갈채를 받으며 분위기를 끌어올릴 수 있는 곡이라고 봅니다.
I’m YoursJason Mraz

곡은 약간 랩 느낌이 있어 말이 빠르게 이어져 어려울 수 있지만, 단어를 제대로 외워서 도전하면 괜찮아요.
소화해내면 멋있는 곡 중 하나예요.
키는 남자에게는 조금 높은 편이라, 40대 여성의 흉성으로는 딱 맞는 정도라고 생각합니다.
40대 남성이 신나게 부를 수 있는 팝송 노래방 곡 (21~30)
I don’t want to miss a thingAerosmith

에어로스미스의 곡이라고 하면, 이 곡을 가장 먼저 꼽는 사람이 많을지도 모릅니다.
1998년에 발표된 이 곡은 영화 ‘아마겟돈’의 주제가로 일약 대히트를 쳤습니다.
록 발라드인 이 곡은 노래방에서 부르기에도 최적이라고 생각합니다.
스티븐 타일러처럼 달콤하고 억양을 살려서 부르는 것이 좋다고 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