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G MusicKARAOKE
멋진 노래방 노래
search

30대가 신나게 즐길 수 있는 곡. 노래방에서도 추천하는 추억의 명곡 모음

여러분은 신나는 곡이라고 하면 어떤 노래가 떠오르나요?

물론 요즘 화제가 되는 곡들도 신나지만, 청춘 시절에 들었던 추억의 노래들은 특히 더 분위기를 끌어올려주지 않나요?

이 글에서는 30대에게 추천하는 신나는 곡들을 소개할게요!

90년대부터 2000년대에 히트한 노래들을 중심으로 골라봤기 때문에, 30대분들께는 추억이 가득한 곡들일 거라고 생각합니다.

노래방 선곡은 물론, 다양한 상황에서 참고해 보세요!

30대가 신나는 노래. 노래방에서도 추천하는 추억의 명곡 모음 (41~50)

if…DA PUMP

‘U.

S.

A’로 다시 한번 대히트를 기록한 DA PUMP.

현재는 밝고 팝한 곡으로 인기를 얻고 있지만, 사실 발라드도 소화할 수 있는 실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게다가 이 곡의 후렴 멜로디는 매우 캐치하여, 듣고 난 뒤에도 귀에 오래 남습니다.

최근에는 리메이크된 버전을 음악 방송에서 들으신 분들도 계시지 않을까요? 그리움을 되새기며 함께 신나게 즐겨봅시다.

LOVE LOVE LOVEDREAMS COME TRUE

30대 분들을 포함해 남녀 모두에게 폭넓은 지지를 받는 드리캄의 넘버! 도요카와 에츠시와 토키와 타카코 주연 드라마 ‘사랑한다고 말해줘’의 주제가로 쓰였습니다.

드라마의 감동적인 스토리와 함께 들려오는 요시다 미와의 부드러운 목소리가 마음을 울립니다.

노래방에서도 정석 곡으로, 도쿠나가 히데아키나 가하라 토모미 등 많은 아티스트가 커버할 정도로, 시청자에게도 아티스트에게도 사랑받는 한 곡입니다.

LOVE 2000hitomi

에너지 넘치는 멜로디로 전국적인 인기를 모은 hitomi의 곡 ‘LOVE 2000’.

당시, 털털한 캐릭터와 록 테이스트의 힘 있는 음악성 때문에 그녀를 동경했다는 30대 여성도 많았을 것 같습니다.

이 작품은 힘이 돋보이는 멜로디이지만, 의외로 음역이 좁고 중음~중고음역에 정리되어 있습니다.

음정의 고저 차도 그다지 크지 않고 템포도 미들이라서, 고득점을 노리기에 안성맞춤입니다.

꼭 레퍼토리에 추가해 보세요.

봄〜spring〜Hysteric Blue

개성 있는 룩으로, 멋을 동경하는 리스너들이 히스블의 스타일을 따라 하곤 했습니다.

이 곡은 히스블의 두 번째 싱글로 발매되어 롱셀러가 되었고, 그룹 최고의 히트송이 되었습니다.

하이톤의 사랑스러운 Tama의 보컬이 맑고 투명하게 울려 퍼지네요.

30대라면, 봄이 되면 문득 떠올리는 한 곡입니다.

세계의 끝THEE MICHELLE GUN ELEPHANT

인트로에서 강하게 휘몰아치는 기타와 걸걸하게 지르는 보컬이 인상적인, THEE MICHELLE GUN ELEPHANT의 곡들 가운데서도 특히 분위기를 끌어올리는 곡입니다.

언뜻 들으면 격렬하기만 한 록처럼 느껴질 수도 있지만, 그 멜로디에는 어딘가 애수가 서려 있고, 거친 연주와의 절묘한 균형은 유일무이하다고 할 수 있지 않을까요.

가라나스키마스위치

스키마스위치 – 「가라나」뮤직 비디오: SUKIMASWITCH – GUARANA 뮤직 비디오
가라나 스키마 스위치

경쾌한 어쿠스틱 기타 백킹과 우아한 스트링이 어우러져, 상쾌하면서도 어딘가 애절함이 느껴지는 질주감에 절로 가슴이 두근거리는 명곡의 팝송이네요! ‘가라나’는 2006년에 발매된 스키마스위치의 싱글 곡으로, 오리콘 차트에서 그들에게 처음으로 1위를 안겨 준 곡이기도 하며, 같은 해 개봉한 영화 ‘러프 ROUGH’의 주제가로도 기용되었습니다.

노래방에서 부를 때에는 명료한 발성을 신경 쓰고, 먼저는 곡의 기세 그대로 힘 있게 불러 보세요.

동시에 페이스 조절을 생각하면서 끝까지 완주할 수 있도록, 강약을 살린 노래법을 의식하면 좋습니다.

Tell Mehide

X JAPAN의 기타리스트로서도 큰 인기를 끌었던 hide의 솔로 넘버입니다.

1998년에 급서한 뒤에도 팬층은 줄지 않았고, 지금도 팬을 늘려 가는 매력적인 인물입니다.

1994년에 처음 발매된 곡이지만, 2000년에 hide with Spread Beaver 명의로 재발매되었습니다.

그것이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hide with Spread Beaver 전원이 참여한 음원이었습니다.

hide의 팝적인 면을 느낄 수 있는 상징적인 한 곡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