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0년대】전설적인 서양 록 밴드의 명곡·히트곡
1980년대라고 하면, 서양 록 음악에서 ‘황금기’라고 불리는 시대입니다.
록 밴드라는 관점에서 보면, 지금도 활약하는 베테랑 록 밴드들이 다수 데뷔했고, 역사에 남을 세계적인 히트곡들이 많이 탄생한 시기이기도 하죠.
이번에는 그런 1980년대의 서양 록 밴드에 초점을 맞춘 히트곡, 명곡들을 소개합니다!
80년대다운 에너제틱한 록 넘버와 스타디움에서 빛나는 발라드는 물론, 기존의 록에 얽매이지 않는 ‘뉴웨이브’라 불리는 존재와, 90년대로 이어지는 얼터너티브 록이 탄생한 시대라는 점까지 반영한, 다양한 라인업이 준비되어 있습니다.
- 80년대 전설적인 서양 록의 명곡·히트곡
- 80년대 인기 해외 음악 아티스트 랭킹 [2025]
- 【1980년대 서양 음악】그리운 80's 베스트 히트곡
- 명곡뿐이야! 추억의 80년대 서양 팝 발라드 모음
- 【결정판】80년대 디스코 송의 명곡·히트곡
- 80년대에 히트한 팝 음악의 러브송. 세계의 명곡, 인기곡
- 팝 음악의 황금기! 80년대에 히트한 추천 여름 노래
- 90년대의 위대한 서양 록 명곡·히트곡
- [마음을 사로잡는] 인트로가 멋있는 팝송 모음 [2025]
- 서양 음악의 숨겨진 명곡. 그리 널리 알려지지 않은 노래
- 90년대 록 혁명!~90년대를 수놓은 해외 밴드 명곡집
- [서양 음악] 멋진 스리피스 밴드. 추천 트리오 정리 [2025]
- [명반 총출동] 70년대 추억의 팝 히트곡
【1980년대】전설적인 해외 록 밴드의 명곡·히트곡(11~20)
Breaking The LawJudas Priest

메탈 갓이라는 이명으로 전 세계적으로 유명한 메탈 밴드로 알려진 주다스 프리스트의 곡입니다.
6번째 앨범 ‘British Steel’에서 싱글로 커트된 곡으로, 단단한 사운드이면서도 멜로디컬한 기타가 굉장히 캐치하죠.
주다스 프리스트로서는 비교적 심플한 비트의 곡이지만, 그 공격적인 보컬과 사운드는 전 세계의 메탈 팬들을 열광시켰습니다.
3분이 채 안 되는 짧은 러닝타임 속에 주다스 프리스트의 매력이 가득 담긴, 몇 번이고 반복해서 듣고 싶어지는 대히트 넘버입니다.
You Spin Me RoundDead Or Alive

유로비트와 하이에너지(Hi-NRG)의 선구자로도 불리는 영국 밴드 데드 오어 얼라이브.
이 곡은 1984년에 싱글로 발표되어 그들에게 첫 세계적 히트를 안겼습니다.
첫눈에 반한 상대에 대한 강한 독점욕을 레코드가 고속 회전하는 모습에 빗댄 가사가 인상적이죠.
피트 번스의 힘찬 보컬과 록의 공격성을 띤 신스 사운드가 융합된 사운드는 압권입니다.
명반 ‘Youthquake’에 수록된 이 작품은 영국 앨범 차트에서 9위를 기록했습니다.
플로어를 뜨겁게 달구는 댄스 넘버를 좋아한다면 절대 빼놓을 수 없는 한 곡입니다.
파티 플레이리스트에 추가하면 누구나 절로 춤을 추게 될 거예요.
StandR.E.M.

80년대 음악이라고 하면, 화려하고 거액의 자본이 투입된 프로덕션에서 탄생한 히트곡들이 대량 생산되었다는 이미지를 떠올리는 분들도 많을지 모릅니다.
하지만 사실 그런 메이저 음악 신(scene)과는 선을 긋고, 이후 ‘얼터너티브 록’으로 세상을 석권할 인디 밴드들이 태동하던 시대이기도 했죠.
1980년에 결성된 미국 출신의 R.
E.
M.
은 바로 그 선구적 존재입니다.
당시 미국 전역의 칼리지 차트 단골로서 열광적인 인기를 누렸고, 메이저로 진출한 이후에도 엄청난 성공을 거둔 그들의 출세작이라 할 수 있는 메이저 1탄 ‘Green’에 수록된 ‘Stand’는, 그들 가운데서도 캐치한 멜로디가 인상적인 히트곡입니다.
60년대 버블검 사운드의 영향을 받았다고 하며, 그들답지 않게 뻥 뚫린 듯 밝은 분위기의 팝송으로 탄생했습니다.
본인들이 “지금까지 쓴 곡 중 가장 바보 같은 곡”이라고 자조적으로 평했듯, 가사도 일부러 직구 스타일로 쓰인 점이 흥미롭죠.
그렇다 해도, 메시지가 단순하기에 오히려 더욱 곧게 와 닿는 힘이 있습니다.
Don’t Stop Me NowQueen

피아노 인트로가 흐르는 순간, 마음이 뛰기 시작하는 듯한 고조감에 휩싸이게 만드는 영국 밴드 퀸의 대표곡입니다.
1979년에 발매된 싱글로, 명반 ‘Jazz’에 수록되어 있습니다.
작사·작곡을 맡은 프레디 머큐리가 “누구도 나를 멈출 수 없다”는 압도적인 에너지와 쾌감을 노래한 작품이죠.
기타리스트 브라이언 메이는 처음에는 그 지나치게 향락적인 내용에 대해 우려를 품었다고 합니다.
일본에서는 코스모석유와 JR 도카이의 광고, 영화 ‘새벽의 황당한 저주’의 삽입곡으로도 익숙하며, 듣기만 해도 무적이 된 기분이 들죠.
드라이브나 파티를 최고로 끌어올려 주는, 시대를 초월한 킬러 튠입니다.
In My DreamsDokken

꿈속에서만 만날 수 있는 연인에 대한 그리움을 그린, 미국 밴드 도켄의 대표곡입니다.
던 도켄의 애수가 담긴 하이 톤 보컬뿐 아니라, 조지 린치의 공격적이면서도 화려한 기타 솔로 또한 이 곡의 큰 매력입니다.
이 애절한 멜로디와 격렬한 기타 사운드의 대비가 곡이 지닌 드라마틱한 세계관을 한층 더 돋보이게 하죠.
이 곡이 수록된 앨범 ‘Under Lock and Key’는 1987년 4월에 플래티넘 인증을 받았습니다.
아름다운 이야기를 떠올리며, 하드 록이 지닌 서정적인 매력에 천천히 빠져들어 보는 건 어떨까요?
Senses Working OvertimeXTC

전 세계적으로 컬트적인 인기를 자랑하는 XTC는 1978년 펑크 붐이 한창이던 시기에 데뷔한 영국의 밴드입니다.
그들은 천재적인 송라이팅 감각을 지니고, 독자적인 미학과 완벽주의로 유명한 중심 인물 앤디 파ート리ッ지를 축으로 영국 록 역사에 남을 작품을 다수 선보였으며, 일본에서도 열성적인 마니아가 많은 존재이기도 하죠.
XTC라고 하면 정교한 사운드 메이킹과 실험성, 비틀린 팝 감각이 특징적이지만, 이번에 소개하는 곡 ‘Senses Working Overtime’은 그들의 디스코그래피 중에서도 유난히 팝하고 멜로딕하며, XTC 특유의 강한 개성은 비교적 절제되어 있으면서도 많은 음악 팬에게 사랑받는 명곡입니다.
우선 이 곡부터 그들의 사운드 월드에 접해 보는 것도 좋겠죠.
【1980년대】전설적인 팝 록 밴드의 명곡·히트곡(21~30)
Burning Down the HouseTalking Heads

1980년대 뉴웨이브 신에서 막대한 공적을 남기고, 비평적 평가뿐 아니라 상업적 성공도 거둔 뉴욕의 전설, 토킹 헤즈의 대표곡 중 하나인 히트곡 ‘Burning Down the House’를 소개합니다.
이 곡이 탄생하게 된 계기는 드러머 크리스 프란츠가 당시 큰 인기를 끌던 퍼라먼트와 펑카델릭 같은 이른바 P-펑크 그룹의 라이브를 보고 깊은 감명을 받은 것이었고, 그로 인해 블랙뮤직에서 크게 영감을 받은 사운드가 탄생한 것입니다.
백인 록 밴드에 의한 펑크의 재해석이라는 시도는 이후 인디 록과 얼터너티브 록 진영에도 막대한 영향을 미쳤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