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오모리의 민요·동요·아이노래|쓰가루와 하치노헤에 숨 쉬는 마음에 울리는 일본의 노래
풍부한 문화와 예능의 전통이 살아 숨 쉬는 아오모리현.
츠가루와 하치노헤 지역에는 감성 넘치는 민요의 선율이 지금도 울려 퍼집니다.
츠가루 샤미센의 힘찬 음색과 어우러져, 아오모리의 민요는 우리의 마음에 깊이 호소합니다.
본 기사에서는 산과 바다, 혹독한 기후가 길러 낸 사람들의 삶 속에서 탄생한 ‘아오모리의 민요, 동요, 아이노래’를 엄선했습니다.
시대를 넘어 소중히 노래하고 전해 내려온 명곡들을 소개합니다.
아오모리현의 마음의 노래라고 부를 수 있는 음악의 세계에, 귀 기울여 보지 않으시겠어요?
- [아오모리의 노래] 웅대한 자연의 모습과 사람들의 따뜻함을 그린 지역 노래 모음
- [일본의 민요·향토의 노래] 향토애가 넘치는 일본 각지의 명곡집
- 이와테의 민요·동요·와라베우타. 노래로 이어지는 고향의 마음
- [아키타의 민요·동요] 고향 사랑을 느낄 수 있는 향토 명곡 엄선
- 미야기현에서 노래로 이어지는 아름다운 민요|향토의 마음을 울리는 명작집
- 후쿠시마의 민요·동요·아이노래. 노래로 이어지는 고향의 마음
- 민요 인기 곡 랭킹
- [홋카이도의 민요·동요] 시대를 넘어 사랑받아 온 홋카이도의 노래
- 니가타의 민요·동요·아이 노래. 대대로 불려오는 고향의 마음
- 도야마의 민요·동요·어린이 노래. 대대로 이어지는 고향의 마음
- [2월의 노래] 절분과 겨울에 관한 동요·민요·아이노래·손유희 노래를 소개!
- [야마가타의 민요] 세대를 넘어 이어지는 고향의 마음. 그리운 선율에 담긴 마음
- 도쿠시마의 민요·동요·아이노래|아와오도리와 지역에 뿌리내린 전통의 노래
아오모리의 민요·동요·아이노래|쓰가루와 하치노헤에 살아 숨 쉬는 마음에 울림을 주는 일본의 노래(11~20)
쓰가루 아이야부시

‘쓰가루 아이야부시’는 ‘쓰가루 오하라부시’, ‘쓰가루 요사레부시’, ‘쓰가루 종가라부시’, ‘쓰가루 산시타구리’와 더불어 ‘쓰가루 5대 민요’ 중 하나입니다.
‘아이야’는 남풍을 뜻하며, 어부들이 출항할 때 외치던 구호입니다.
본래 발음은 ‘하에’였으나, 하에 → 하에아 → 하에야 → 하이야 → 아이야로 변화해 왔습니다.
경쾌한 템포로 대어를 기원하며 출항하는 어부들의 기세 좋음을 나타낸, 밝은 민요입니다.
쓰가루 요사레부시

츠가루 3대 민요 중 하나인 ‘츠가루 요사레부시’에서 ‘요사레’의 의미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있지만, 흉작과 빈곤은 물러가라라는 뜻, 혹은 연회 등에서 ‘이후는 잘 부탁해’ 하고 자리를 뜬다는 의미라고도 합니다.
가요곡에도 ‘요사레’라는 말을 사용한 제목이 있기 때문에, 왠지 이미지가 떠오르는 분도 많을지 모르겠네요.
쓰가루 존가라부시

‘쓰가루 죠응가라부시’는 샤미센 반주에 맞춰 불리는 ‘쓰가루 오하라부시’, ‘쓰가루 요사레부시’와 함께 쓰가루 3대 민요 중 하나입니다.
‘죤가라’의 어원은 확실하지 않지만, 전국시대 아사세이시 성 아래에 있던 절의 승려 ‘조엔’의 이름에서 따왔다는 설이 유력하다고 합니다.
불행한 최후를 맞은 그 승려를 위로하고 넋을 기리기 위해 마을 사람들이 매년 본오도리를 열어 역사를 전해 온 것이 ‘죤가라부시’의 유래로 전해집니다.
츠가루온도

제목에 ‘온도’가 붙어 있지만, 곡은 온도 스타일과는 다른 ‘쓰가루 온도’입니다.
이 작품의 원곡은 ‘아키타부시’라는 곡으로, 쓰가루 민요계의 거장 나리타 운치쿠 선생이 묻혀 있던 민요를 세상에 소개하기 위해 임팩트 있는 제목인 ‘쓰가루 온도’로 명명했고, 그 이름으로 널리 알려지게 되었습니다.
야사부로부시

에도 시대 말기에 불렸던 민요이지만, 현대에는 상상할 수 없을 정도의 며느리 구박 노래예요! 가사는 15절까지 있다고 합니다.
“야사부로의 며느리는 손이 갈라져 피가 흘러도 기름을 바르게 해주지 않는다”, “맛있는 보탄모치를 받아도 며느리에게 들키지 않게 숨겨서 먹는다”…… 당신은 어떻게 느끼시나요?
쓰가루 오하라부시

‘오하라부시’는 일본 각지에서 불리는 민요 스타일로, ‘쓰가루 오하라부시’는 쓰가루를 대표하는 민요 중 하나로 사랑받고 있습니다.
이 곡은 주연(술자리)에서 불려오던 것, 미야기현 민요인 ‘시오가마 진쿠’가 변형된 노래라고 전해집니다.
아오모리의 민요·동요·아이노래|쓰가루와 하치노헤에 살아 숨 쉬는 마음에 울리는 일본의 노래(21~30)
백은 코로시

애수 어린 남부 진쿠의 선율과 동요의 친근함이 공존하는 한 곡입니다.
아오모리현 하치노헤시의 항구 마을을 무대로, 어부들의 유곽 드나듦에 대한 갈등과 집에 남은 가족에게 느끼는 죄책감 같은, 어찌할 수 없는 심정을 노래하고 있습니다.
이 곡이 지닌 무거운 주제를 왜 온화한 선율로 전해 왔는지, 그 배경에 생각을 잠기는 분도 계실지 모르겠습니다.
본작은 원래 구전된 노래였으나, 쓰가루 민요의 진흥가 나리타 운치쿠 씨가 쇼와 29년경에 신민요로 정리했다고 합니다.
험한 풍토 속에 살아온 사람들의 복잡한 감정이 스며든 노래의 세계를 접하고 싶을 때, 그 깊이에 차분히 귀 기울이고 싶어질 것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