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양 음악] 90년대 이모코어의 명반. 먼저 들어봤으면 하는 한 장
어원 등을 몰라도 이제 ‘에모이’라는 표현은 일반 대중에게까지 완전히 스며들었죠.
2022년 현재 30대 정도의 서양 음악 애호가라면, 2000년대 에모 붐을 통해 ‘에모’라는 단어를 알게 되었다는 사람도 많을 것입니다.
에모의 기원은 80년대로 거슬러 올라가지만, 원래는 펑크~하드코어 씬에서 탄생한 장르로 ‘이모셔널 코어’나 ‘에모코어’라고 불렸습니다.
이번 기사에서는 그런 에모코어라는 장르가 널리 퍼진 90년대에 발매된 명반들을 모아 보았습니다!
90년대의 에모코어를 실시간으로 접했던 필자가 초보자용으로 고른, 먼저 들어봤으면 하는 한 장을 꼭 체크해 보세요!
- 서양 이모 음악을 듣고 싶다면 여기서부터! 해외 이모 밴드 목록
- [외국 음악] 포스트 하드코어란 무엇인가—대표적인 밴드 정리
- 【팝송】하드코어 펑크의 명곡·인기곡 ~ 입문편
- 격렬! 외국 음악 그라인드코어 명곡 모음
- [감상·에모이] 마음이 떨리는 보카로 명곡 모음 [감동 송]
- 꾸준한 인기를 자랑! 서양 음악의 이모 명곡
- 명곡뿐이야! 90년대에 히트한 팝 발라드 송
- 현대 록 신과 이어지는 얼터너티브 록의 추천 해외 밴드
- 90년대의 위대한 서양 록 명곡·히트곡
- 서양 음악 중 추천하는 스크리모 밴드. 해외의 인기 밴드
- [2025] 절대 놓칠 수 없는 해외 메탈 밴드—베테랑부터 신예까지 소개
- [청춘의 빛남] 네오어쿠스틱의 명반. 네오어쿠스틱의 기본 한 장!
- 뉴메탈의 명곡. 추천하는 인기 곡
[서양 음악] 90년대 이모코어의 명반. 일단 들어봤으면 하는 1장(1~10)
Why Did Ever We MeetThe Promise Ring

‘에모이’라는 표현의 어원을 모르고 쓰는 젊은 분들이라도, 저도 모르게 ‘에모이네~’라고 말하게 될 청춘의 반짝임과 빛남, 그리고 어쩔 수 없는 서글픔을 그대로 토해낸 듯한 기타 사운드가 정말 최고네요! 더 프로미스 링은 미국 밀워키 출신으로, 90년대 이모의 전설 중 하나로 알려진 밴드입니다.
훗날 이모와 포스트 하드코어, 미(美) 인디의 명밴드들에 다수 관여하게 되는 전설적 밴드 캡’앤’재즈에서 기타와 보컬을 맡았던 데이비 본 보렌을 중심으로 1995년에 결성되어, 2002년 해산까지 앨범 4장을 발표했습니다.
이 ‘Nothing Feels Good’는 1997년에 명문 레이블 제이드 트리에서 발매된 두 번째 앨범으로, 90년대 이모코어의 명반을 다수 손본 거장 J.
로빈스가 프로듀싱을 맡았고, 젊음이 넘치는 싱그러운 기타 사운드와 직구의 애절한 멜로디로 높은 평가를 받은 명반입니다.
앨범 타이틀에서 전해지는 이 답답함은 바로 이것이야말로 90년대 이모코어라는 느낌을 주어 절로 미소가 지어집니다.
앨범 전반부의 질주하는 곡들만 주목받기 쉽지만, 후반 이후의 미들 템포 곡들에서야말로 이들이 지닌 뛰어난 송라이팅 감각을 확실히 느낄 수 있을 것입니다.
RiseRainer Maria

90년대 이모코어는 순진한 남성 중심의 음악으로 여겨지기 쉽지만, 걸작 앨범 ‘This Afternoon’s Malady’를 남긴 JEJUNE처럼 여성과 남성이 함께 보컬을 맡는 혼성 편성이나, 여성 보컬이 전면에 선 밴드도 일정 수 존재합니다.
그중 가장 인지도가 높고 내한 경력도 있는 최고의 3피스 밴드가 레이너 마리아입니다.
저명한 시인 라이너 마리아 릴케에서 밴드명을 따왔다는 지성미, 3피스 특유의 각 악기가 촘촘히 얽히는 밴드 앙상블, 아름다운 멜로디 라인을 무기로 삼아, 이곳 일본의 이모코어 팬들 사이에서도 매우 높은 인기를 누리고 있죠.
US 인디와 이모코어의 중요한 작품을 다수 발표해 온 명문 폴리바이닐 레코즈에서 낸 음반들은 모두 높은 평가를 받고 있는데, 이번에는 그들이 1999년에 발표한 명반 2집 ‘Look Now Look Again’을 다뤄봅시다.
데뷔작의 거칠었던 사운드가 한층 세련되었고, 케일린 드 마리어스의 우아한 보컬이 이끄는 아름다운 멜로디가 전면에 부각되며, 섬세하면서도 어그레시브한 기타 워크와 노래하듯 흐르는 베이스 라인, 유연한 드럼이 어우러진 곡들은 하나같이 뛰어납니다.
여성 보컬 이모코어의 선구적 작품으로서, 우선 이 한 장을 자신 있게 추천합니다!
HolidayThe Get Up kids

지미 이트 월드와 나란히, 여기 일본에서 90년대 이모 씬에서 가장 인기 있는 밴드 중 하나가 아닐까요.
미국 미주리주 캔자스시티가 낳은 더 겟 업 키즈는 1995년에 당시 고등학생이던 멤버들로 결성되어 2005년까지 활동한 뒤 한차례 해산했지만, 2008년에 재결성해 내한 공연과 신작 발매 등 왕성한 활동을 이어오고 있습니다.
아마 니르바나나 위저보다도 그들에게 영향을 받았다고 말하는 일본 밴드가 더 많을지도 모릅니다.
그런 그들의 최고 걸작이자, 일본에서도 많은 팬을 획득한 앨범이 1999년에 발매된 초명반 2집 ‘Something to Write Home About’입니다.
사랑스러운 로봇 일러스트가 인상적인 그 유명한 앨범 재킷을 한 번쯤 본 음악 팬들도 많을 것입니다.
오프닝 곡 ‘Holiday’부터 마지막 곡 ‘I’ll Catch You’까지 버릴 곡이 단 한 곡도 없고, 청춘이라는 단어가 그대로 소리로 구현된 듯한 멜로디와 감정적인 기타 사운드는 그야말로 ‘이모’라는 말 외에는 표현할 길이 없습니다.
맷 프라이어의 깊이 있는 훌륭한 보컬과 명곡 ‘Valentine’ 같은 발라드도 소화하는 탄탄한 밴드 앙상블은 물론, 키보디스트 제임스 듀위즈의 연주가 더 겟 업 키즈의 사운드를 한층 다채롭게 만들고 있다는 점에도 주목해 주셨으면 합니다.
【팝송】90년대 이모코어의 명반. 먼저 들어봤으면 하는 한 장(11~20)
Gloriamineral

서니 데이 리얼 에스테이트와 지미 잇 월드와 함께 거론되는 텍사스가 자랑하는 에모 레전드, 미네랄.
1994년 결성부터 1998년 해산까지 약 4년의 짧은 활동 기간 동안 남긴 앨범은 두 장뿐으로, 한때는 절판되어 가격이 치솟던 시기도 있었기에 말 그대로 전설적인 존재로 오랫동안 회자되어 왔습니다.
그러나 2014년에 돌연 재결성하여 작품이 재발매되고, 기적적인 내한 공연까지 성사시켰죠.
앞서 말했듯 그들이 발표한 앨범은 두 장뿐이고, 둘 다 우열을 가리기 어려운 대걸작이지만, 이번에는 기념비적인 데뷔 앨범인 1997년 발매의 ‘The Power of Failing’을 소개해 봅시다.
포스트 하드코어, UK 록, 슬로코어부터 슈게이저까지 다양한 장르에서 영향을 받은 그들의 사운드는 또한 ‘90년대 이모코어’의 상징적인 음색이었고, 00년대 초 스크리모 진영 등 후속 밴드들에게 지대한 영향을 미쳤습니다.
왜곡되어 있는데도 중심에 클린 톤이 들리는 듯한 독특한 기타 사운드, 격정과 애수의 불안정한 콘트라스트를 오가는 크리스 심슨의 보컬, 정적과 동적의 다이내미즘으로 매료시키는 밴드 앙상블… 드라마틱한 곡 전개도 흔들리는 감정 그 자체라는 느낌입니다.
이 소리에 흥미를 느끼지 못한다면 아마 90년대 이모코어와 인연이 없는 분일 것입니다.
반대로 마음에 들었다면, 미네랄 멤버들이 이후 시작해 UK 록의 영향을 더욱 강화한 더 글로리아 레코드도 꼭 확인해 보세요!
Never MeantAmerican Football

에모뿐만 아니라 포스트 록과 매스 록 같은 장르에서도 후대 밴드들에 지대한 영향을 끼치고, 미국 인디가 낳은 걸작으로 지금도 평가받는 ‘American Football’ 역시 1999년에 발매된 작품이군요.
전설적인 에모 밴드 캡’н’재즈의 멤버였으며 솔로 프로젝트 오웬으로도 유명한 마이크 킨셀라 씨를 중심으로 1997년에 결성된 아메리칸 풋볼은, 앞서 언급한 자가제목 데뷔 앨범과 EP 한 장을 남기고 해산해 오랫동안 전설의 밴드로 회자되어 왔습니다.
하지만 2014년 재결성 이후에는 자신들의 페이스를 유지하면서도 훌륭한 신작들을 발표해 왔고, 2020년대를 지난 지금도 새로운 팬들을 계속해서 만나고 있습니다.
그런 그들의 데뷔 앨범은 클린 톤을 축으로 한 기타 아르페지오가 아름답게 얽혀 있으며, 재즈와 매스 록적 요소가 느껴지는 앙상블은 다듬어지지 않았음에도 압도적인 오리지널리티를 자랑합니다.
마이크 씨의 담백하고 섬세한 보컬이 이끄는 멜로디는 다정하면서도, 젊음에서 비롯된 초조함 같은 감정이 배어 있는 가사가 특징이죠.
전체적으로는 온화한 분위기이면서도, 펑크~하드코어 출신 멤버만이 낼 수 있는 긴장감이 곳곳에 서려 있다는 점도 훌륭합니다!
Do You Still Hate Me?Jawbreaker

이모는 여러 장르를 흡수할 수 있는 자유도가 높은 음악 장르인 것은 분명하지만, 듣는 사람에 따라서는 애매하고 어정쩡하게 느껴질 수도 있습니다.
이번 글의 주인공인 조브레이커는 1980년대에 활동을 시작한 트리오로, 유서 깊은 펑크의 혈통을 지닌 밴드이면서도 독자적인 멜로딕함을 겸비한 사운드로 인디에서 인기를 얻었으나, 메이저 데뷔 이후에는 열성 팬들로부터 ‘셀아웃’이라는 비판을 받으며 안타깝게도 해체하고 말았습니다.
그렇다 해도 마이 케미컬 로맨스나 폴 아웃 보이 같은 2000년대를 풍미한 인기 밴드들이 조브레이커의 영향을 공개적으로 밝혔고, 2017년에는 밴드의 역사를 주제로 한 다큐멘터리 영화가 공개되는 등, 그 영향력의 크기는 젊은 음악 팬들에게도 널리 알려지게 되었습니다.
이번에는 메이저 이적 이전의 최고 걸작으로 평가되는 1994년 발매 서드 앨범 ‘24 Hour Revenge Therapy’를 소개합니다.
멜로딕 펑크의 성급함과 인디 록을 떠올리게 하는 소박한 기타 사운드가 공존하고, 동시에 엔지니어를 맡은 명장 스티브 알비니 특유의 거친 음상은 매우 90년대적이며, 애수를 머금은 노래 감성과 사소설 같은 가사를 포함해 그야말로 ‘이모셔널 코어’라 부를 만한 음악이라 할 수 있을지도 모릅니다.
90년대 이모코어의 역사를 깊이 파고드는 데에도 꼭 체크해 보길 바라는 작품이자 밴드입니다!
Shoulder To The WheelSaves the Day

멜로딕 펑크의 영향을 받은 질주감 넘치는 사운드이면서도 멜코어 특유의 스포ーティ함은 거의 없고, 푸르고 순진한 보컬과 멜로디가 돋보이는 뉴저지 출신의 세이브스 더 데이.
현재는 유일한 오리지널 멤버로서 지금도 활동을 이어가고 있는 크리스 콘리 씨를 중심으로 10대였던 1997년에 결성된 그들은, 초창기에는 같은 고향의 전설 라이프타임의 직계라 할 수 있는 멜로딕 하드코어를 들려주었지만, 점차 크리스 씨의 뛰어난 송라이팅 감각을 전면에 내세운 팝한 작풍으로 이행했고, 2001년의 걸작 3집 ‘Stay What You Are’는 인디즈임에도 본국 미국에서 10만 장 이상을 판매한 작품이 되었습니다.
이번에는 90년대 발매작에 초점을 맞춘 기사라는 것으로, 펑키한 질주감과 애잔한 멜로디가 교차하는 1999년 발매의 명반 2집 ‘Through Being Cool’을 소개합니다.
이후 그들의 팝적인 음악성이 움트기 시작했던 앨범으로, 대학생이었던 멤버들이 들려주는 젊고 공격적인 기타 사운드와 새콤달콤하고 이모셔널한 멜로디는 그야말로 청춘의 한가운데! 하드코어의 명문이자, 00년대 이후 많은 포스트 하드코어와 메탈코어의 명작을 발표한 이퀄 비전 레코드에서 발매된 작품이라는 점도 꼭 기억해 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