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양 음악] 90년대 이모코어의 명반. 먼저 들어봤으면 하는 한 장
어원 등을 몰라도 이제 ‘에모이’라는 표현은 일반 대중에게까지 완전히 스며들었죠.
2022년 현재 30대 정도의 서양 음악 애호가라면, 2000년대 에모 붐을 통해 ‘에모’라는 단어를 알게 되었다는 사람도 많을 것입니다.
에모의 기원은 80년대로 거슬러 올라가지만, 원래는 펑크~하드코어 씬에서 탄생한 장르로 ‘이모셔널 코어’나 ‘에모코어’라고 불렸습니다.
이번 기사에서는 그런 에모코어라는 장르가 널리 퍼진 90년대에 발매된 명반들을 모아 보았습니다!
90년대의 에모코어를 실시간으로 접했던 필자가 초보자용으로 고른, 먼저 들어봤으면 하는 한 장을 꼭 체크해 보세요!
- 서양 이모 음악을 듣고 싶다면 여기서부터! 해외 이모 밴드 목록
- [외국 음악] 포스트 하드코어란 무엇인가—대표적인 밴드 정리
- 【팝송】하드코어 펑크의 명곡·인기곡 ~ 입문편
- 격렬! 외국 음악 그라인드코어 명곡 모음
- [감상·에모이] 마음이 떨리는 보카로 명곡 모음 [감동 송]
- 꾸준한 인기를 자랑! 서양 음악의 이모 명곡
- 명곡뿐이야! 90년대에 히트한 팝 발라드 송
- 현대 록 신과 이어지는 얼터너티브 록의 추천 해외 밴드
- 90년대의 위대한 서양 록 명곡·히트곡
- 서양 음악 중 추천하는 스크리모 밴드. 해외의 인기 밴드
- [2025] 절대 놓칠 수 없는 해외 메탈 밴드—베테랑부터 신예까지 소개
- [청춘의 빛남] 네오어쿠스틱의 명반. 네오어쿠스틱의 기본 한 장!
- 뉴메탈의 명곡. 추천하는 인기 곡
【팝송】90년대 이모코어의 명반. 먼저 들어봤으면 하는 한 장(11~20)
Tired Of SexWeezer

위저를 이모 장르에 넣는 것에 대해 찬반이 갈린다는 점은 잘 알고 있지만, 그래도 ‘눈물샘 자극’의 대표격이자 이모코어 진영에도 막대한 영향을 주었고 당시에는 이모코어와 동등하게 거론되곤 했던 그들의 앨범은 꼭 소개하고 싶습니다.
1990년대 미국이 낳은 세계적인 록 밴드이자, 천재 싱어송라이터 리버스 쿠오모가 이끄는 위저는 대단한 친일파로도 알려져 있으며, 일본 팬들과의 끈끈한 유대는 매우 유명합니다.
특히 1996년에 발매된 두 번째 앨범 ‘Pinkerton’은, 일본풍의 향기가 묻어나는 우키요에를 사용한 앨범 재킷과 일본인이 등장하는 가사 등 일본적인 요소가 가득한 앨범으로, 본국인 미국보다 일본에서 더 히트한 작품이죠.
역사적인 명반인 데뷔작과 비교해도 더욱 공격적인 기타가 울부짖고, 최고의 캐치한 멜로디에 실린 가사는 꿈꿔오던 록스타가 된 자신과 현실의 간극에 괴로워하는 듯한, 너무도 적나라한 감정의 분출… 그야말로 ‘이모셔널’하다고밖에 표현할 수 없습니다.
일이 잘 풀리지 않는 나날이나 멋지지 못한 자기 자신 등, 미국식 마초이즘과는 상반되는 이미지를 전면에 내세운 위저의 음악성이 일본에서 크게 받아들여진 것은 필연이라 할 수 있고, 섬세한 이모코어 세대에게도 대인기를 끈 것은 그야말로 납득이 갑니다.
Take On Mecap’n jazz

이 밴드에서 조앤 오브 아크, 더 프라미스 링, 아메리칸 풋볼과 같은 이름난 90년대 이모코어의 명밴드들이 탄생했다는 사실은, 말 그대로 US 인디의 역사에서 기적이라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1989년에 팀 킨셀라와 마이크 킨셀라 형제를 중심으로, 이후 더 프라미스 링의 프런트맨으로 활약하게 되는 데이비 본 보렌 등이 소속되어 있던 캡앤 재즈는, 멤버들의 이후 커리어만 따라가도 US 인디의 훌륭한 밴드들을 다수 만날 수 있을 정도로 기적 같은 밴드입니다.
캡앤 재즈로서의 작품은 몇 장의 EP와 1995년에 발매된 유일한 앨범뿐이지만, 이번에는 초심자용으로 그들의 곡을 거의 망라한 디스코그래피 앨범 ‘Analphabetapolothology’를 추천합니다! 1998년에 US 인디의 명가 제이드 트리 레코딩스에서 발매된 2장짜리 작품으로, 이후 재발매도 되었습니다.
당시 10대였던 멤버들이 선보인, 펑크도 하드코어도 얼터너티브 록도 아닌 거친 기타 사운드는, 흐느적거리는 팀 킨셀라의 지나치게 개성적인 보컬까지 포함해 그야말로 ‘이모코어’의 원형이라 할 만한 소리입니다! 너무도 애절하고 씁쓸한 아하의 명곡 ‘Take On Me’ 커버까지 포함되어 있어, 90년대 이모코어나 US 인디에 관심이 있는 분이라면 전 곡 필청입니다.
SavoryJawbox

90년대 이모코어의 역사를 탐구해 보면, 밴드 멤버들뿐만 아니라 프로듀서와 엔지니어의 존재도 중요하다는 사실을 깨닫게 될 것입니다.
이모코어 이전부터 활동을 이어 온 조박스의 중심 인물 J.
로빈스는, 이모코어의 명반을 다수 맡아 온 능숙한 프로듀서로도 잘 알려져 있습니다.
1989년 워싱턴 D.
C.
에서 조박스를 결성한 로빈스는, 80년대 이른바 DC 하드코어의 전설적인 밴드 거버먼트 이슈의 베이시스트로 활약했으며, 조박스 결성 이후 1997년 해산까지 4장의 앨범을 발표하고 메이저 데뷔도 이뤄냈습니다.
이번에는 그 4장의 앨범 중에서 메이저 데뷔작이자 걸작으로 손꼽히는 서드 앨범 ‘For Your Own Special Sweetheart’를 소개해 보겠습니다.
상업적으로 큰 성공을 거둔 것은 아니지만, 단단하고 스릴 넘치는 기타, 독특한 그루브를 만들어 내는 리듬 파트, 달콤함에 과하게 흐르지 않는 절묘한 노랫결의 멜로디, 하드코어 출신다운 긴장감으로 가득 찬 밴드 앙상블이, 이후 포스트 하드코어와 이모코어 세력, 나아가 매스 록 등의 밴드들에게 끼친 영향은 실로 막대합니다.
90년대 얼터너티브 록의 명반이자 포스트 하드코어의 걸작인 이 작품을 아직 들어 보지 않았다면, 꼭 체크해 보세요!
Different TimesSense Field

미국 캘리포니아주에서 1991년에 결성된 센스 필드는, 2000년대 이후에는 퍼더 씸스 포에버의 세 번째 보컬리스트로 활약하며 카리스마적인 인기를 누렸으나 2016년에 아쉽게 세상을 떠난 존 번치가 이끈 90년대 이모코어의 선구적 밴드 중 하나입니다.
하드코어 출신 멤버들이 만들어내는 탄탄한 사운드와 동시대의 얼터너티브 록과 공명하는 사운드는 이후의 포스트 하드코어와 이모코어 진영에 막대한 영향을 미쳤습니다.
그런 그들이 밴드만의 사운드를 확립하고, 하드코어와 펑크의 명문 레이블인 레버레이션 레코드에서 발표한 두 번째 정규 앨범 ‘Building’은 말 그대로 얼터너티브~그런지와 포스트 하드코어를 잇는 중요한 명반입니다.
90년대 이모코어 진영 가운데서도 번치의 보컬은 록 색채가 강하고 확고한 존재감을 지니며, 풍부한 표현력으로 노래하는 모습에서 보컬리스트로서의 희귀한 재능이 느껴집니다.
사운드 전반적으로도 이모 특유의 애수나 미드 템포를 중심으로 한 정적과 동적의 대비와는 다른, 오히려 앞서 언급했듯 동시대 얼터너티브 록에 가까운 구조를 지닌 곡들이 많아, 록적인 다이내미즘과 뛰어난 가창, 다이내믹한 기타 리프 등이 직설적으로 ‘멋지다’고 말할 수 있는 한 장입니다!
You Can’t ComeStarmarket

이번 기사에서는 이모코어의 발상지인 미국의 밴드를 많이 다루고 있지만, 동시대의 유럽에도 훌륭한 이모코어 밴드들이 존재합니다.
이번에 소개하는 스타마켓은 스웨덴이 낳은 이모 밴드의 대표격이자 최고봉 중 하나입니다.
1995년에 기타리스트이자 보컬리스트인 프레드릭 브란드스트룀을 중심으로 결성되어, 같은 해에 이미 동명 데뷔작을 발표했습니다.
2004년에 해산하기 전까지 5장의 앨범을 발표했으며, 본국보다도 여기 일본에서 더 높은 평가를 받았던 밴드였죠.
그런 그들의 작품 중에서도 걸작으로 이름 높은 1997년 발매의 두 번째 앨범 ‘Sunday’s Worst Enemy’에는, 이모코어가 펑크~하드코어에서 파생한 음악임을 새삼 재확인하게 만드는 공격적인 기타 사운드, 일본인 취향의 애수 어린 멜로디가 최상의 형태로 구현된 곡들이 즐비합니다.
멜로디를 중시한 세련된 인디 록 스타일로 전환하기 이전의, 거칠고 질주하는 감각과 북유럽 특유의 서늘한 질감이 모순 없이 공존하는 스타마켓만의 음악은, 스웨디시 이모를 확립한 금자탑과도 같은 한 장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입니다.
2018년에 재결성했을 때 리마스터된 종이 슬리브 사양의 재발매반이 일본에서 출시되었으니, 관심이 생긴 분들은 꼭 찾아보시기 바랍니다.
The HandsJanne Da Arc

시카고의 전설 캡’n 재즈가 해산한 뒤, 중심 인물인 팀 킨셀라가 1995년에 새로 시작한 밴드가 조운 오브 아크입니다.
기본적으로 팀 씨를 제외한 멤버들은 유동적이며, 킨셀라 패밀리 가운데서는 팀의 동생이자 아메리칸 풋볼과 오웬 등으로 알려진 마이크 킨셀라도 참여하고 있죠.
이 주변 참여 멤버들의 동향을 깊게 파고들면 이모의 역사에서 하나의 패밀리 트리 같은 양상을 보이니, 관심 있는 분들은 꼭 체크해 보시길.
그런 조운 오브 아크는 소위 ‘이모’와는 또 다른 독자적인 음악성을 지닌 밴드로, 포스트 록이나 사운드 아트 계열과 같은 선상에서 이야기되곤 합니다.
난해한 면도 있고, 솔직히 이해하기 쉽다고 하긴 어려운 그들의 작품 성향은 작품을 낼수록 더욱 두드러졌는데, 여기서 소개하는 1997년 발매 데뷔 앨범 ‘A Portable Model Of .
.
.
’는 실험성과 독특한 팝 감각이 기적 같은 균형을 이룬 작품으로, 처음 그들의 음악을 듣는 분들께도 추천할 만한 일품입니다.
팀의 프리키한 멜로디, 부유하는 전자음, 록적 포맷에서 일탈한 앙상블이 엮어내는 음의 세계는, 오히려 2020년대를 지난 지금 듣기에 세련되기까지 하네요.
처음엔 다가가기 어렵게 느껴질 수도 있지만, 이 소리의 깊은 맛을 이해하게 된다면 분명 더 넓은 세계가 펼쳐질 것입니다!
끝으로
2000년대의 이모 붐 이후로 굳이 ‘이모코어’라는 말을 쓰는 사람은 당시를 아는 분들로 한정되고 있습니다만, 이번에 소개한 지나치게 이모한 명반들을 들어보면 어렴풋이 90년대의 ‘이모코어’가 어떤 음악이었는지 전해졌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애초에 애매한 장르인 ‘이모코어’는 절판된 타이틀도 많으니, 더 깊은 이모함을 찾기 위해 파고들어 보시길 추천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