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전통 음악] 가가쿠·가구라의 명곡. 추천하는 일본 전통 음악
오래전부터 전해 내려온 일본 전통 음악의 아름다움에 당신은 얼마나 접해 보셨나요? 가가쿠와 가구라에는 현대 음악에서는 맛볼 수 없는 장엄한 분위기와 깊은 정신성이 깃들어 있습니다.
천 년 이상 시간을 넘어 계승되어 온 일본의 전통 음악에는 우리의 마음에 울리는 보편적인 매력이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일본의 고전 음악 가운데 마음이 정화되는 듯한 아름다운 선율들을 소개합니다.
현대에는 낯설게 들릴 수 있는 음색일지라도, 분명 당신의 마음 깊숙이 스며들 것입니다.
- [일본의 마음] 거문고의 명곡. 일본의 아름다운 선율
- [정석] 설날 BGM. 일본의 신춘·영춘 음악
- 마음을 울리는 샤쿠하치 명곡집|마음을 흔드는 일본의 아름다운 선율
- [오사카의 노래] 열정적이고 인간미 넘치는 오사카 송을 픽업
- [일본의 마음] 샤미센 명곡·인기곡 모음
- ‘일본의 전통’ 순본악의 일본 축제바야시
- [일본의 축제 송을 즐기자!] 축제를 노래한 곡. 축제와 관련된 명곡
- 일본의 애가에 담긴 영혼의 절규. 마음에 울려 퍼지는 지극한 명곡을 풀어내다
- [최신 & 정석] 인기! 일본풍 보컬로이드 곡 모음
- 연주와 노래로 전해져 내려오는 일본 포크송의 명곡
- 포크댄스의 명곡·인기곡
- [정석] 보컬로이드의 명곡·추천 인기곡·신의 곡
- [일본의 교가] 고시엔에서도 화제! 아름다운 교가부터 개성 넘치는 것까지 한꺼번에 소개
[일본의 전통 음악] 가가쿠·가구라의 명곡. 추천하는 일본 전통 음악(21~30)
무악 난륭왕 료테키 독주

‘난릉왕(난료오우)’은 일본을 대표하는 아악(雅楽)의 연목 중 하나로, 관현 합주와 무(舞)가 함께 연주되는 가운데 용적(龍笛) 독주가 이루어지는 작품입니다.
당악, 일월조(壱越調), 중곡, 파(破), 빠른 8박자, 장단 16, 고악에 속하며, 무(무인 1명, 주무/달려 나가는 춤)도 있고, 번무는 납소리(納曾利)입니다.
중국 북제의 난릉왕 장공(蘭陵王 長恭)이 무서운 가면을 쓰고 싸워 적군을 격파한 모습을 춤으로 형상화한 것이라고 전해집니다.
임읍의 승려 불철(불철)이 일본에 전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중국풍의 느낌이 남아 있는 아름다운 곡으로도 유명합니다.
일본의 아악이나 중국의 아악에 관심 있는 분이라면 한 번은 들어봐야 할 용적 독주입니다.
미야지마·이츠쿠시마 신사 도카사이 부가쿠 ‘소리코’

무악을 대표하는 ‘소리고’가 있습니다.
‘소리고’는 고려악, 고려일월조, 소곡, 우방 신악에 속하며, 춤(무인 4명, 문무)도 있습니다.
시텐노지에서는 무인이 5명이 됩니다.
반무에는 이고 등이 있습니다.
전주에서는 고려적과 피리가 선창으로 의조시가 연주되고, 무인들은 츠마도리를 갖춘 소쿠소쿠를 입고, 노가케가 달린 말영의 관을 쓰며, 사람 얼굴을 추상화해 그린 잡면을 쓰고, ‘하쿠소’라 불리는 짧은 막대를 손에 들고 춤춥니다.
현대에는 히로시마현 미야지마, 이쓰쿠시마 신사의 도카사이 등에서도 선보이며, 그 분위기를 느낄 수 있습니다.
[일본 전통 음악] 가가쿠·카구라의 명곡. 추천하는 일본 전통 음악(31~40)
오른쪽 방면 환성악

환성악(げんじょうらく)은 당악, 태식조, 중곡, 우방, 좌방, 고악으로, 춤(무인 1인, 주무)도 있습니다.
우방은 야다라 박자, 박자 18, 좌방은 하야타다 박자, 박자 18입니다.
의심스러운(괴이한) 가면을 쓰고, 북채(채)를 손에 들고, 목제로 된 뱀을 붙잡아 용맹하게 춤춥니다.
번무는 발두 등입니다.
미야지마·이츠쿠시마 신사 정월 제전 원시제 가가쿠 ‘고도크라쿠’

세토 내해에 떠 있는 신의 섬 미야지마에서는 일 년 내내 다양한 제례와 신사가 거행되며, ‘고도쿠라쿠(코토쿠라쿠)’는 그 행사 중 하나입니다.
고려악, 고려 이치코츠조, 소곡, 무악으로 구성되어 무(무인 6명)가 있으며, 술자리에 취한 모습을 춤으로 표현한 것으로, 비틀거리며 무대를 내려가는 등 우스꽝스럽고 희극적인 무악입니다.
이쓰쿠시마 신사의 1월 3일 원시제에서 매년 봉납되는 무악으로, 현대에는 현지 관람은 물론 온라인 라이브도 진행되어 거리가 먼 사람들도 시청할 수 있습니다.
무악에 흥미가 생긴 분들은 온라인 라이브 아카이브를 보거나 직접 관람하러 가보는 것도 좋겠습니다.
평조 푸남 룡적 독주

푸남은 당악, 평조, 중곡, 빠른 8박자, 14박, 신악으로, 춤은 없습니다.
‘푸남’은 1~2세기에 크메르인이 인도차이나 반도 남부 메콩강 하류 지역에 세운 고대 국가의 중국식 명칭입니다.
남해 무역에 종사하며 인도 문화의 영향을 받아 한때 번영했으나, 7세기 중엽 진랍의 압박을 받아 쇠망했습니다.
진부삼절 2016

‘진모삼절(진모삼절)’은 무악을 시작할 때 가장 먼저 추는 춤입니다.
무대를 정화하듯 창을 흔드는 것이 특징이며, 우방 무인 1명과 좌방 무인 1명이 춥니다.
첫 절은 좌방의 무인이 혼자 추고, 둘째 절은 우방의 무인이 혼자 추며, 셋째 절에서 두 무인이 함께 춥니다.
상교의 들판에서 주(周)의 무왕이 은(殷)을 정벌하기 위해 천지의 신께 기도를 올렸다는 고사에서 유래한 것으로 전해집니다.
아악 가운데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으며, 여기서부터 무악이 시작됩니다.
아츠타 신궁 무악 신사 신막갈

나고야시 아쓰타구에 있는 아쓰타 신궁에서 선보이는 전통 아악 ‘신마카(しんまか)’입니다.
고마가쿠, 이치코츠조, 소곡, 도라비시, 비시 주로쿠, 신가쿠로 구성되어 있으며, 무(무인 4명)도 포함됩니다.
반무는 ‘채상로’이며, 신말갈용 별도의 장복을 착용하고, 잠자리 날개와 같은 장식이 달린 당관을 쓰며, 홀(적)을 손에 들고 하초를 허리에 차고 춤춥니다.
무대에는 무인이 두 사람씩 올라가거나, 정좌하여 재배를 하거나, 옆으로 엎드리는 등 무악에서는 드문 춤사위가 특징입니다.
아쓰타 신궁은 이세 신궁에 버금가는 특별히 존귀한 신사로서 두터운 숭경을 받으며 특별한 예우를 받는 한편, ‘아쓰타님’, ‘구(미야)’로 불리며 친숙하게 여겨집니다.
주요 제례·신사 행사만 해도 연간 70여 가지에 이르는 가운데, 이 ‘신말갈’은 현대에도 계승되고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