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G MusicKARAOKE
멋진 노래방 노래
search

[노래방] ‘모’로 시작하는 제목의 노래 모음

같은 아티스트의 곡이나 곡 제목 등, 여러 가지 규칙을 정해서 노래방에서 부르기도 하죠.

‘○○로 시작하는 노래’처럼 오십음 중에서 글자를 골라서 부르는 것도 추천해요.

이 글에서는 ‘모(も)’로 시작하는 노래들을 한꺼번에 소개할 테니, 노래방에서 부를 때 참고해 보세요.

‘もし(모시)’나 ‘もう(모우)’처럼 센티멘털한 단어가 나오는 곡이 많으니, 가사의 의미를 생각하거나 스토리를 떠올리면서 부르는 것도 좋겠죠.

쇼와부터 헤이세이, 레이와에 이르기까지 활약한 아티스트들의 ‘も(모)’로 시작하는 곡을 꼭 체크해 보세요.

[노래방] '모'로 시작하는 제목의 곡 모음 (21~30)

빈 껍데기타쿠미 료

타쿠미 료 ‘허수아비(껍데기만 남은)’ MV [공식]
빈 껍데기 다쿠미 료

사랑하는 사람에게 떠나버려 마음이 텅 비어버린 애잔한 감정을 그려낸, 다쿠미 료의 싱글입니다.

라틴의 열정적인 리듬 위에 얹어져 노래되는 것은, 버려진 쪽의 답답하고도 허무한 감정 그 자체.

상대가 잘못했다고 생각하면서도 끊어내지 못하는 미련이 교차하는 어른의 사랑 풍경이, 달콤하고 길게 뻗는 보이스로 표현되어 있습니다.

사랑의 추억에 잠기고 싶은 밤, 이 댄서블한 사운드에 몸을 맡기고, 그 애틋함을 열정으로 녹여보는 건 어떨까요?

이제 어떻게 돼도 상관없어호시마치 스이세이

이제 어떻게 되어도 상관없어 / 호시마치 스이세이(official)
이제 어떻게 되든 상관없어, 호시마치 스이세이

버추얼 아이돌로서 쾌진격을 이어가고 있는 호시마치 스이세이의 ‘이젠 어떻게 돼도 상관없어’는 2025년 4월에 발매된 곡입니다.

‘기동전사 건담 GQuuuuuuX’ 애니메이션판의 엔딩 테마이자, 극장판의 삽입곡으로 새로이 쓰인 곡이죠.

질주감 넘치는 사운드와, 어른이 다 되지 못한 갈등을 그린 서사적인 가사가 절묘하게 맞아떨어집니다.

겉보기에는 체념한 듯한 제목과 달리, 듣는 이의 마음을 강하게 흔들어 놓을 거예요.

호시마치 스이세이의 투명함과 힘이 공존하는 쿨한 보컬을 재현하는 것은 쉽지 않지만, 어려운 곡인 만큼 완창했을 때의 상쾌함은 각별합니다! 꼭 연습해서, 노래방에서 멋지게 선보여 보시는 건 어떨까요?

[노래방] 'も'로 시작하는 제목의 곡 모음 (31~40)

Monkey Monkey / Control TowerBoys Boys

BOYS BOYS – MONKEY MONKEY/CONTROL TOWER (1980) [female punk japan]
Monkey Monkey / Control TowerBoys Boys

일본 여성 펑크의 길을 개척한, 그야말로 전설적인 존재가 Boys Boys입니다.

1978년경 결성되어 단 한 장의 싱글만을 남기고 씬에서 사라진 그들의 사운드는 라몬즈 직계의 스트레이트한 로큰롤! 보컬 쿠미(Kummy)의 꾸밈없는 보컬과, 거칠지만 날카롭게 파고드는 기타를 들으면 아무것에도 얽매이고 싶지 않아! 라는 초기 충동을 떠올리는 분들도 많지 않을까요? 멤버들이 스스로 곡을 만들고 연주하는 모습은 후배 밴드들에게 큰 영향을 주었습니다.

이 날이 선 사운드를 들으며, 일본 걸스 펑크가 탄생하던 순간의 뜨거운 열기를 느껴봅시다!

이제, 이야기는 필요 없어.미국 민요 연구회

밤의 어둠에 녹아드는 듯한, 환상적인 세계관에 빨려 들어가는 작품입니다.

이 곡은 아메리카 민요 연구회 Haniwa 씨가 2025년 7월에 공개했습니다.

하이 스피드로 전개되는 부유감 있는 사운드에 실려 엮이는 것은, 끝나지 않는 밤, 다가오는 아침, 그 두 가지에 대한 갈망.

두 인물의 주고받음으로 진행되는 가사 세계가 상상력을 자극합니다.

부디 이 음악에 깊이 잠겨 보세요.

복숭아빛 탄식타카하시 마리코

타카하시 마리코의 명곡 ‘복숭아빛 탄식’.

매우 이국적인 멜로디가 특징으로, 무드 가요의 요소를 지니면서도 현대적인 J-POP의 요소를 겸비한 작품입니다.

이 곡은 mid1 G#부터 hi C까지의 비교적 좁은 음역에 정리되어 있습니다.

자주 등장하는 음정도 mid2 G#이기 때문에, 여성이라면 무리 없이 발성할 수 있을 것입니다.

무드를 중시한 작품이므로, 억양을 의식해서 부르는 것을 추천합니다.

구의 끝이 자음이라면, 무성음으로 페이드아웃하는 것도 한 방법이겠죠.

모킹버드마츠다 세이코

작은 새들의 지저귐을 흉내 내는, 마치 그림책 속에 등장하는 소녀의 정경이 눈앞에 떠오르는 한 곡입니다.

마츠다 세이코 씨의 청량하고 투명한 ‘캔디 보이스’가, 작사 마츠모토 타카시 씨와 작곡 미나미 요시타카 씨가 그려낸 동화적인 세계관과 멋지게 융합되어 있죠.

이 사랑스러운 노랫소리에 절로 마음이 따뜻해지는 분들도 많지 않을까요.

이 작품은 1982년 11월 싱글로 발표되었습니다.

놀랍게도 녹음 당일에 처음으로 곡을 건네받는 상황 속에서도, 이러한 표현력을 발휘했다고 해요.

바쁜 나날에서 잠시 벗어나 이야기의 세계에 잠기고 싶을 때나, 마음을 차분히 가라앉히고 싶은 밤에 들으면, 다정한 기분이 될지도 모르겠네요.

돌아와줘·나의 시간다케우치 마리야

작사는 야스이 가즈미, 작곡은 카토 가즈히코라는 호화로운 작가진이 참여한 이 곡은, 다케우치 마리야의 기념비적인 데뷔 싱글입니다.

이세탄의 CM 송으로 오랫동안 사랑받아 온 세련되고 도회적인 사운드는, 마치 시티팝의 여명을 알리는 듯합니다.

다케우치 마리야의 젊고 투명한 보이스로 전해지는 ‘돌아와 줘, 나의 시간’이라는 메시지는, 자꾸만 무리하게 되는 우리들의 마음에 부드럽게 스며듭니다.

매일을 치열하게 살아가다 보면, 나 자신을 위한 시간을 잊기 쉽지만, 이 곡을 들으면 ‘그래, 나의 시간을 되찾자’라는 가벼운 마음이 들 것 같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