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G MusicHR-HM
추천 하드 록·헤비 메탈
search

【팝송】하드코어 펑크의 명곡·인기곡 ~ 입문편

펑크 록의 공격적인 발전형으로서 1970년대 후반에 탄생한 하드코어 펑크.

대부분이 1분 혹은 2분이 채 안 되는 짧고 빠른 곡의 연속, 한없이 과격하고 격렬한…이라는 이미지를 갖고 계신 분도 많을지 모릅니다.

물론 그런 면도 하드코어 펑크의 특징이자 매력이지만, 이후 메탈이나 록 등과 융합하며 다양한 서브장르가 탄생한 하드코어 펑크의 깊이는 한마디로 설명할 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

이번 글에서는 하드코어 펑크의 선구적인 밴드를 중심으로, 주로 80년대에 탄생한 대표곡과 명곡을 선정해 보았습니다.

장르의 입문편으로도 꼭 활용해 보세요!

[팝송] 하드코어 펑크의 명곡·인기곡 ~ 입문편 (11〜20)

Kids of the Black HoleAdolescents

1981년에 발표된 이 곡은 Adolescents의 데뷔 앨범 ‘Adolescents’에 수록된 걸작입니다.

남부 캘리포니아 펑크 씬을 상징하는 본 작품은 사회에서 고립된 청년들의 모습을 선명하게 그려냅니다.

에너지 넘치는 연주와 함께, 청년들의 내적 갈등과 항의의 목소리를 강렬하게 표현하고 있어 지금도 많은 리스너들의 마음에 울림을 주고 있습니다.

Adolescents는 1980년 캘리포니아주 플러턴에서 결성되었으며, 이 데뷔 앨범의 성공으로 미국 전역에서 인지도를 높였습니다.

하드코어 펑크에 관심 있는 분은 물론, 청년의 고독과 반항심에 공감하는 분들에게도 추천할 만한 한 곡입니다.

I’m Not a LoserDESCENDENTS

1982년에 발매된 데뷔 앨범 ‘Milo Goes to College’에 수록된 이 작품은 하드코어 펑크 팬들의 마음을 사로잡은 명곡입니다.

사회적 평가에 굴하지 않는 강한 자아를 노래한 가사는 청춘 시절의 갈등을 훌륭히 표현하고 있습니다.

낮게 걸친 바지, 더럽혀진 옷, 구멍 난 신발 같은 외모로 평가받는 것에 대한 분노를 격렬한 사운드와 함께 토해내고 있죠.

Descendents는 1977년에 결성되었고, 이 곡을 포함한 앨범으로 멜로딕 하드코어의 선구자가 되었습니다.

반항심과 자기주장이 가득한 이 작품은, 자신의 가치를 남에게 정해지길 원하지 않는 당신에게 딱 맞는 한 곡입니다.

kids Aren’t AlrightThe Offspring

The Offspring – The Kids Aren’t Alright (Official Music Video)
kids Aren't AlrightThe Offspring

앨범 ‘Americana’에 수록되어 있습니다.

멜로딕 하드코어를 메인스트림으로 끌어올린 공로가 있는 밴드 중 하나죠.

이 곡은 어딘가 애잔한 멜로디에 하드 엣지한 기타를 얹어, 가사의 비극성과 맞물려 마음을 꽉 붙잡습니다.

Injustice System!Sick of It all

Sick Of It All – “Injustice System” Revelation Records
Injustice System!Sick of It all

밴드 이름만으로도 진한 하드코어의 향기가 풍기는 식 오브 잇 올(Sick of It All)은 1986년 뉴욕 퀸즈에서 결성된 뉴욕 하드코어의 중진입니다.

메탈 요소를 대폭 도입한 뉴스쿨 계열 하드코어와는 달리, 어디까지나 하드코어 펑크의 출신을 지켜온 올드스쿨 타입의 상징적 존재 중 하나로서, 2020년대인 지금도 활동을 이어가는 대베테랑이죠.

단순히 활동 경력이 길다는 것만이 아니라, 정기적으로 신작을 계속 발표하고 있다는 점도 같은 계통의 거장 밴드들 가운데서는 매우 드문 일이라 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런 그들이 1989년에 발표한 데뷔 앨범 ‘Blood, Sweat and No Tears’의 마지막 곡으로 수록되고, 뮤직비디오도 제작된 ‘Injustice System’을 이번에 소개해보겠습니다.

묵직한 스트롱 스타일로 정치적 메시지를 던지는 사운드는 바로 뉴욕 하드코어의 정체가 무엇인지 리스너에게 알려주는 것이며, 동시에 이 시점에서 이미 그들의 기본적인 음악 스타일이 거의 완성되어 있었다는 사실에 새삼 놀라게 됩니다.

하드코어 펑크를 깊이 파고드는 과정에서 ‘올드스쿨이란 무엇인가’라는 의문을 품은 분들, 식 오브 잇 올을 들어 봅시다!

Wild in the StreetsCircle Jerks

직설적인 곡명이 너무나도 쿨하고 멋지다! 블랙 플래그의 초대 보컬리스트였던 키스 모리스와, 배드 릴리전과의 오랜 활동으로도 알려진 기타리스트 그렉 헷슨을 중심으로 1979년 캘리포니아 로스앤젤레스에서 결성된 밴드다.

몇 차례의 해체와 재결성을 거치면서도 2020년대인 지금까지 현역으로 활동을 이어오는, 일종의 웨스트코스트 펑크의 살아 있는 교과서 같은 존재로, 더 오프스프링이나 페니와이즈 같은 서해안 계열 펑크 밴드들이 그 영향력을 공개적으로 인정하는 것으로도 유명하다.

짧고 빠르면서도 캐치한 요소를 겸비한 사운드는 멜로딕 하드코어 진영의 기본적인 스타일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여기서 다루는 ‘Wild In The Streets’는 1982년에 발매된 두 번째 앨범의 오프닝 넘버이자 타이틀 곡.

사실 오리지널 곡이 아니라, 뉴욕 출신으로 다국적 뿌리를 지닌 싱어송라이터 갈런드 제프리스가 1973년에 발표한 곡을 커버한 것이다.

멜로코어 진영 등이 즐겨 도전하는 ‘올드 명곡을 펑크풍으로 편곡’하는 패턴을 이 시기부터 이미 해왔다는 점에서도 선구자라 할 수 있을 것이다.

We Gotta KnowCro-Mags

하드코어 펑크, 특히 뉴욕 하드코어의 역사를 이야기할 때 빼놓을 수 없는 존재로 군림해온 크로-매그스.

하드코어의 폭력적이면서도 극악한 측면을 구현하는 한편, 오리지널 멤버 중 한 명인 보컬리스트 존 조지프는 크리슈나 신앙인이자 비건으로도 알려져 있는 밴드이며, 같은 오리지널 멤버인 베이시스트 겸 보컬리스트 할리 플래너건과의 불화와 밴드의 분열 같은 사건도 하드코어 역사에서 매우 유명한 화제죠.

그런 가십은 차치하더라도, 스래시 메탈 등을 융합한 이들의 극악하고도 헤비한 크로스오버 스타일은 많은 밴드에 영향을 주었고, 그들이 존재하지 않았다면 이후의 하드코어 펑크의 모습은 크게 달라졌을 것이라고까지 말합니다.

그런 크로-매그스의 기념비적인 데뷔 앨범 ‘The Age of Quarrel’은 1986년에 발매된 명반 중의 명반으로, 하드코어 팬들 사이에서는 성전과도 같은 인기를 자랑하는 작품입니다.

보컬은 조지프가 맡고 있으며, 메탈릭한 기타가 곳곳에 담겨 있으면서도 이 시점에서는 하드코어라는 출신성이 더 강하게 드러나는 사운드라는 점이 중요하죠.

그런 명반의 오프닝을 장식하는 곡 ‘We Gotta Know’는 말 그대로 밴드의 명함과도 같은 대명곡입니다!

[서양 음악] 하드코어 펑크의 명곡·인기곡 ~입문편(21~30)

Victim In PainAgnostic Front

하드코어 펑크라고 한마디로 말해도, 각 밴드의 출신 국가적 특성이 드러날 뿐만 아니라 지역성까지 여실히 나타난다는 점이 정말 흥미롭죠.

미국의 하드코어 펑크만 봐도, 동해안과 서해안만으로도 완전히 다르며, 양쪽 모두에 각자의 씬이 존재합니다.

1980년에 결성된 어그노스틱 프론트는 북미 하드코어 씬의 주역이자, 이른바 ‘뉴욕 하드코어’의 선구적인 밴드입니다.

1992년에 한 차례 해체되었지만, 1997년에 오리지널 멤버인 기타리스트 비니 스티그마와 보컬 로저 미레트를 중심으로 재결성에 성공했고, 이후로도 왕성하게 작품을 발표하며 씬의 중진으로 계속 활약하고 있습니다.

그런 그들이 1984년에 발표한 기념비적인 데뷔 앨범의 타이틀곡 ‘Victim In Pain’은 바로 뉴욕 하드코어, 줄여서 NYHC를 대표하는 클래식 명곡입니다! 50초가 채 되지 않는 곡이지만 완급을 능숙하게 조절하며 질주하는 원시적인 하드코어이고, 기억하기 쉬운 캐치한 훅을 빈틈없이 담아낸 점에서 뛰어난 곡 구성 능력이 느껴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