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로시마의 민요·동요·아이노래. 노래로 이어지는 고향의 마음
히로시마현에 전해 내려오는 민요 특집입니다.
민요는 그 땅에 사는 사람들의 생활 속에서 태어나 오늘날까지 이어져 온 것입니다.
특히 히로시마현의 민요는 이번 특집을 통해 알게 된 사실이지만, 다른 도도부현에 비해 ‘온도’라는 이름이 붙은 민요가 매우 많고, 본오도리 영상을 비롯해 다양한 자료도 많이 찾아볼 수 있습니다.
아마도 예전부터 히로시마 사람들은 지역의 전승을 노래와 축제를 통해 친숙하게 즐기며 노래하고 춤추어 왔는지도 모릅니다.
이 글에서는 히로시마현에 예로부터 전해 내려오는 민요를 소개합니다.
민요를 들으면서 이어져 온 ‘온도’에 담긴 의미를 풀어보는 것도 흥미롭겠지요.
- [히로시마의 노래] 대대로 이어 불리는 고향의 마음|세대를 넘어 사랑받는 명곡 엄선
- 미야기현에서 노래로 이어지는 아름다운 민요|향토의 마음을 울리는 명작집
- [육아] 부모와 아이가 함께! 손유희 노래·전래 동요 모음
- 후쿠시마의 민요·동요·아이노래. 노래로 이어지는 고향의 마음
- 이와테의 민요·동요·와라베우타. 노래로 이어지는 고향의 마음
- [가을 동요] 가을 노래·창가·어린이 놀잇노래. 가을에 부르고 싶은 명곡집
- 사실은 무서운 동요. 들으면 소름이 돋는 아이들의 노래
- 오사카의 민요·동요·아이노래. 이어 불려오는 고향의 마음
- 오키나와의 민요·동요·아이노래. 대대로 전해지는 고향의 마음
- 구마모토의 민요·동요·아이놀음. 대대로 노래되는 고향의 마음
- 도쿠시마의 민요·동요·아이노래|아와오도리와 지역에 뿌리내린 전통의 노래
- 나가사키의 민요·동요·아이 노래. 세대를 넘어 노래되는 고향의 마음
- [아키타의 민요·동요] 고향 사랑을 느낄 수 있는 향토 명곡 엄선
히로시마의 민요·동요·와라베우타. 노래로 이어지는 고향의 마음(1〜10)
히로시마가 있는 나라에서

세계 평화와 반전을 호소하는 곡입니다.
후쿠시마현 키타카타시 출신의 싱어송라이터 야마모토 사토시 씨의 작품으로, 1983년에 발표되었습니다.
어쩌면 초등학교나 중학교 수업에서 불러 본 분들도 계실지 모르겠습니다.
‘전쟁 피해가 컸던 히로시마현이기 때문에야말로, 지금 세계에서 일어나는 전쟁의 불씨를 끄는 것도 우리다’라는 강한 의지가 느껴지는 가사가 인상적입니다.
지구와 인류의 앞날을 걱정하는, 마음을 찌르는 메시지 송입니다.
해의 아이의 노래

동일본에서는 그다지 친숙하지 않지만, 서일본에서는 ‘이노코의 날’에 멧돼지를 본뜬 떡을 만들어 먹는 풍습이 있습니다.
12개월을 십이지로 나타내면 구력 10월이 ‘돼지(해) 달’이라고 하며, 현대에서는 11월을 가리킵니다.
이와 마찬가지로 한 달의 날짜도 십이지로 나타내어 첫 번째 ‘돼지 날’을 ‘이노코’라고 부르고, 무병장수를 기원하거나 멧돼지처럼 자손이 번성하기를 바라는 행사가 이루어집니다.
본래 고대 중국에서 무병장수를 기원하던 ‘이노코 축’에서 유래했다고 하네요.
놀랍게도 헤이안 시대에 일본에 전해진 매우 오래된 풍습입니다.
또 아이들이 집 앞에서 땅을 두드리며 돌아다니는 놀이를 할 때 부르는 노래로도 전해져 내려왔습니다.
히와규요쿠 다우에

히로시마현의 무형 민속문화재로 지정된 히와초의 ‘히와 소 추모 모내기’.
히와초는 고사기에도 기록될 만큼 전통과 선인들의 지혜를 많이 이어받은 지역이라고 합니다.
이 행사도 전통 행사로 시작된 것이 700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고 합니다.
북과 노랫소리에 맞춰 공동으로 모를 심고, 모내기 기도를 받은 수십 마리의 소가 장엄하게 논을 가는 모습과 사오토메들의 주고받는 노래 등 매우 화려한 행사입니다.
소는 농사의 보배로 소중히 여겨져 왔기 때문에, 소의 영혼에 감사하는 모내기 의식이라고도 불립니다.
히로시마의 민요·동요·아이 노래. 노래로 이어지는 고향의 마음(11~20)
미부의 하나다우에

민요 ‘미부의 하나다우에’는 이 지역에 예로부터 ‘하야시다’라는 행사가 있었고, 마을 전체가 공동으로 행하는 모내기 행사에서 유래했습니다.
모를 심을 때에는 대나무 타악기 사사라를 든 ‘논의 신(田の神) 상바이’의 지휘에 맞춰 큰북과 작은북, 피리와 테히라가네(손징) 등으로 장단을 맞추고, 사오토메들이 모내기 노래를 부르며 모를 심기 시작했다고 합니다.
점차 성대하게 치러지게 되면서, 모내기를 하는 ‘사오토메’라 불리는 젊은 여성들이 이날을 경사로 여기며 화려하게 차려입은 모습에서 ‘하나다우에(꽃 모내기)’라고 불리게 되었다고 합니다.
도사의 좌식 유흥

쟁반 위에 엎어 놓인 많은 사카즈키(작은 술잔).
한 사람씩 사카즈키를 뒤집어 앞면으로 돌리는 ‘도사의 좌식 놀이’.
사카즈키를 뒤집어 앞면으로 돌렸을 때 국화꽃이 들어 있는 사카즈키를 뽑아 버리면, 그때까지 앞면으로 나온 사카즈키의 분량만큼 술을 마셔야 하는 놀이입니다.
놀랍게도 이 ‘도사의 좌식 놀이’의 국화꽃 멜로디는 1983년에 대히트한 아카시야 산마의 ‘아미다 바바아의 노래’예요.
손뼉 장단에 맞춰 즐거운 연회가 되고, 인원이 많아질수록 마셔야 하는 사카즈키의 양도 늘어나 더욱 분위기가 달아오릅니다.
다만 과음시키거나 과음하는 일에는 최선의 주의를!
미하라 얏사 오도리

히로시마현 미하라시에서 매년 8월 둘째 주 일요일을 포함한 금·토·일 3일간 JR 미하라역 앞을 중심으로 열리는 축제, 미하라 얏사 마쓰리.
그곳에서 추는 춤이 얏사오도리입니다.
‘발의 춤’이라고 불리며 움직임이 많은 춤이지만, 정해진 춤의 형식은 없고 자유롭게 춰도 되는 부분도 있다고 합니다.
유머러스하고 밝은 기분이 되는 춤이죠.
춤의 역사는 전국시대 무장인 고바야카와 다카카게가 미하라성을 축성했을 때 시작되었다고 하니 꽤 오래되었네요.
곡도 흥겹고, 듣고만 있어도 신나죠.
아쓰모리 씨

히로시마현 쇼바라시에 전해 내려오는 민요입니다.
헤이안 시대의 무장, 다이라노 아츠모리와 그의 아내 다마오리히메에 대해 노래하고 있으며, 젊은 나이에 이승에서 이별하게 된 두 사람의 슬픔이 가사에 투영되어 있습니다.
역사를 좋아하시는 분들께는 헤이케모노가타리를 풀어보는 하나의 실마리가 될지도 모르겠네요.
동시의 무형 민속문화재인 이 곡은, 아츠모리와 다마오리히메의 마음을 실어 앞으로도 계속 전해져 노래될 것입니다.
참고로 쇼바라시의 가스가라는 곳에는 다마오리히메의 묘가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