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월의 노래] 절분과 겨울에 관한 동요·민요·아이노래·손유희 노래를 소개!
2월 하면 떠오르는 건 바로 ‘귀신은 밖으로, 복은 안으로’의 절분! 보육원이나 유치원 등에서 절분과 관련된 노래를 부를 기회도 많지 않나요? 하지만 사실 절분에 관한 노래 외에도 2월에 딱 맞는 곡이 많이 있답니다! 이 글에서는 2월과 관련된 노래와, 추위가 매서운 계절에 딱 어울리는 동요를 소개할게요.
손유희를 하면서 부를 수 있는 곡도 많아서 아이들도 분명 즐겁게 따라 부를 수 있을 거예요.
기온이 너무 낮아 밖에서 놀기 어려운 날이나 노래 시간에 꼭 활용해 보세요.
- [겨울에 즐길 수 있는 눈 노래] 아이들을 위한 눈 동요·손유희 노래
- 겨울 동요·민요·어린이 노래 모음. 즐거운 겨울 손유희 노래도
- [보육] 2살 아이가 노래하며 즐거워하는! 추천 노래 특집
- [절분의 노래] 귀신은 나가라 복은 들어와라! 절분에 듣고 싶은 콩 뿌리기 노래
- [1월의 노래] 아이들이 친숙하게 느낄 수 있는 동요와 손유희 노래
- 3월의 동요·민요·동요. 즐거운 봄 손유희 노래
- 【동요】봄을 노래하자! 즐거운 동요, 민요, 동요곡집
- 12월의 동요·민요·아기노래. 즐거운 겨울 손유희 노래
- 음식에 관한 동요·민요·자장가
- 동요 ‘오쇼가쓰’ 개사 모음
- [가을 동요] 가을 노래·창가·어린이 놀잇노래. 가을에 부르고 싶은 명곡집
- [0세] 아기에게 추천하는 노래, 스킨십 놀이와 전래동요 특집
- 동물을 노래한 동요·민요·어린이 노래
[2월의 노래] 절분과 겨울에 관한 동요·민요·아이노래·손유희 노래를 소개! (31〜40)
눈 내리는 마을을작곡: 나카타 요시나오

차가운 눈이 내리는 마을의 모습을 그린, 약간의 쓸쓸함이 느껴지는 동요 ‘눈 내리는 마을을’.
1951년에 NHK 라디오에서 방송되던 ‘에리코와 함께’라는 방송극의 삽입가로 처음 공개된 오랜 역사의 곡입니다.
그 후 ‘모두의 노래’에서도 방송되어 인지도를 넓혀 갔습니다.
겨울의 추위는 어쩔 수 없이 다른 계절보다도 더 쓸쓸함과 허무함을 느끼게 해서, 애잔한 기분이 되곤 하죠.
그런 마음이 따뜻한 봄을 향해 가면서, 겨울의 찬 바람과 함께 사라지길 바라는 소망을 노래한, 조금은 어른스러운 동요입니다.
콩콩쿠샹의 노래작곡: 유야마 아키라
추운 겨울에는 조심한다고 해도 감기에 걸리기 쉬워요.
그런 감기 예방법이나 가족과 친구들에게 옮기지 않도록 하려면 ‘마스크’가 꼭 필요하죠! 하지만 마스크는 좀 답답하고, 아이들은 특히 싫어하는 경우가 많을 거예요.
그런 아이들의 마음을 긍정적으로 바꿔주는 것이 바로 이 ‘콘콘크샨의 노래’입니다.
여러 동물들이 자기 얼굴 크기와 모양에 맞는 마스크를 한 뒤 재채기와 기침을 하는 모습을 그리고 있어요.
듣다 보면 노래에 맞춰 자기에게 어울리는 귀여운 마스크를 하고 싶어지지 않나요?
가랑가랑 눈이 내려작곡: 히라오 기시오

새하얀 가루눈이 하늘에서 내리는 풍경을 떠올리게 하는 ‘고나유키 콘코’.
이이지마 도시코 씨가 작사를, 히라오 키시오 씨가 작곡을 맡았습니다.
‘콘코’라는 구절이 문장 끝에 사용되어 있어 가사를 외우기 쉬운 점도 포인트예요.
곡 전체도 짧아서 보육 현장에서도 추천합니다.
손이나 앞치마 같은 단어에 맞춰 제스처 등의 안무를 생각해 보는 것도 즐거울 것 같아요.
겨울의 본격적인 시기라고 할 수 있는 2월의 추운 계절에 딱 맞는 동요입니다.
느긋한 곡조에 맞춰 창밖 풍경을 바라보며 불러 보세요.
스키 노래작곡: 하시모토 구니히코
겨울의 추위가 특히 매서운 2월, 눈이 쉽게 쌓이기 때문에 스키를 즐기는 사람도 많은 계절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런 스키를 마음껏 즐기는 모습과, 비탈을 미끄러져 내려가며 보이는 장대한 산의 풍경이 표현된 듯한 곡입니다.
창가로서 피아노에 맞춰 부르는 경우도 많고, 그 경쾌하게 튀는 피아노의 음색에서도 스키의 즐거움이 강하게 전해져 옵니다.
가사에서 묘사되는 하얗게 빛나는 비탈과 바람을 가르며 미끄러져 내려가는 모습에서, 상쾌하게 스쳐 지나가는 겨울의 공기가 느껴지네요.
코끼리의 모자작곡: 나카무라 히로아키

NHK ‘함께해요, 엄마와’에서도 불렸던 동요로, 코끼리의 커다란 모자 속에 여러 동물들이 들어가는 아주 사랑스러운 노래입니다.
보육원 등에서는 모자와 동물들을 만들어 노래를 부르며 아이들과 함께 놀이를 하는 것 같네요.
겨울에는 털실 모자로 하면 더 따뜻해 보입니다.
[2월의 노래] 절분과 겨울에 얽힌 동요·민요·동요 놀이·손유희 노래를 소개! (41~50)
솔방울작곡: 고바야시 쓰야에

이 노래는 히로타 타카오 씨가 작사하고, 고바야시 쓰야에 씨가 작곡한 동요입니다.
짧은 가사지만, 된소리가 리듬의 포인트가 되거나, 끝맺는 말이 같아 운을 맞춘 느낌도 있어 즐거운 곡입니다.
보육원이나 유치원 등에서 손유희를 곁들여 부르는 노래로도 인기가 있습니다.
그러고 보니 중화요리나 파스타 등에 쓰이는 잣은 식용 솔방울에서 얻을 수 있으니, 잣을 함께 먹으면서 노래를 부르면 인상 깊은 경험이 될 것 같습니다.
‘도토리 데굴데굴(どんぐりころころ)’과 함께 세트로 불러봐도 재미있겠네요.
눈 축제작사·작곡: 미나미 란보

1984년에 NHK ‘민나노 우타’에서 방송된 곡이 바로 이것입니다.
같은 ‘민나노 우타’에서 방송되었던 ‘야마구치 씨 댁의 츠토무 군’을 만든 미나미 란보 씨가 작곡한 곡입니다.
일본의 외딴 지역에서 보내는 혹독한 겨울에, 봄을 고대하는 마음이 그려져 있습니다.
일본 민요를 떠올리게 하는 곡이면서도, 브라질의 민족음악 바이앙(바이옹)의 리듬을 도입한 점이 주목할 만합니다.
남아메리카와 일본에는 같은 뿌리를 가진 민족이 산다고도 하니, 그래서 더욱 낯익고 그리운 느낌이 들지도 모르겠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