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G Music일본의 노래
멋진 동요·민요·창가
search

[2월의 노래] 절분과 겨울에 관한 동요·민요·아이노래·손유희 노래를 소개!

2월 하면 떠오르는 건 바로 ‘귀신은 밖으로, 복은 안으로’의 절분! 보육원이나 유치원 등에서 절분과 관련된 노래를 부를 기회도 많지 않나요? 하지만 사실 절분에 관한 노래 외에도 2월에 딱 맞는 곡이 많이 있답니다! 이 글에서는 2월과 관련된 노래와, 추위가 매서운 계절에 딱 어울리는 동요를 소개할게요.

손유희를 하면서 부를 수 있는 곡도 많아서 아이들도 분명 즐겁게 따라 부를 수 있을 거예요.

기온이 너무 낮아 밖에서 놀기 어려운 날이나 노래 시간에 꼭 활용해 보세요.

[2월의 노래] 절분과 겨울에 얽힌 동요·민요·동요 놀이·손유희 노래를 소개! (41~50)

눈싸움문부성 창가

옛날부터 전해 내려오는 눈놀이 중 하나인 인기 있는 눈싸움을 주제로 한 동요입니다.

맑게 갠 하늘 아래에서 아이들이 팀을 나눠 눈을 주고받으며 던지는 모습이 그려져 있어요.

같은 멜로디를 반복하는 부분이 많아 노래가 서툰 분들도 쉽게 외울 수 있답니다.

어느새 진지하게 눈싸움에 몰입하게 되는 ‘그럴 법한’ 상황을 담은 가사에도 공감하실 거예요.

2월의 눈놀이나 스포츠, 레크리에이션 시간에 활용해 보는 것도 추천드립니다.

어딘가 향수를 불러일으키는 멜로디 라인에 실어, 함께 불러 보세요.

겨울의 별자리 (원곡: 몰리 달링)작곡: 윌리엄 헤이스

이 곡은 1947년에 발행된 국정 교과서 ‘중등음악’에 실린 곡 중 하나로 발표되었습니다.

가사는 호리우치 게이조 씨가 썼지만, 멜로디는 1871년에 미국의 윌리엄 헤이스가 만든 대중가요 ‘사랑하는 몰리’를 사용했으며, 이른바 개사곡과 같은 형태입니다.

하지만 ‘사랑하는 몰리’만 들어보면 이 ‘겨울의 별자리’처럼 장엄한 느낌은 없고, 밝은 대중가요라는 인상이 강한 점이 흥미롭습니다.

기쁜 히나마쓰리작곡: 가와무라 나오노리(가와무라 고요)

여자아이라면 한 번쯤은 불러봤을, 일본에서 오랫동안 전해 내려오는 유명한 명곡 ‘우레시이 히나마츠리’.

원래는 3월의 노래이지만, 2월이 끝나면 바로 히나마츠리입니다.

당일에 부를 수 있도록 2월부터 연습해보는 건 어떨까요?

목욕탕의 노래

2월의 손유희 '목욕탕 노래' 가사 포함
목욕탕의 노래

2월이라고 하면 겨울 추위가 특히 매서운 계절이죠.

그럴 때는 목욕을 해서 몸을 충분히 데우는 것을 추천해요.

몸도 마음도 따뜻해지는 목욕을 표현한, 즐거운 분위기의 손유희 노래입니다.

이 곡에서는 집 목욕탕이 아니라 다 함께 목욕탕으로 향하는 모습이 그려져 있으며, 활기찬 콜에서도 목욕을 즐기는 마음이 전해집니다.

그리고 몸을 씻는 모습, 탕에 몸을 담그는 모습으로 전개되어 갑니다.

마지막에는 창밖으로 보이는 풍경으로 끝나, 목욕으로 릴랙스하는 모습이 떠오르는, 행복이 가득 담긴 곡입니다.

설산찬가 (원곡: 사랑하는 클레멘타인)미국 민요

설산찬가 / 니시로쿠고 소년합창단 [아사히 소노라마판]
설산찬가(원곡: 사랑스런 클레멘타인) 미국 민요

전후 일본 가요계를 이끌었던 다크덕스가 1959년에 발표한 ‘설산찬가’.

원곡은 ‘My Darling Clementine(사랑하는 클레멘타인)’입니다.

아메리카 민요의 멜로디를 바탕으로 제작되었으며, 설산을 주제로 한 일본어 가사가 붙었습니다.

웅장한 드럼 롤에 맞춰 힘차게 부르는 보컬이 인상적이죠.

겨울의 추위를 느끼는 계절이기에, 더욱 열정적인 멜로디를 따라 노래하며 몸을 데워봅시다.

2월의 소풍이나 나들이를 분위기 있게 만들어 줄 장면에도 딱 어울리는 곡입니다.

엉덩이로 밀치기 놀이작곡: 고바야시 아세이

추운 날에는 누구와 바짝 붙어 조금이라도 따뜻함을 느끼고 싶어지기 마련이죠! 그럴 때 딱 맞는 놀이 노래가 ‘오시쿠라 만주(おしくらまんじゅう)’랍니다.

몇 사람이 몸을 바짝 붙이고 옆 사람과 팔을 걸어, 등이나 엉덩이를 이용해 서로 밀어가며 노래를 부릅니다.

서로 밀다 보면 아프기도 하니까 울지 말자~ 하는 마음이 담겨 있어요.

노래를 부르면서 서로 몸을 움직이고 밀다 보면 점점 따뜻해진답니다! 따뜻함을 잘 느끼는 포인트는 네 명 이상이서 하는 것이라고 해요.

인원이 많을수록 힘도 더 나고, 더 즐겁게 따뜻함도 느낄 수 있어요!

하얀 길작곡: 비발디

하얀 길 (NHK 민나노우타) 자작 반주 커버 / 노래: takimari
하얀 길 작곡: 비발디

혼자서 눈이 소복이 쌓인 하얀 길을 걸으며 엄마와 보냈던 지난날의 추억을 떠올리는 모습을 그린 ‘하얀 길’.

사실 이 곡은 그 유명한 작곡가 비발디가 만든 ‘바이올린 협주곡 f단조 「겨울」 RV.

297’ 2악장에 가사를 붙인 작품이에요! 비발디의 원곡에도 소네트가 붙어 있었지만, ‘하얀 길’과는 또 다른 내용이었죠.

아련한 추억을 노래한 가사는 가슴을 뭉클하게 합니다.

아이가 이 노래를 부르면, 엄마나 아빠도 괜스레 울컥해질지도 몰라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