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G Music일본의 노래
멋진 동요·민요·창가
search

[추억의 동요·민요·아이노래] 이어 불리는 일본의 마음

그리운 동요와 민요, 아이놀이 노래의 다정한 멜로디를 들으면, 마치 시공을 초월한 듯 어릴 적 추억이 생생히 되살아납니다.

여러분에게도 유년 시절부터 마음에 남아 계속 이어져 온 ‘그리운 노래’가 있지 않나요? 본 기사에서는 일본을 상징하는 동요와 창가, 그리고 각지에서 소중히 전해 내려온 민요, 아이놀이 노래, 더불어 유치원 발표회나 레크리에이션 등 다양한 장면에서 사랑받는 동요들을 소개합니다.

일본의 사계와 문화, 그리고 사람들의 일상을 다정하게 비추는 동요의 세계로, 마음 따뜻해지는 소리의 여행을 떠나보지 않겠습니까?

[그리운 동요·민요·아이노래] 노래로 이어지는 일본의 마음(41~50)

귀여운 생선가게

이제는 슈퍼에 가면 뭐든지 살 수 있는 시대이지만, 이 노래는 아이들이 실제 생활을 흉내 내며 놀던 일을 노래로 만든 것이어서, 예전에는 두부도 생선도 돌아다니며 팔러 오곤 했지 하고 떠올리게 됩니다.

쓰레기 감축 문제도 그 시대에는 당연히 없었죠.

생선을 싸는 건 신문지였고, 두부는 다들 냄비를 들고 사러 갔거든요.

도토리 데굴데굴

어렸을 때는 ‘돈부리코’가 아니라 ‘도응구리코’라고 부르곤 했어요.

대부분을 귀로만 익힌 동요라서, 노래의 의미도 잘 모르지만, 이 노래는 도토리에게도 감정이 있고 미꾸라지나 다람쥐가 친절을 베풀어 주는 내용이라고 느꼈습니다.

어린 시절의 감정을 키우는 데에도 노래와 그림책은 참 중요하네요.

반딧불아 이리 오너라

동요 '반딧불아 와라' 캐논(윤창)
반딧불아 이리 오너라

일본 자연의 아름다움을 아이들에게 전해주는 전통적인 동요입니다.

여름 밤하늘을 날아다니는 반딧불이의 빛을 부드러운 멜로디와 추임새로 표현하고 있어요.

‘홋홋’이라는 추임새가 인상적이며, 돌림노래로도 즐길 수 있는 곡입니다.

본오도리나 저녁 무렵의 시원한 시간에 모두 함께 부르기에 딱 좋아요.

아이부터 어른까지 세대를 넘어 사랑받는 한 곡입니다.

계절의 변화를 느끼며 일본의 마음을 접하는 시간을 가져보지 않으시겠어요? 가족이나 친구와 함께 부르면 여름 추억 만들기에도 좋습니다.

초록 바람결

일본의 동요 ‘초록 산들바람’
초록 바람결

그리운 노래네요.

봄이 되면 풍요로운 자연의 초록을 온몸으로 느낄 수 있었던, 지구 온난화나 저출산·고령화와는 아직 거리가 멀었던 시절이 떠오릅니다.

고이케 유리코 씨처럼 그린을 되찾겠다는 자세는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고도성장기에 태어난 저는 봄기운이 돌면 으레 흥얼거리곤 했습니다.

스키

이 노래의 존재가 지금도 거의 알려져 있는지 모르겠지만, 예전에는 교과서에도 실려 있었습니다.

스노보드 같은 것은 없던 시대였기에 겨울 스포츠는 스케이트나 스키뿐이었습니다.

눈부신 설원 위를 상쾌하게 미끄러지는 스키의 즐거움을 노래한 곡이지만, 자주 개사곡으로도 쓰였습니다.

열심히 일하시는 아버지께는 실례이지만, 이른 아침에 일하러 나가는 아버지를 아이들이 개사한 것이라고 생각하는데, 도시락통을 들고 너덜너덜한 신을 신은 아버지의 노래의 결말은 ‘머리는 100와트’였습니다.

일곱 살짜리 아이

지금은 유해동물이라고 불리는 까마귀지만, 동요가 되면 귀엽고 부모로서 훌륭하게 자식을 돌본다는 노래죠.

까마귀뿐만 아니라 동물들은 정말로 아이들을 위해 목숨을 걸죠.

왜 우는 거야? 라는 물음에 예전에 시무라 켄 씨가 ‘까마귀 마음대로지’라고 노래하던 시대도 있었지만, 저는 개그는 개그로 받아들여 주었으면 했어요.

그러나 그게 쉽지 않아 정서를 해친다며 문제가 된 적도 있었습니다.

이츠키의 자장가

이츠키 자장가 야마구치 요시코(리향란)
이츠키의 자장가

구마모토현의 유명한 민요 자장가로 알려져 있지만, 실제로는 아이를 돌보는 소녀의 ‘수호 소요(짧은 노래)’라는 표현이 더 정확합니다.

방언으로 불러져서 지방 출신이 아닌 분들은 의미를 잘 모르실 수도 있는데, 가사의 첫머리 ‘오도마 본기리’로 시작하는 부분은, 오봉이 되면 집에 돌아갈 수 있다고 믿는, 대략 열 살 무렵에 머슴살이(견습)로 내보내진 아이의 애잔한 마음을 노래하고 있습니다.

이 노래의 의미와는 달리, ‘본(盆)’이라는 말의 어감이 광고 문구와 잘 맞아 카레 광고에 쓰인 적도 있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