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G Music일본의 노래
멋진 동요·민요·창가
search

사실은 무서운 동요. 들으면 소름이 돋는 아이들의 노래

동요라고 하면 보통 보육원이나 유치원에서 아이들이 부르는 귀여운 노래를 떠올리죠.

하지만 가사 전체를 들어보면 등골이 오싹해질 만큼 무서운 노래도 있다는 것을 알고 계셨나요?이 글에서는 사실 가사를 깊이 들여다보면 무서운 동요들을 모아보았습니다.

단지 무서울 뿐만 아니라 흥미로운 곡의 배경도 알 수 있으니, “그러고 보니 가사 의미를 모르겠다”, “어릴 때부터 궁금했다” 하는 동요가 있는 분들은 꼭 한 번 체크해 보세요!

사실은 무서운 동요. 들으면 소름 돋는 아이들의 노래(1~10)

토끼와 거북이작사: 이시하라 가즈사부로 / 작곡: 노조 벤지로

♪토끼와 거북 – Usagi To Kame|♪여보세요 거북아 거북님아【일본의 노래·창가】
토끼와 거북이 작사: 이시하라 와사부로 / 작곡: 노쇼 벤지로

처음부터 끝까지 탄탄한 이야기로 이루어진 ‘토끼와 거북이’.

가사는 이시하라 와사부로, 작곡은 노쇼 벤지로가 맡은 이 노래는 모두가 아는 교훈 이야기죠.

하지만 가사를 잘 들어보면, 토끼가 갑자기 거북이를 깔보기도 하고, 이긴 거북이가 마지막에 슬쩍 빈정대는 말로 마무리하는 등 등장인물들의 조금은 어두운 일면도 보입니다.

단순한 교훈뿐 아니라, 말 뒤에 숨은 진짜 의미를 상상할 수 있는 점도 이 곡의 재미있는 포인트예요.

“왜 이런 말을 했을까?” 하고 이야기의 배경을 함께 이야기하며 상상을 넓혀 가면, 또 다른 방식으로 즐길 수 있을지도 모르겠네요.

산사(山寺)의 스님작사: 구보타 쇼지 / 작곡: 핫토리 료이치

공 대신 고양이를 자루에 넣어 버린다는, 절로 귀를 의심하게 되는 가사에 깜짝 놀란 분도 많을 것입니다.

경쾌하고 코믹한 멜로디와 그 이면에 숨어 있는 다소 섬뜩한 내용의 간극이 이 작품의 묘한 매력을 만들어 냅니다.

이 곡은 작사가 구보타 쇼지 씨와 작곡가 핫토리 료이치 씨에 의해 쇼와 12년에 성인용 코믹 송으로 만들어졌습니다.

원래는 에도 시대의 속요로, 당시의 세태를 비추는 풍자와 유머가 담겨 있었다고 합니다.

단지 무섭기만 한 것이 아니라, 노래가 탄생한 배경을 알면 옛사람들의 장난기와 놀이심을 느낄 수도 있을 것입니다.

왜 이런 가사인지 친구와 상상하며 들어 보는 것도 재미있어요.

아차라카 호이동요

♪오차라카 호이〈동작 포함〉- ♪오차라카 오차라카 오차라카 호이~【일본의 노래·창가】
어차라카 호이 동요

단순한 가사와 경쾌한 리듬이 특징인 일본의 전통적인 손유희 노래입니다.

마주 보고 손을 맞잡고 노래를 부르며 가위바위보를 즐겨 본 분도 많지 않을까요? 사실 이 ‘오차라카 호이’는 한 설에 따르면, 집이 가난해 돈을 벌기 위해 어쩔 수 없이 몸을 팔아야 했던 유녀들의 모습을 그린 것이라고도 전해집니다.

천진난만한 아이들의 노래라고 생각했지만, 그 속에는 슬픈 이야기가…… 그러나 리듬감과 협동심을 기르는 데 안성맞춤이므로, 아이들과 손유희를 할 때에는 깊은 의미는 굳이 언급하지 말고 즐겨 봅시다.

사실은 무서운 동요. 들으면 오싹해지는 어린이 노래(11~20)

당신들은 어디 사세요?동요

당신들은 어디 사람? [놀이노래] 가사 있음
당신네들은 어디서, 자장가

익숙한 동요이면서도 깊은 역사적 배경을 지닌 이 악곡.

단순하고 사랑스러운 멜로디 뒤에는 놀라운 이야기가 숨겨져 있습니다.

에도 시대 말기에서 메이지 시대 초기에 태어난 것으로 여겨지는 이 곡은, 보신 전쟁이나 기근과 같은 사회적 배경을 반영하고 있다고도 합니다.

아이들의 놀이 노래로 전승되어 왔지만, 사실은 어른들의 세계를 축소해 놓은 것이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공놀이에 맞춰 부르는 것도 추천하지만, 일본의 역사나 문화에 관심이 있는 아이에게는 그 가사에 담긴 의미를 전해 주는 것도 좋지 않을까요?

달님 몇 살이에요?동요

달에게 건네는 한가로운 물음으로 시작하는, 겉보기에는 사랑스러운 동요.

하지만 이야기를 끝까지 들으면 그 잔혹한 결말에 저도 모르게 소름이 돋습니다.

심부름을 나간 여인의 실수담인가 싶었더니, 결국 기름을 핥은 개가 북의 가죽으로 만들어지고 마는, 참으로 무서운 전개.

이 노래의 천진난만한 분위기와 가사 사이의 간극이 오싹함을 자아내는 것일지도 모릅니다.

배경을 알고 난 지금, 다시 들어보세요.

‘왜?’ ‘어쩌다 그렇게……’ 하고 여러 가지 상상이 떠오를 겁니다.

선로는 어디까지나 이어져요미국 민요

선로는 어디까지나 이어진다〈동작 포함〉/ I’ve been Working on the Railroad【일본의 노래·창가】
철길은 끝없이 이어지네 - 미국 민요

19세기 후반 미국에서 태어난 민요 ‘선로는 어디까지나 이어진다’.

일본에서는 NHK ‘미나노 우타’에서 흘러나오던 것을 기억하는 분도 있을 것입니다.

산과 들을 넘어 어디까지나 여행하는, 희망으로 가득 찬 노래라는 인상이 강하지요.

그러나 원곡은 가혹한 철도 공사에 종사하던 이들의 노동요였다고 합니다.

일만 하다 지쳐 쓰러지는 모습이나 연인의 부정을 암시하는 듯한 충격적인 가사도 있었다고 해요.

이 사실을 알고 나면, 경쾌한 멜로디가 도리어 섬뜩한 울림을 띠며 들리는 것이 신기합니다.

모모타로작사: 미상/작곡: 오카노 테이이치

♪모모타로 – Momotaro – 복숭아 소년|♪모모타로 씨 모모타로 씨【일본의 노래·창가】
모모타로 작사: 불명 / 작곡: 오카노 데이이치

일본 전역에서 노래되어 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 친숙한 동요 ‘모모타로’.

누구나 모모타로의 활약에 가슴 설렌 기억이 있지 않을까요? 그런데 가사를 처음부터 끝까지 들어보면, 그 인상이 완전히 달라져 버려 놀랍습니다.

‘남김없이 오니를 무찌르고’ ‘빼앗은 전리품을 에냐라야’라고 노래하는 내용은 정의의 히어로의 활약으로도 들리지만, 다소 과격한 침략자처럼도 들릴 수 있습니다.

이런 아찔한 전개 뒤에는 사실 깊은 역사적 배경이 있다고 합니다.

이야기의 또 다른 측면을 탐구하는 계기로, 부모와 자녀가 함께 이야기해 보는 것도 좋을지 모르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