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G MusicAnime Songs
멋진 애니송
search

[스튜디오 지브리의 노래] 지브리 음악의 주제가·삽입곡·BGM 목록

어른부터 아이까지 즐길 수 있는 지브리 영화는, 그 음악의 훌륭함으로도 유명하죠.

어느 작품이든 이야기와 딱 맞고, 한 번 듣으면 잊을 수 없을 만큼 인상적인 곡들이 사용됩니다.

그런 스튜디오 지브리 작품의 인기 주제가·삽입곡은 물론, 유명한 장면이나 인상적인 정경을 떠올리게 하는 이미지 송까지 모았습니다.

“지브리의 명곡을 듣고 싶다” “그 장면에서 흘렀던 곡을 다시 듣고 싶다”는 당신이라면 꼭 체크해 보세요!

벼랑 위의 포뇨(1~10)

피날레히사이시 조

조 히사이시 久石 譲 – 투란도트 2막 뮤지컬 드라마 피날레
피날레 히사이시 조

“피날레”라는 제목 그대로, 엔드 크레딧으로 자연스럽게 이어지는 형태로 주제가의 멜로디가 사용되고 있습니다.

영화를 보지 않은 분이라도, 후지오카 후지마키와 오하시 노조미가 부른 주제가를 아는 사람은 많지 않을까요? 역대 지브리 작품들을 봐도, 대부분 밝게 끝나는 경우가 많네요.

굳이 이 영화의 결말은 밝히지 않겠지만, 이 곡에서는 밝은 분위기가 전해지네요!

어머니와 바다의 찬가히사이시 조

신고전 오중주 – 어머니와 바다의 찬가
어머니와 바다의 찬가 히사이시 조

이 곡도 ‘어머니의 사랑’과 마찬가지로 모성애를 느끼게 하는 한 곡으로 완성되어 있습니다.

제목에 있는 ‘찬가’는 사전을 보면 ‘칭송하는 마음을 표현한 노래’라고 되어 있습니다.

어머니도 바다도 이 영화에 있어 매우 중요한 존재입니다.

일반적으로 생각해 봐도, 비록 낳고 기르는 대상은 다르지만 둘 다 위대한 존재입니다.

어머니와 바다의 중요성, 위대함을 메시지로 이 곡에 담았을지도 모릅니다.

모노노케 히메 (11~20)

웅대한 자연을 느낄 수 있는 명곡 다수!

웅대한 스케일로 그려지는 지브리 작품 ‘원령공주’의 음악은 정말 “모두 명곡이 아닌가?”라고 느껴질 정도로 훌륭한 곡들뿐입니다! 모두가 아는 주제가부터, 잊을 수 없는 삽입곡까지 추천을 소개합니다! 관련 기사:모노노케 히메의 노래. 주제가·삽입가

모노노케 히메(1〜10)

아시타카 전기히사이시 조

The Legend of Ashitaka (Symphonic Suite “Princess Mononoke” / Live)
아시타카 훈기 히사이시 조

이야기의 무대가 되는 풍부한 자연의 스케일을 느끼게 해 주는, 이야기의 요점마다 흐르는 너무나도 아름다운 곡입니다.

자연과 인간의 공존도 하나의 주제로 그려지는 ‘모노노케 히메’.

그 위대함을 표현한 음악에, 듣고 있기만 해도 압도되어 버립니다.

아시타카와 산히사이시 조

[피아노] 아시타카와 산 ~모노노케 히메~ (히사이시 조)
아시타카와 산 히사이시 조

이야기의 마지막 장면, 아름다워진 숲과 희미해져 가는 아시타카의 상처.

‘모노노케 히메’에서 아시타카와 산, 두 사람이 각각 다른 길을 걷기 시작하는 감동적인 장면의 곡입니다.

함께 지낼 수는 없지만, 함께 살아가기를 선택한 두 사람의 끈끈한 유대를 더욱 돋보이게 합니다.

원령공주메라 요시카즈

Alberto De Meis Japan Tour in Mononoke Hime con Yoshikazu Mera
모노노케 히메 메라 요시카즈

‘모노노케 히메’의 주제가입니다.

이 곡을 부른 메라 요시카즈는 남성이면서도 여성처럼 높은 음역으로 노래하는 카운터테너라는 가수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이 작품을 통해 널리 알리게 되었습니다.

고음부의 시원한 뻗음이 아름다운, 매우 인상적인 악곡입니다.

에보시 고젠히사이시 조

“모노노케 히메”의 “에보시 고젠”, 연주: 오차
에보시 고젠 히사이시 조

‘모노노케 히메’에서 흐르는, 다소 울적함 속에서도 장대함과 에보시의 강한 결의를 느끼게 하는 힘있는 곡입니다.

섹션마다 다양한 표정을 보여주는 곡으로, 그녀의 지도자로서의 입장과 한 인간으로서의 마음이 교차하는 듯하네요.

다다라를 밟는 여자들 -에보시 다다라 노래-히사이시 조

타타라 작업장에서 일하는 여성들이 부르는 한 곡.

여성들의 일이 얼마나 힘든지 전해지는 가사네요.

이 노래로 리듬을 맞추며 작업함으로써 호흡이 척척 맞는 움직임이 가능해진다고 하는, 이 일만의 작업가로 등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