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깜짝!] 해외에서 유래한 동요. 우리에게 익숙한 그 동요들도 사실은
어린 시절, 유치원이나 보육원, 학교 등에서 자주 불렀던 동요들.
어른이 되어서도 기억하고 있는 그 동요들 중에는, 사실 해외에서 탄생한 곡도 꽤 많이 존재합니다.
그래서 이 기사에서는 그런 해외 발상(원산)의 동요를 소개합니다.
듣고 보니 그럴 법한 곡부터 “어? 이 곡도?” 하고 놀랄 만한 곡까지, 다양한 동요를 골라 보았습니다.
어린 시절에 불렀던 곡, 자녀가 어린이집 등에서 배우고 있는 곡 등, 세대를 불문하고 익숙한 것들뿐입니다.
우리가 자주 불러 왔던 버전과 원곡의 차이에도 주목하면서, 꼭 들어 보세요!
- 세계의 민요 | 해외에서 계속 불리는 고향의 노래
- 세계의 동요. 해외에서 계속 불려 오는 어린이 노래
- 사실은 무서운 동요. 들으면 소름이 돋는 아이들의 노래
- 동요 인기곡 랭킹【2025】
- 마더구스의 대표곡. 아이들에게도 인기 있는 마더구스 노래
- [추억의 동요·민요·아이노래] 이어 불리는 일본의 마음
- [모두의 노래] 눈물샘을 자극하는 명곡. 다시 한 번 듣고 싶은 감동 송
- 노래방에서 부르고 싶은 동요. 모두가 함께 즐길 수 있는 명곡, 인기곡
- 아기에게 불러주고 싶은 동요! 0살부터 즐길 수 있는 추천 노래
- [함께 노래하자!] 모두가 아는 동요 모음
- 【모두의 노래】세대를 넘어 사랑받는 추억의 명곡·인기곡
- ‘엄마와 함께’의 인기 곡으로 신나게! 모두 함께 부르고 싶은 명곡 모음집
- 겨울 동요·민요·어린이 노래 모음. 즐거운 겨울 손유희 노래도
[깜짝!] 해외에서 유래한 동요. 익숙한 그 동요도 사실은 (11~20)
오 브레네리스위스 민요


산의 부름을 본뜬 요들풍 코러스와 경쾌한 멜로디로 사랑받는 스위스 민요의 곡은, 사실 해외 발상 동요의 대표적 사례라고 할 수 있습니다.
1910년에 스위스의 군인 시인 치베리 씨가 작사한 원곡이 이후 미국을 거쳐 일본에 전해졌다는 흥미로운 역사가 있습니다.
1949년에 마쓰다 미노루 씨가 일본어 번역을 맡아, 스위스의 아름다운 호숫가에 사는 소녀와의 대화를 그린 친근한 내용으로 완성되었습니다.
전후 복구기의 레크리에이션 활동 보급과 함께 널리 퍼진 이 작품은 캠프송과 학교 행사에서의 정석으로 세대를 넘어 불려 왔으며, NHK의 ‘미나노우타(모두의 노래)’에서도 소개되었습니다.
큰 시계미국 발상


2002년에 히라이 켄이 커버해 화제를 모은 ‘오오키나 후루도케이(큰 시계)’.
미국의 작곡가 헨리 클레이 워크가 만든 ‘Grandfather’s Clock’를 바탕으로 하였으며, 미국에서도 큰 인기를 얻었습니다.
일본에서는 처음 1940년에 ‘오지이산노 토케이(할아버지의 시계)’라는 제목으로 소개되었고, 이후 1962년에 현재의 제목으로 NHK ‘민나노 우타’에서 방송된 것을 계기로 널리 알려졌습니다.
가사는 할아버지와 시계의 관계를 그리고 있지만, 미국에서 만들어진 원곡이 그 관계를 더 자세히 묘사하고 있습니다.
우러러보면 높고 또 귀하도다미국 발상


졸업식의 대표적인 노래로 세대를 넘어 자주 불리는 ‘아오게바 토오토시(仰げば尊し)’.
신세를 졌던 선생님과 같은 시간을 함께 보낸 친구들에게 대한 감사의 마음, 그리고 그것들을 가슴에 안고 내일을 향해 날아오르려는 모습이 이 곡에서 노래되고 있습니다.
말의 뉘앙스나 가사 내용 자체가 매우 일본적이지만, 사실은 미국에서 유래한 곡이랍니다! 원곡으로 알려진 노래는 ‘Song for the Close of School’.
일본어 가사와 마찬가지로 졸업의 날을 떠올리게 하는 가사가 담겨 있지만, 멜로디는 찬송가에 가까운 보다 장엄한 분위기에 감싸여 있습니다.
고요한 호숫가미국 발상


호숫가 숲의 고요하고 아름다운 풍경을 그린 동요로, 캠프를 떠올리게 하는 곡의 정석으로 사랑받고 있습니다.
미국 동요 ‘Sweetly Sings the Donkey’가 원곡으로 알려져 있으며, 그 곡에서는 울음소리를 내는 당나귀의 모습이 그려집니다.
동물의 울음소리를 흉내 내면서 캐논(돌림노래)으로 부르는 방식이 일본에서는 정형화되어 있는데, 원곡에서도 당나귀의 울음소리가 표현되어 있어 원곡의 영향이 느껴지지요.
자연을 느낄 수 있는 경쾌한 멜로디 덕분에 열차 출발음으로 쓰이거나 가사를 편곡해 광고 음악으로 활용되는 등 폭넓게 사랑받는 작품입니다.
고향의 하늘스코틀랜드 민요


계절이 바뀌어 가는 풍경을 바라보며, 고향에서 사는 사람들을 떠올리는 모습을 그린, 온화한 분위기의 창가입니다.
스코틀랜드에 전해 내려오는 민요의 멜로디를 원곡으로 삼아 오와다 다테키 씨가 가사를 붙여 완성했습니다.
‘Comin’ Thro’ the Rye’가 원곡으로 언급되기도 하지만, 이 가사는 멜로디와 동시에 만들어진 것이 아니며, 오와다 다테키 씨도 이 가사를 모르는 상태에서 ‘고향의 하늘’을 썼다고 전해집니다.
일본에서는 이 ‘고향의 하늘’이 창가로 정착해 정석이 되었지만, ‘Comin’ Thro’ the Rye’의 가사를 더욱 발전시킨 더 드리프터스의 ‘누군가와 누군가’ 등 다양한 버전이 존재하므로, 비교해 보는 것도 재미있을지 모릅니다.
흙집잉글랜드 민요


‘호타루의 묘’나 ‘맛상’, ‘스물네 개의 눈동자’ 등 일본의 다양한 영화와 드라마, 광고에 기용되어 온 ‘하뉴노야도(埴生の宿)’.
잉글랜드 민요 ‘Home! Sweet Home!’을 바탕으로 한 곡으로, 해외에서도 오페라의 극중가로 사용되거나 재즈 편곡으로 사랑받고 있습니다.
가사의 내용은 원곡과 일본어 모두 거의 차이가 없습니다.
내 집은 대저택도 아니고 소박하지만, 누가 뭐라 하든 최고의 멋진 집이라며 자신의 집을 자랑스럽게 여기는 마음이 담겨 있습니다.
어느 나라에서든 겉모습이나 크기는 상관없이, 각자의 집에는 각자의 행복이 있다는 걸 느끼게 해 주지요.
[깜짝!] 해외 발상 동요. 익숙한 그 동요도 사실은 (21~30)
봄날의 꽃과 빛남아일랜드 가곡

아일랜드의 시인 토머스 무어가 1808년에 쓴 시 ‘Believe Me, If All Those Endearing Young Charms’를 바탕으로 한, 영원한 사랑을 주제로 한 아름다운 곡입니다.
사랑하는 이의 젊음이나 아름다움이 사라져도 변치 않는 사랑을 맹세하는 내용으로, 무어가 아내가 천연두를 앓았을 때의 심경이 반영되었다고 하며, 해바라기가 태양을 따라가듯 변함없는 애정을 노래하고 있습니다.
음악평론가 호리우치 케이조에 의해 일본어 번역 가사가 만들어져 ‘아일랜드 가곡집’ 제2권에 수록되었습니다.
하버드대학교의 교가 ‘Fair Harvard’에도 사용되었으며, 애니메이션 ‘루니 툰’에서도 사랑받고 있습니다.
온화하고 서정적인 선율은 소중한 사람에 대한 마음을 확인하고 싶을 때나, 아름다운 자연에 둘러싸인 고요한 순간에 잘 어울리는 한 곡입니다.







